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법사” 에 대한 검색결과 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

사전(5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법률‧사송(詞訟)‧상언(詳讞)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서.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6부(尙書六部)의 하나인 상서형부(尙書刑部)를 로 고치고, 그 관원으로 판서(判書)‧총랑(摠郎)‧정랑(正郎)‧좌랑(佐郎)을 두었...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법률‧사송(詞訟)‧상언(詳讞)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 관서.
    정의고려시대 법률‧사송(詞訟)‧상언(詳讞)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nbeopsa | MR표기Chŏnbŏp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1인, 지부사(知部事, 他官兼職) 1인, 시랑 2인, 낭중 2인, 원외랑 2인과 율학박사(律學博士) 1인, 조교(助敎) 2인도 두었다.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강압으로 관제가 개편되면서 ()로 개칭되었다. 관직의 명칭도 상서...
  • 이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법률ㆍ사송ㆍ상언(詳讞)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내용] 1275년(충렬왕 1)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육부(尙書六部)의 하나인 상서형부(尙書刑部)를 ()로 고쳤다. 그 뒤 1298년에 형조(刑曹)로,
  • TD_E2_D_0020 四司 관직 六部, 典理司, 軍簿司, 版圖司, , 司春, 司夏, 司秋, 司冬 忠烈王, 寒暄 御天歌, 家範, 本 D_02_01_184 대동운부군옥 2권 1장 18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1장 18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7)

  • 39544 B039544 달산 達山 산악 高麗史節要 卷之三十 辛禑 四年 十二月 十二月 倭寇河東縣 又寇晉州 都巡問使裴克廉 追擊于泗州 斬二十餘級置左蘇造成都監 時議欲遷都 國史有左蘇白岳山 右蘇白馬山 北蘇箕達山等 三所創建宮闕之文 故有是役⁄言 前成均祭酒金文鉉弑父與兄 萬世不...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三十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不得欲殺之妻逃安仁與妻父母詰欲拔劒刺之論殺之○十二月 倭寇河東晉州都巡問使裴克廉與兵馬使兪益桓夾攻斬十九級追擊于泗州斬二級 丙午雷 置左蘇造成都監時議欲遷都國史有左蘇白岳山右蘇白馬山北蘇箕達山等三所創建宮闕之文故有是役 高家奴以兵四萬來投江界 遣柳曼殊于東北面吳季南于全羅道安翊于楊廣道南佐時于...
    출처전거高麗史 권13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乙卯七月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誣捏狀,下敎昭析,十行勤諄。旣而泮儒封章,並及兄弟爲錦台門。聖明下批,責其不公,旣而有是命,其一恩一威,罔非至敎也。是日,錦台補忠州牧使,李兄謫禮山。傳曰:“未決之案,卽丁鏞事也。渠若目不見非聖之書,耳不聞悖經之說,無罪渠兄,何登公車?渠欲爲文章□□□兩漢,自有好田地,何必務奇求新,至於狼狽身...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金井日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추안급국안 : 신유년(1801, 순조 1) 사학(邪學) 죄인 이가환(李家煥)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矣問曰矣身近來邪學之人一不指告只事發明是豈成說乎 供曰黃嗣永外雖無可告之人矣此外無可達之辭相考處置 敎事 ○ 오석충 신문기록 同日推考次罪人吳錫忠年五十九白等矣身爲三凶 之傳法護神表裡和應腹肚相連締結凶孽聲勢相倚是如臺 論峻發矣身之學果自何時是旀表裡和應果是誰某 是喩凶孽之締結明有所...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5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기해년, 사학모반(邪學謀叛) 죄인 양놈[洋漢]‧유진길(劉進吉) 등 안(案)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汝亦納招○供不可告 問然則今日又當嚴刑汝以如許貌樣又受刑杖豈不難乎汝 若直招當有免死之道矣○供雖死難告○問汝今番見捉時 始欲隱身於何處是如可畢竟見捉乎○供見范神父書札則 以爲若逢孫啓昌而偕來則當有好個事云故随來就捕矣○ 問汝之來此居接者久計乎何時欲反本國之意耶○洪來此 五年而後欲返本國爲計而待...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8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법률·사송·상언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서.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6부의 하나인 상서형부를 로 고치고, 1298년에 형조로, 1308년에 언부로 고치고, 거기에 감전색·도관·전옥서를 병합하였으며, 그 관원으로 전서 2인을

  • 형조 / 刑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육조관서의 하나. 의금부·한성부와 아울려 삼법사라고 일컬어지고, 사헌부·사간원과 함께 삼성이라해 의금부에서 국문할 때는 삼성이 동참하기도 하였다. 법률·상언·사송, 노예에 관한 정사를 관장하던 고려시대의 형부가 ()로 격하되었다가 1389년(공양

  • 상서 / 尙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성의 정3품 관직. 995년(성종 14) 이부·병부·호부·형부·예부·공부 등 상서 6부 정비 후, 문종 관제에서 각 부에 정3품, 정원 1인의 관직으로 고정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이 폐지, 6부가 전리사·군부사·판도사· 등 4사로 개

  • 좌랑 / 佐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육부 또는 육조 정6품 관직. 1275년 (충렬왕 1)에 상서6부가 전리사·군부사·판도사· 등 4사로 개편. 4사와 고공사·도관에 처음 설치되었다. 조선 건국후 1392년(태조 1) 신관제때 정6품으로 설치. 각 조와 도관에는 2인, 이조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