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립” 에 대한 검색결과 3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4)

사전(111)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무관이 착용하는 벙거지. 모(毛)을 ()이라고도 하며 군인들의 제모(制帽)로 삼았다. 일명 벙거지, 벙테기라고도 하는데 재료는 짐승의 털을 다져 담(毯, felt)을 만들어 그것을 벙거지용 골에 넣어서 형태를 만든다. 특히 모(毛)은 일상의 ...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군뢰(軍牢)가 군장(軍裝)을 할 때에 쓰던 갓. [내용] 품등이 높은 무관이 구군복에 갖추어 착용하기도 하였다. ()‧모립(毛笠)이라고도 함은 그 재료가 모제품인 데서 비롯된 것이고, ()은 군인의 입자(笠子)임을 지칭하...
    이칭별칭전립(氈笠)|모립(毛笠)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군뢰(軍牢)가 군장(軍裝)을 할 때 쓰던 갓.
    정의군뢰(軍牢)가 군장(軍裝)을 할 때 쓰던 갓.[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llip | MR표기chŏlli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립(毛笠), 백(白), 벙거지[笠], 주(朱), 홍(紅) 생활 풍속의생활/관모 의복 대한민국 조선~대한제국 태조~순종 윤양노 [정의] 조선시대 궁중
    관련어모립(毛笠), 백전립(白氈笠), 벙거지[笠], 주전립(朱氈笠), 홍전립(紅氈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골을 끓여먹던 그릇. [내용] 투(套) 또는 골 또는 벙거짓골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군복에 이라는 벙거지 모양의 모자를 썼는데, 투는 바로 이 의 모양을 본따서 만든 것이다. 투는 대개 무쇠나 곱돌로 만...
    이칭별칭전립투(氈笠套)

고서·고문서(194)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9년_유포면(柳浦面) 1729년 유포면(柳浦面) 第十二楮田浦津 1 第一統統首伊 第一戶水道軍良海尺伊年伍拾參丁巳本蔚山父良人南生祖良人國伊曾祖良人注巨里外祖良人姜 同伊本晋州妻私婢終德年肆拾肆丙寅本蔚山父良人金伊祖良人春伊曾祖良人春生外祖良人 金業金本金海...
    연도_면이름1729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二楮田浦津
  • 出後 二十六 【生後者,子死不斬,婦死不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880 喪禮四箋 卷十二 ITKC_MP_0597A_0880_010_0140 出後 二十六 【生後者,子死不斬,婦死不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
    권차명喪禮四箋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900년 경상북도(慶尙北道) 장기군(長鬐郡) 보공전입본절목(補公本節目)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900년 9월 경상북도(慶尙北道)장기군(長鬐郡)에서 제정된 절목(節目)이다. 절목은 어떠한 사안을 결의한 뒤 규정한 문서인데, 본 절목에는 장기군의 ‘보공전(補公錢)’ 운영 방안이 제정되어 있다. 보공전은 공식적인 부세(賦稅) 이외에, 고을에서 운영하기 위해 별도로 ...
    내용분류경제-세금-사목/절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內需司]庄土文績_제3책 : 圖書文績類 10-1. 甲寅十月日漁案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1794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3책 : 圖書文績類 03-010 10-1. 甲寅十月日漁案冊 입안 6 19.4x21.6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2_036058 18262_0037 奎18262 明禮宮(1707) 황해도 연안현 西面 황해도 연안현 西面 6 6결 () ()
    자료번호18262_0037 [奎1826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

  • 대구 비산 농악 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대구 비산 농악 매구 풍물 유물 굿 풍장 무당 화랭이패 춤 상모 상쇠 장고 농악대 줄 당기기 천왕메기 메기는소리 앞소리 천왕 서낭 서낭굿 경연대회 농악대회 아미농악 진주농악 차산농악 빗내농악 신라문화재 고깔 놀이 마당굿 길굿 농악 19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수배

기초학문(1)

  • 선암환자의 수술 후 12주간 골반저근운동이 시기별 기능적 체력, 하지 등속성 근기능 및 배뇨 장애에 미치는 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양점홍, 게재일 : 2014
    50777 양점홍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선암환자의 수술 후 12주간 골반저근운동이 시기별 기능적 체력, 하지 등속성 근기능 및 배뇨 장애에 미치는 효과 https://www.krm.or.k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7)

주제어사전(11)

  • / [생활/의생활]

    무관이 착용하는 벙거지. 군인들의 제모로 삼았다. 재료는 짐승의 털을 다져 담을 만들어 그것을 벙거지용 골에 넣어서 형태를 만든다. 특히 모은 일상의 위에 돼지털을 덮은 고급품이며, 또한 품계가 높은 무관이 쓰는 은 안올림 벙거지라고 했다. 하졸들은 홍

  • 공급비귀인묘소계빈주제진설도 / 公及妃貴人墓所啓殯主祭陳設圖 [정치·법제]

    공과 비, 귀인의 상례 과정에서 계빈전이나 입주제를 지낼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계빈전은 상례의 한 절차로 발인 전에 빈전에 안치된 재궁, 즉 관을 출관하기 위해 친궁을 열 때 드리는 의식을 말한다.

  • 전복 / 戰服 [생활/의생활]

    깃과 소매가 없는 긴 조끼 형태의 옷. 무관의 군복 혹은 사대부의 평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군복은 을 쓰고 협수를 입고 전복이나 괘자를 입은 후 그 위에 전대를 매고 수화자를 신은 차림이다. <영조실록>에 전복 명칭이 처음 보이는데, 전복과 답호가 구분되었다.

  • 뇌자 / 牢子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각 군영에 소속되어 있던 특수군인. 죄인을 문초, 구금하거나 형벌을 집행하는 일을 맡았고, 훈련도감의 뇌자들은 왕의 행차 때 경호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붉은 을 쓰고 칼을 차고 붉은 장대를 쥐고 있었는데, 에는 주석으로 만든 ‘용(勇)’자 표

  • 훈령무 / 訓令舞 [예술·체육/무용]

    만든 ()을 쓰고, 몸에는 두루마기와 비슷한 모양의 동달이를 입었다. 동달이는 좁은 소매에 뒤가 트여 있고, 이 위에 전복을 걸쳤으며, 가슴에 띠를 둘러 앞으로 길게 늘어뜨렸다. 채찍 달린 지휘봉인 등채를 손에 들고, 사슴가죽으로 만든 신발인 목화(木靴)를 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