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명룡”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6(선조 39)∼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옥천(沃川). 자는 백유 (伯兪), 호는 영서(穎西). 아버지는 대승(大承)이며, 어머니는 함양박씨(咸陽朴氏)로 부호군 운(雲)의 딸이다. 유년 시절에 작...
    이칭별칭 백유(伯兪)| 영서(??西)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656 인물 () 1606 1667 조선 중-후기의 인물. 본관은 옥천(沃川). 자는 백유(伯兪), 호는 영서(穎西). 1624년 19세 때 증광(增廣) 생원시(生員試)에, 1627년 2...
    유형분류인물
  • 방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하망동에 있는 서원. [내용] 1633년(인조 1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전희철(全希哲)‧전익희(全益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
  • 영동자풍서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려하였다는 뜻으로 자풍서당이라 개칭하였다. 1626년(인조 4) 이운길(李雲吉)이 중수하고 당헌(堂憲)을 정하였으며, 1664년(현종 5) (), 1692년(숙종 18) 여안소(呂安素), 1720년 이필주(李弼周)가 각각 중수하여 강학처...
    연계항목영동자풍서당(永同資風書堂)
  • 이데 야로쿠자에몬(井手彌六左衛門)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문제 삼으며 공작미의 추가 지급을 요청하기 위해 왔었다. 향접위관으로 울산부사(蔚山府使) ()이 임명되어 접대하였다. 이후 1665년 1월에는 도해역관(渡海譯官) 김근행(金謹行)과 변이표(卞爾標) 등을 호환(護還)하기 위해 왔고, 1666년 8월과 1667년...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5)

  • 器寺主簿, 金南重兼世子左副賓客, 權克正爲寧遠郡守, 爲刑曹正郞, 權侙爲永平縣令, 鄭昌胄爲戶曹正郞, 李正英爲兵曹佐郞, 申翊亮爲全州府尹。 出政目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890 B017890 거사비 去思碑 문화 咸境道邑誌 新增鏡城邑誌 鏡城邑 官案 ... 鄭汝欽壬戌來鄭良胤癸亥來許實癸亥來洪恕乙丑來柳汝恒丙寅來李烓柳汝恒後來伏逆李必行壬申來申悅道壬申來姜翯癸酉來移建衙舍徐忭姜翯後來伏逆柳慶昌戊寅來徐祥履戊寅特除來黃㦿辛巳來德原府使移去癸未來金三樂...
    출처전거咸境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江榭를 새로 완성하여 낚시 하며 세상의 모든 일을 잊어버렸다. 다만 후학을 가르치는 일은 그만 둘 수 없어 매달 초 하루에嵒齋에선비를모아경전을토론하며 老少가 서로 도움을 주는 계책을 세웠으니 함께 하자고 권하고 있다. 答全伯兪 17 저자의 사위 纖西 (1606...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지났으나 아직 그 遺文을 정리하지 못하여 몹시 부끄럽다고 말했다고 전하고 있다. 내용은 앞부분의 저자 소개에 자세하게 나와 있다. 輓詞 8 金榮祖‧金應祖‧高仁繼‧‧李穫‧李燦 ‧李炯‧李煥‧丁彦璿‧李大圭‧李元圭‧南碝‧朴 璗‧權搏‧卞욱(日+昱)‧黃有吉‧李晉哲‧金...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633∼1704)가 지은 諡狀이다. 자세 한 내용은 행장과 대동소이하다. 附錄 卷2 輓詩 金應祖,沈東龜,洪鎬,金瑬,沈演,李景憲, 金藎國,金三樂,李燦,金鍌,權濤,李元圭,盧峻命, 鄭太和, 沈悅, 南以雄, 李植, , 李德圭, 李大圭, 李後陽, 逸姓名 등이 쓴 輓詩가...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606(선조 39)∼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대승, 어머니는 함양박씨이다. 1623년(인조 1) 증광문과에 급제, 162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1630년 성균관학정 겸 봉상시봉사, 성균관박사 겸 양현고직장 및 성균관전적·형조좌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