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력부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5)
사전(12)
- 전력부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무신 종9품의 품계명. [내용] 1436년(세종 18)에 처음으로 종9품의 산계(散階)로 진의부위(進義副尉)가 설치되었는데, 이것이 1466년 (세조 12)에 전력부위로 개칭되었다. →무산계○ 『...
- 윤익동(尹益同)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가와 이에쓰나(德川家綱)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종사관 남용익의 별파진(別破陣) 겸 군관(軍官)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사행 당시 전력부위(展力副尉)였다. 『通信使謄錄』;『朝鮮通信總錄』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유형분류인물
- 신열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9(선조 22)∼1659(효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아주(鵝洲). 자는 진보(晉甫), 호는 나재(懶齋). 수(壽)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호조참의 원록(元綠)이고, 아버지는 흘(仡)이며, 어머니는 전력부위(...이칭별칭 진보(晋甫)| 나재(懶齋)
- 손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서로 전력부위(殿力副尉)를 지내다가 세조 때에 성균진사에 올랐다. 1468년(세조 14)에 춘장문과(春場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거쳐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ㆍ호조좌랑 등을 역임한 뒤 외직으로 나아가 고령현감ㆍ단성현감을...이칭별칭 언겸(彦謙)
- 유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9품 작호(爵號). [내용] 문무관 정9품 종사랑(從仕郎)‧효력부위(效力副尉)와 종9품 장사랑(將仕郎)‧전력부위(展力副尉)의 적처(嫡妻)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중국 하(夏)‧은(殷)‧주(周...
고서·고문서(853)
- 7 第七統統首展力副尉兼司僕御侮將軍徐能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六南牧防 7 第七統統首展力副尉兼司僕御侮將軍徐能上 統第一戶 展力副尉兼司僕御侮將軍徐能上年伍拾貳癸酉本達城父嘉善大夫徐世龍祖原從一等功臣折衝將軍行釜山僉節制使仁忠曾祖 通政大夫工曹參議熙外祖正兵朴有元本慶州妻良女...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六南牧防
- 京畿道庄土文績_제77책 : 京畿道利川郡暮山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8. ( )(康?)熙二十九年-庚午-正月( )十日展力副尉沈之漫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7723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77책 : 京畿道利川郡暮山面所在庄土龍洞宮提出圖書文績類 77-008 8. ( )(康?)熙二十九年-庚午-正月( )十日展力副尉沈之漫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77-007~010 46.3x44 한지...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614년 김득남(金得男)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614년(광해군6) 4월에 병조에서 왕명을 받들어 예차우림위전력부위김득남을 전력부위충좌위부사용으로 임명하는 문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 광산김씨 모충사
- 1570년 이계정(李繼鄭) 홍패(紅牌)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570년(선조3)4월에 선조가 무과 병과 제21인으로 급제한 해남에 사는 원주이씨 정로위전력부위이계정에게 발급한 급제 증서이다.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해남 영산사
- 1593년 김선지(金銑之)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593년(선조26) 곡포(曲浦) 만호(萬戶) 김선지(金銑之: 1570~97)를 전력부위(展力副尉)수문장(守門將)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듬해 4월 초2일에 내려진 왕명에 따라 병조(兵...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주제어사전(4)
-
전력부위 / 展力副尉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무신 종9품의 품계명. 1436년(세종 18)에 처음으로 종9품의 산계로 진의부위(進義副尉)가 설치되었는데, 이것이 1466년 (세조 12)에 전력부위로 개칭되었다.
-
유인 / 孺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외명부인 문무관처에게 내린 정·종9품 작호. 문무관 정9품 종사랑(從仕郎)·효력부위(效力副尉)와 종9품 장사랑(將仕郎)·전력부위(展力副尉)의 적처에게 봉작된 작호이다. ≪경국대전≫에 정9품과 종9품의 적처에게 봉하여진 봉호로 격하되었다. 이 칭호는 일반백성
-
고인계 / 高仁繼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47(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예문관직제학 고거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주부 고윤종, 아버지는 전력부위 고경운,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다. 큰아버지인 고성군수 고흥운에게 입양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는 피난 중에서도 입
-
종구품 / 從九品 [정치·법제/법제·행정]
력부위가 수록되었다.1457년(세조 3)에 토관계의 문계로 시사랑, 무계로는 효력도위가 신설되었다. ≪경국대전≫에는 효력도위가 탄력도위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