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라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0,5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350)
사전(3,741)
- 전라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남도ㆍ전라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 [내용] ‘전라’는 전주(全州)와 나주(羅州)의 머리 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으로, 고려 현종 때의 전라주도(全羅州道)에서 비롯된다. 전라도는 본래 마한의 땅으로 백제의 영역이었...
- 전라도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연대ㆍ작자 미상의 군사지도. [내용] 채색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제주도를 포함하는 전라도의 부군현과 진(鎭)의 자연 및 인문적ㆍ군사적인 지도이다. 지명의 변천과정으로 보아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 각 부군현 및 진에서 작성...
- 전라도 방언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라도 지방의 방언정의전라도 지방의 방언 | 문광부표기Jeolla-do bangeon | MR표기Chŏlla-to pan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하운시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한하운(韓何雲)의 시집. [개설] 변형 A5판. 70면. 1949년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하였다. 작자의 첫 시집으로 「전라도길」ㆍ「손가락 한마디」ㆍ「벌」ㆍ「목숨」ㆍ「삶」 등 25편의 시와, 그를 시단에 소개한 이병철(李秉哲)의 해설이...
- 연계타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임실지방에 전승되는 들노래. [내용] 완전한 5음음계의 계면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라도의 5음음계로 된 들노래에서는 전라도민요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나타나는 요성(搖聲)이나 ‘꺾는목’을 쓰지 않고 높은 소리는 가성(...
논문(1)
- 조선전기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소희(제주대학교) | 게재정보 : 서지학연구 62집, 게재일 : 2015.06이 글은 조선전기 官署에서 이루어진 출판문화의 일면을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전기 전라도 지역 관서의 서적 간행은 전주를 중심으로 남원, 순천, 나주, 광주, 금산, 무장, 능성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간...유형논문
고서·고문서(75,777)
- 全羅道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一 全羅道 全羅道 68 全羅道 本百濟之地至義慈王十九年庚申【唐 高宗 顯慶五年】 新羅 太宗王與唐將蘇定方滅百濟遂倂其地景德王分爲全武二州都督府眞聖王五年壬子【唐 昭宗 景福元年】西面都統甄萱悉據舊地稱爲後百濟王高麗 太祖十九年丙申【後晋 高祖 天福元年】親征百濟...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전라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전라도 로 남자 광주광역시 요녕성(辽宁省) 무순시(抚顺市) 신빈현(新宾县) 영릉조중 3 2 전라도, 선생님, 수고...대표표제어전라도 | 성씨로
- 전라도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전라도 조 남자 황해남도 배천군 흑룡강성(黑龙江省) 치치하얼시(齐齐哈尔市) 군영위 1002조 상동 2호 3 2 전...대표표제어전라도 | 성씨조
- 전라도 지도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R8-B1-01-005 전라도 지도 사진 도면 미상 (미입력) 전라도의 영역을 표기한 지도이다. 오른쪽으로 섬진강이 매우 길게 표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대적으로 영산강은 작게 그려져 있다. 전주에 강영, 좌수영과 우수영, 전라 병영이 붉은 원...문서종류사진 도면 | 생산일자미상
- 전라도사람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전라도사람 방 남자 전라북도 김제시 흑룡강성(黑龙江省) 화남현(桦南县) 리수공사 신선촌 3 3 전라도사람, 노래가...대표표제어전라도사람 | 성씨방
구술자료(321)
- 전라도 상여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미상
- 전라도 아리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봉식씨가 자신 있는 태도로 아리랑을 부르겠다고 하기에, 아리랑은 이미 알려진 노래라 채록에는 별로 도움이 안된다고 하였더니, 아리랑이라해도 전라도 아리랑이니까 다른 아리랑하고는 다를 거라고 하면서 구송하였다. 이 노래가 끝난 후에도 노래와 춤이 어우러져 한참 동...조사일시1984-04-08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황전면 | 제보자이봉식
- 전라도 이방과 대구 이방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술을 즐겨 마시는 제보자가 앞의 이야기를 끝낸 후, 술을 석 잔을 계속 마시고 들려 준 이야기다.*조사일시1980-12-01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 제보자성판원
- 전라도 장자의 덕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날 저녁 7시 30분 경에 마을에 도착하여 마을회관에서 이장 여태춘(남, 39)씨로부터 본 조사에 유력한 제보자로 소개받았다. 이장의 안내로 7시 45분 경부터 이야기를 녹음했는데, 제보자 스스로 이 이야기론 구연했다. *조사일시1984-02-18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 제보자여종한
- 만육과 전라도 개땅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들이 제보자를 처음 만났을 때는 제보자가 교회에 가는 날이어서 많은 이야기를 듣지 못했으나 두 번째 제보자를 만났을 때는 시간 여유 가 있어서 여러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조사자가 백운면에서 많이 들었던 만육 이야기를 청하자 만육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었다조사일시2010. 2. 6(토)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덕현리 윤기길 17 윤기마을회관 | 제보자김우곤
기초학문(15)
- 19세기 전라도 진도목장의 운영 실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771466 한국연구재단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19세기 전라도 진도목장의 운영 실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훈상, 게재일 : 201555471 이훈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5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5
- 1930년대 전라도 남원 《司馬案》 편찬에 비춰진 신분의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희면, 게재일 : 200936648 윤희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근현대사학회 2009 1930년대 전라도 남원 《司馬案》 편찬에 비춰진 신분의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9
- 고려~조선전기 전라도 서남해상 島嶼 지역의 郡縣 편제와 그 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요근, 게재일 : 201247520 정요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도서문화연구원 2012 고려~조선전기 전라도 서남해상 島嶼 지역의 郡縣 편제와 그 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12
- 12‧13세기 전라도지역 私船의 해운활동-수중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정훈, 게재일 : 201141146 한정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세사학회 2011 12‧13세기 전라도지역 私船의 해운활동-수중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203)
- 롱상공부에셔 전라도 슌천군 신쟝포 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롱상공부에셔 전라도 슌천군 신쟝포 도여각 슈셰 거시 잇다니 궁부에셔 롱샹공부로 죠회고 션희궁 향슈차로 붓친다더라게재일1899년 12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전라도보셩군 셩들이 부에 쳥원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전라도보셩군 셩들이 부에 쳥원기를 젼군슈 류원규씨가 갑오년 동요시에 불고고 를써셔 오쳔셕상납을 경챵으로밧치고 군긔를 도 일치안코 셩을위야 쳐에 제지기를 인민의 운을 몸으로 신여 달나 눈물 흘니지 안은셩이 업고 비도가 디경을 범지게재일1900년 1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昨日下午四時量에典洞街路上에셔全羅道靈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昨日下午四時量에典洞街路上에셔全羅道靈光郡儒生李文煥等에訴狀遺失거슬該坊巡檢이拾得入署이기玆廣佈니所失人中誰某든지警務中署로來야覔去시압 警務中署 告白게재일1906년 8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 請勿移粟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전라도 샤환미 일만셕을 함경북도로 슈운단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룡담군 백셩들이 부로 뎐보기를 본도 일만셕을 타도로 슈츌면 본도셩은 긔한을 면치못터이니 이획령을 물시라 엿다더라게재일1903년 4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선가귀감(禪家龜鑑) 69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가귀감(禪家龜鑑) 69 禪家龜鑑 선가귀감 형태서지 禪家龜鑑 休靜 著 朝鮮 韓國 木版本 全羅道 1610年(光海君 2) 2卷 1冊 刊記 : 萬曆...대표표제어선가귀감(禪家龜鑑) 69 | 대표서명禪家龜鑑 | 한글서명선가귀감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264)
- 19세기 중반 전라도 - 성(城)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성곽 분포도 점묘도 도 면 1:700,000 19세기 중반 성곽 / 군현명 / 본선 / 지선 / 하천 / 군계 / 면계 없음 대동지지 없음 행정_130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5세기 중반 전라도의 산 지리 제도 근현대 자연 산천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1,000,000 15세기 중반 전라도의 산/기타 산/감영/10대로 DEM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자연_016_15세기_중반_전라도의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전라도의 봉수(3)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300,000 16세기 초반 전라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89_16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전라도의 봉수(2)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800,000 16세기 초반 전라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88_16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16세기 초반 전라도의 봉수(1) 지리 제도 근현대 행정 봉수 분포도 점묘도 도 도 1:800,000 16세기 초반 전라도 봉수/기타 봉수/감영/봉수노선/10대로 DEM 신증동국여지승람 없음 행정_087_16세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신증동국여지승람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결과보고서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료유형연구보고서
기타자료(27)
- (시원) 전라도 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시원) 전라도 길 (시원) 전라도 길 (詩苑) 全羅道 길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재희 | 사료철명교육전남
- (기행문) 전라도 땅을 밟고 보니 (9회 전국 교육연구대회 참관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기행문) 전라도 땅을 밟고 보니 (9회 전국 교육연구대회 참관기) (기행문) 전라도 땅을 밟고 보니 (9회 전국 교육연구대회 참관기)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허태화 | 사료철명부산교육
- 이정렬;李貞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2803 일본 京都 同志社女學校 (1929년 6월 10일 조사) 學友會同窓會名簿 1929―07―10 252면 이정렬;李貞烈 조선 전라도 군산부 시외 경포리 555 文明眞방 1925년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同志社女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36. 남부 지역에서의 반란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6. 남부 지역에서의 반란 n°265 Rébellion dans le Sud C, E, N 정치 법제, 사회, 국제 문헌, 사건, 지명 근대 전라도 고서/고문서 전라도 소요사태와 현지 외국인 거주민들의 안전 조치에 대한 보고 전라도,...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9년 | 작성월일7월 3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 전라감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동 4가 1번지 일원 전라북도 전주시 2000㎡ 전라감영 정비‧복원 일환 전라감영은 조선 태조 4년부터 고종 22년가지 500년동안 전라도의 부, 목, 군, 현을 관할하던 장소이다. 일본에 강제 병합된 후 선화당을 위시로 관아건물을 그대로 전라북도 도...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전북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북도
연구과제(3)
-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소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3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양진석 | 서울대학교 | 2014 | 국내 | 서울
-
조선족 이야기꾼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노영근 | 국민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37)
-
전라도 / 全羅道 [지리/자연지리]
지명. 고려 성종조부터 전주(全州)·영순주(瀛淳州)·마주(馬州) 등 주현을 강남도(江南道), 나주(羅州)·광주(光州)·정주(靜州) 등 주현(州縣)을 해양도(海陽道)로 나누었던 것이 현종 9년에 전라도(全羅道)라고 합칭된 이래 조선왕조에 들어서도 그대로 습용된 것이다
-
전라도관원안 / 全羅道官員案 [정치·법제]
조선 후기 전라도 지역 각 읍과 각 역, 각 진포 등 지방관의 명단안으로 절첩 형식. 특정 관직의 우측에 권점이나 비점이 찍혀 있다. 관직을 먼저 기록한 뒤 이어 성명, 부임 일자를 기록하였고, 계속해서 문, 무, 음으로 나누어 출신과 품계를 기록하였다. 전라도 지방
-
전라도암행어사봉서 / 全羅道暗行御史封書 [정치·법제]
1798년(정조 22). 정조가 김이영을 전라도 암행어사로 보내면서 내려준 봉서. 초서로 작성되어 있다. 김이영이 암행할 지역은 당시 흉년이 극심한 임피, 옥구, 김제, 만경, 고부, 부안 등 6개 고을이다. 정조는 6개 고을 백성들의 고통과 수령들의 근만을 상탐하여
-
전라우도 / 全羅右道 [지리/인문지리]
조선시대에 전라도지방의 행정구역을 동·서로 나누었던 때 전라도서부지역의 행정구역. 그 이전 전라도 지역은 고려때 전북지방을 강남도(江南道)로, 전남지방을 해양도(海洋道)라 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이를 합하여 전라도라 하였다. 그 뒤 1407년(태종 7) 군사
-
조성교 / 趙性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8∼1876). 예조판서·전라도관찰사·사헌부대사헌 등을 지냈다. 전라도관찰사 때 극심한 수재가 나자 납세 기일을 늦추는 등의 백성 구휼과 부족한 병조의 번포를 돈으로 대납하게 하는 등의 선정을 베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