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등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7)
사전(85)
- 전등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등사로 고쳤다 한다. 그러나 현재 그 옥등은 전하지 않고 있다. 그 뒤 1337년(충숙왕 복위 6)과 1341년(충혜왕 복위 2) 이 절의 승려들이 중수하였다. 1605년(선조 38) 불이 나서 전체 건물의 반 가량이 타 버렸고, 1613년(광해군 5) 12월...
- 전등사(傳燈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등사 전등사 傳燈寺 진종사(眞宗寺) 신의왕후(神懿王后), 선원각(璿源閣), 왕조실록(王朝實錄), 장사각(藏史閣), 정족사고(鼎足史庫), 정화궁주(貞和宮主), 총섭(摠攝) 문화종교/불교 개념용어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동의어진종사(眞宗寺) | 관련어신의왕후(神懿王后), 선원각(璿源閣), 왕조실록(王朝實錄), 장사각(藏史閣), 정족사고(鼎足史庫), 정화궁주(貞和宮主), 총섭(摠攝)
- 전등사범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전등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범종. [내용] 높이 1.64m, 입지름 1m. 보물 제393호. 명문을 통하여 제작 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철제종이다. 종의 정상에는 좌우에 쌍룡(雙龍)이 한 몸...연계항목전등사범종(傳燈寺梵鐘)
- 전등본말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34년 불교학자 안진호(安震湖)가 전등사와 그 말사의 역사ㆍ유물 등을 종합하여 기록한 책. [내용] 전등사에서 간행하였다. 김정섭(金正燮)이 발문을 짓고 고증하였다. 전등사의 역사를 제일 먼저 수록하였으며, 고려 때 두 차례의 중수가...
- 전등사대웅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전등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전.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기와지붕건물. 보물 제178호. 1916년 해체수리 때 발견된 <양간록 樑間錄>에 의하면, 이 건물은 1605년(...연계항목전등사대웅전(傳燈寺大雄殿)
고서·고문서(91)
- 강화부사(江華府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159 B017159 강화부사 江華府使 정치행정 宣祖實錄 三十二年(1599) 九月 선조실록_13209003_007 ○禮曹啓曰: “左承旨權憘啓辭, 臣前爲江華府使時, 得聞文昭殿位版, 亂初收拾於兵戈抛擲之中, 移安於府地傳燈寺 ...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5116 B015116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宣祖實錄 二十九年(1596) 二月 선조실록_12902026_001 ○癸亥 / 禮曹參議李海壽狀啓曰:○臣以文昭殿位板及影幀移安事, 本月十八日, 到江華府, 近處寺刹, 卽往看審, 則府二十里許, 有傳燈寺, 地勢不卑, 稍似靜便, 故...출처전거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길상산(吉祥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361 B032361 길상산 吉祥山 산악 大東地誌 권1 경기도 江華府 城池 ... 九十步於月串玉浦鎭海寺甲串津廣城德津皆設關鼎足山城在吉祥山有古城俗傳三郞城高宗四十六年命營假闕於三郞城 英宗十四年因古址改築周五里中有 璿源閣史庫訓禁御三營倉及傳燈寺文殊山城在通津文殊山之西山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574 B049574 덕진 德津 군사교통 大東地誌 권1 경기도 江華府 城池 ... n 月串玉浦至草芝凡四十三里二百九十步於月串玉浦鎭海寺甲串津廣城德津皆設關鼎足山城在吉祥山有古城俗傳三郞城高宗四十六年命營假闕於三郞城 英宗十四年因古址改築周五里中有 璿源閣史庫訓禁御三營倉及傳燈寺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려산(高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看煙起處, 知在亂松間.] 傳燈寺[在鼎足山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6)
- 전등사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등사의 유래 성격을 띤 이야기다. 기억력의 쇠퇴인지 연대의 확인이 힘들었으나, 풍수설에 기인한 모티프란 것은 확실하다.*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 제보자이강옥
- 전등사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전등사에 관한 이야기가 있을 법한데 이야기좀 하라고 권하자 꺼낸 이야기다.*조사일시1981-07-16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 제보자배용환
- 전등사 나녀화상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등사 네 추녀 끝의 나녀상 이야기를 유도했더니 나온 것이다. 정자나무 밑에서 벌어진 이야기 판에 나왔다가 주위의 권유로 한 마디 한 것이다.*조사일시1981-07-16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 제보자이해용
- 전등사 유래와 나녀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속 전등사의 유래를 아느냐고 묻고는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1981-08-10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양도면 | 제보자윤태선
- 전등사 성 쌓는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81.03.28 | 제보자미상
기초학문(1)
- 전등사서로서 통록촬요의 구조와 그 의의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8933 한국연구재단 대각사상연구원 2014 전등사서로서 통록촬요의 구조와 그 의의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4)
- 岡田繁二(岡田謄寫堂 京城支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岡田繁二(岡田謄寫堂 京城支店) 서울 岡田繁二 岡田謄寫堂 京城支店 北米倉町 136 종이_문고_도서 - 등사판(謄寫版) 소매 3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대표표제어岡田繁二(岡田謄寫堂 京城支店) | 지역서울 | 품목종이_문고_도서 | 영업종목등사판(謄寫版)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4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인천 전등사 수장고 無 1. 명부전지장보살좌상(본존) 복장유물 한국의 사찰 문화재-전국사찰문화재일제조사_인천광역시/경기도_자료집(문화재청; 불교문화재연구소, 2012), p.130.대표표제어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40 | 대표서명禪門拈頌集 | 한글서명선문염송집 | 서지형태형태서지
- 자유문학_1958_0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친절주간 목일신 90 유방의 문학 양병탁 92 5대국대통령이 있는 기행-전등사기행초 이흥우 9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 신동아_1934_04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전등사의 일야, 홍효민, 126쪽.(127쪽까지) 유태민족은 어대로 PU생 128 노-벨상금 2회 수령한 세계대과학자 큐-리부인-라듸움 발견자 ST생 13...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4
주제어사전(5)
-
전등사 / 傳燈寺 [종교·철학/불교]
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있는 사찰. 381년 아도가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진종사라 하였으나, 1282년 고려 충렬왕의 비인 정화공주가 인기를 송나라로 보내어 대장경을 가져오게 하여 이절에 두도록 하고 옥등을 기증하여 전등사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1912년 조
-
강화 전등사 대웅전 / 江華傳燈寺大雄殿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178호. 전등사는 강화도의 남쪽 끝 정족산의 한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 정족산의 세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삼랑성(三郞城, 일명 정족산성)이 있는데, 이 성은 단군이 세 아들에
-
강화 전등사 약사전 / 江華傳燈寺藥師殿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에 있는 조선후기 다포계 팔작지붕의 사찰건물.불전. 보물. 보물 제179호. 전등사는 강화도 삼랑성(三郞城, 일명 정족산성) 안에 있는 사찰이다. 약사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다포계 단층 불전으로 대웅전의 서쪽에 자리하고 있다
-
강화삼랑성 / 江華三郞城 [예술·체육/건축]
까지 내려와 있다. 산의 지형을 따라 성벽을 쌓았기 때문에, 북쪽과 남쪽의 고도 차이가 큰 편이다. 성 안에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등사(傳燈寺)가 있다. 절 주변에는 1259년(고종 46)에 궁궐을 지었다고 전하는 고려가궐(高麗假闕)터가 있는데, 126
-
사대사총섭 / 四大寺摠攝 [정치·법제/법제·행정]
전등사, 오대산사고는 월정사로 하여금 수호를 맡게 하고, 그곳의 주지를 총섭으로 삼아 위전을 주어 경제적 지원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