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리사” 에 대한 검색결과 1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

사전(4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상서이부와 상서예부를 병합하여 를 설치하였다. 관원으로는 판서(判書)를 두고 그 아래에 총랑(摠郎)ㆍ정랑(正郎)ㆍ좌랑(佐郎)을 두었다. 1298년에 전조(銓曹)와 의조(儀曹)로 나누었다가 1308년에 다시 전조ㆍ의조ㆍ병조를 병합하여 선부(選部)를 설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육사(六司)의 하나로, 문관의 선임‧공훈‧제향‧학교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정의육사(六司)의 하나로, 문관의 선임‧공훈‧제향‧학교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 문광부표기Jeollisa | MR표기Chŏlli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전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문관의 선임(選任)과 공훈(功勳)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내용]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6부(尙書六部)의 상서이부와 상서예부를 병합하여 ()를 설치하였으나, 1298년에...
  • 예산화면석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화전리에 있는 백제시대의 불상. [내용] 보물 제794호. 원래 암반 위에 돌출한 돌기둥을 4면으로 깎아 각 면에 사방불상을 새긴 것이다. 돌기둥은 원래 남북 면이 넓고 동서 면이 보다 좁은 것인 듯 현...
    연계항목예산화전리사면석불(禮山花田里四面石佛)
  • 선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문신의 선임ㆍ공훈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내용] 1275년(충렬왕 1) 원의 간섭으로 3성 6부제가 격하 개편된 뒤, 1298년(충렬왕 24)에 이부와 예부를 병합한 가 전조(銓曹)로 되면서, 예부의...

고서·고문서(27)

  • 55217 B055217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純祖 18年 8月 28日_027 ○鄭元容, 以義禁府言啓曰, 金甲島島配罪人趙得永放歸, 承傳啓下矣。 趙得永放歸, 分付該道道臣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82년 이자수(李子脩) 조사첩(朝謝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82년(우왕 8) 11월에 통헌대부 판전의사사로 임명된 이자수에 대하여 조사(朝謝)를 마쳤음을 인준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같은 해 3월 25일에 봉순대부 판서운관사로 임명된 이자수에 대하여 11월에 사헌부녹사최자림가 조사 시행을 요구하는 첩(帖)을 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1366년 이자수(李子脩) 정안(政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66년 고려 ()에서 이자수(李子脩)의 인적사항과 관직기록을 베껴 내려준 문서이다. 원본은 전하지 않고 진성이씨 족보에 실려 전하는 문서이다. 이자수는 퇴계이황의 5대조로 고려 공민왕대에 홍건적을 토벌하여 입신한 인물이다. 선대 기록에 불일치를 느끼던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전준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전준
  • 1383년 유종혜(柳從惠) 조사첩(朝謝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행을 요구하는 첩(帖)을 에 보냄에 따라 에서 조사를 마쳤음을 인준하는 내용의 문서를 류종혜에게 발급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1387년 유종혜(柳從惠) 조사첩(朝謝牒)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행을 요구하는 첩(帖)을 에 보냄에 따라 에서 조사를 마쳤음을 인준하는 내용의 문서를 유종혜에게 발급하였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신문·잡지(18)

  • 일한통상협회보고_1897_02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51 잡보-紡績糸下落の原因 52 잡보-吉の出張 52 광고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897
  • 면서 이 결정이 채택될때에 쏘련과 중화인민□화국대□□ 안회에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결정은 안전이사회의 결정이 아니라 미국의 결정이라고 하였다. 미군을 조선에 파견한 것은 조선내정에 대한 미국의 용서치 못할 간섭이라고 그는 지적하였다. 『카라치』에서 개최된 □...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709_01
  • 사 국제연합 안회 (□□13일발 에이피전) 국제연합 안회는 13일 인도네시아에 □□국을 □유하는 중에 □하여 우크라이나의 □□을 부결하였으나 그 결과 메이킨담장이 본문제의 토의를 정지한다고 선언하야 파란을 이르킨 인도네시아문제도 이것으로서 종...
    대표표제어정로_1946_0216_01
  • 615 길림성 연길시 이승만, 링캉, 오쓰틴, 히틀러 중국인민해방군, 안회 가령 이승만 반동집단이 조선 내전을 일으켰을 뿐만아니라 내전 가운데서 우세를 차지하고 처음부터 전쟁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시장지대에까지 추진하였더라면 미국정...
    대표표제어동북조선인민보_1950_1221_07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解兼任陸軍監獄長 陸軍法院鄭恒謨 命兼任陸軍監獄長 陸軍法院理事尹益善 以上七月十七日 廉相澔 金泰旭 鄭圭瑗 九品朴基秉 任度支部稅務主事 以上七△二十△日 九品李寅興 丁奎顯 △淳璧 朴勝源 九品李南九 趙宗植 許 관 九品尹忠秀 吳廷煥 九品張然哲 石泰濟 朴忠緖 梁昌凞 申鳳均 韓錫...
    게재일1907년 8월 1일 | 기사분류관보

멀티미디어(1)

기타자료(1)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앙관부. 문관의 선임·공훈·예의·제향·조회·교빙·학교·과거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 1275년(충렬왕 1) 상서육부의 상서이부와 상서예부를 병합하여 를 설치하였다. 관원으로는 판서를 두고 그 아래에 총랑·정랑·좌랑을 두었다. 1298년에 전조와

  • 선부 / 選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문신의 선임·공훈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1275년(충렬왕 1) 원의 간섭으로 3성 6부제가 격하 개편, 1298년(충렬왕 24)에 이부와 예부를 병합한 가 전조로 되면서, 예부의 기능은 의조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1308년(충렬왕 34) 전

  • 상서 / 尙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상서성의 정3품 관직. 995년(성종 14) 이부·병부·호부·형부·예부·공부 등 상서 6부 정비 후, 문종 관제에서 각 부에 정3품, 정원 1인의 관직으로 고정되었다. 1275년(충렬왕 1) 상서성이 폐지, 6부가 ·군부사·판도사·전법사 등 4사로 개

  • 의조 / 儀曹 [종교·철학/유학]

    고려 후기 예의·제향·조회·교빙·학교·과거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으로 상서육부의 상서예부와 상서이부를 병합하여 를 설치, 1298년에 이를 의조로 고치고 이부를 따로 분리하여 전조(銓曹)를 설치하였다. 의조의 관

  • 좌랑 / 佐郎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육부 또는 육조 정6품 관직. 1275년 (충렬왕 1)에 상서6부가 ·군부사·판도사·전법사 등 4사로 개편. 4사와 고공사·도관에 처음 설치되었다. 조선 건국후 1392년(태조 1) 신관제때 정6품으로 설치. 각 조와 도관에는 2인, 이조만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