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등”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5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20)
사전(460)
- 전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그 밝기를 이용하는 기구. [내용] 전등은 1808년 데비(영국)의 아크방전을 시작으로 1840년대에 실용적으로 아크등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아크등이란 2본의 반소봉에 전류를 흘림으로서 백열전등을 탄생시킨 근원이
- 전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명부(內命婦)의 종8품 궁관직. [내용]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직속상관인 상침(尙寢, 정5품)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으며, 등불과 촛불을 맡았다. 그 뒤『경국대전』에 전채(典彩)...
- 電燈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3_I_0001 電燈 조명도구 化學者, 銅板, 亞鉛, 電池, 木炭板, 接觸, 電氣, 遮斷, 發光, 物理學者, 動電氣, 圓狀, 輪狀, 燈心, 白熱電燈 一千八百八年, 一八四五年, 一八七八年 英國, 法國, 德, 合衆國 舍富利德維[含富利德維],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2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전등(典燈)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등 전등 典燈 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여관(女官)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혜련 [정의] 내명부(內命婦) 종8품 궁관(宮...관련어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상궁(尙宮), 여관(女官)
- 전등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등사로 고쳤다 한다. 그러나 현재 그 옥등은 전하지 않고 있다. 그 뒤 1337년(충숙왕 복위 6)과 1341년(충혜왕 복위 2) 이 절의 승려들이 중수하였다. 1605년(선조 38) 불이 나서 전체 건물의 반 가량이 타 버렸고, 1613년(광해군 5) 12월...
고서·고문서(723)
- 전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9582 창가 동요 300 22184 전등 〈a〉鄭烈模〈/a〉 〈co〉朴泰俊〈/co〉 〈#239〉 먼데 불은 별이든가 갓가운 불은 달이든가 우리집의 등은 둥글 둥글 수박덩-이 남산 쪽 줄불은 가늘 가늘 줄불이―닛네 바람은 차고 밤은 깊어도 서울의구분창가
- 전등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8976 창가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300 22172 전등 〈#340〉 먼데 붙은 별이든가 갓가운 불은 말이든가 우리집 외등은 둥글둥글 수박―덩이 남산주□불은 가물가물 줄불이―낫네 바람은 차고 밤은 깊고도 서울의 전등은 잘 줄 모르네 〈a〉金水鄕〈/...구분창가
- 수전등열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3614 P-SDK-03614-P-D-05-01 P-SDK-03614-P-D-05-01-1 P-SDK-03614-P-D-05-01-2 수전등열 水田登熟 난곡농장 회엽서 봉투 있음. 5매 세트. 사제엽서 경제산업 농업 근대 한...자료명수전등열 | 발행처愛知産業株式會社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전등신화(剪燈新話)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전등과 애기별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07697 창가 호박꽃초롱 22130 1941년 姜小泉 博文書館 盧益亨 李相五 전등과 애기별 〈#33〉 거리의 전등들은 하늘에 올라가 보고 싶단다. ‘내가 만일 하늘에 올라갈수만 있다면 나는 저 보름달에게 옥토끼 이야기를 들여 달라...구분창가 | 편저자姜小泉
구술자료(11)
- 전등사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등사의 유래 성격을 띤 이야기다. 기억력의 쇠퇴인지 연대의 확인이 힘들었으나, 풍수설에 기인한 모티프란 것은 확실하다.*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 제보자이강옥
- 전등사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전등사에 관한 이야기가 있을 법한데 이야기좀 하라고 권하자 꺼낸 이야기다.*조사일시1981-07-16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 제보자배용환
- 전등사 나녀화상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등사 네 추녀 끝의 나녀상 이야기를 유도했더니 나온 것이다. 정자나무 밑에서 벌어진 이야기 판에 나왔다가 주위의 권유로 한 마디 한 것이다.*조사일시1981-07-16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 제보자이해용
- 전등사 유래와 나녀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속 전등사의 유래를 아느냐고 묻고는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조사일시1981-08-10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양도면 | 제보자윤태선
- 전등사 성 쌓는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일시1981.03.28 | 제보자미상
기초학문(7)
- 명대 전기소설〈전등신화〉의 조선전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243530 한국연구재단 復旦大學中國古代文學硏究中心 2002 명대 전기소설〈전등신화〉의 조선전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전등사서로서 통록촬요의 구조와 그 의의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468933 한국연구재단 대각사상연구원 2014 전등사서로서 통록촬요의 구조와 그 의의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에 나타난 애정 모티프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일용, 게재일 : 200108749 박일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에 나타난 애정 모티프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이본을 통해 본 〈剪燈新話句解〉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7594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소설학회 2010 이본을 통해 본 〈剪燈新話句解〉의 전파 양상과 그 함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0
- 日本江戶時代에 있어서의 『剪燈新話句解』와 『金鰲神話』의 수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변은전, 게재일 : 200110906 변은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日本江戶時代에 있어서의 『剪燈新話句解』와 『金鰲神話』의 수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618)
- 間一電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셩뎐거가 쥬야왕데 밤에 등화가분명치못야 뎐거에부드쳐상폐단이죵죵잇 고로 즁셔에셔 한미뎐긔회샤에교셥야 뎐간목에 한식걸너 뎐긔등을켜기로 얏데 그뎐등경비 회샤와 각기뎐인이 분반시기로 작졍얏다더라게재일1906년 9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仁港電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인쳔항 일인모모가 인항에 뎐긔등을 셜시하기로 계획하는 즁이라더라게재일1903년 3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米廛等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에 각젼미젼 시민 슈명식이 동 광졔원으로 등소를 단니는 그 리허를 탐문즉 광졔원에셔 병인 치료비가 군졸으로 셩 각쳐 미젼쥬인에게 슈세게되 바리 팔아쥬난 미젼쥬인이 되식을 먹는즁에셔 반되식만 광졔원으로 밧치라 더니 츄후에난 검독 셔상윤씨가 ...게재일1903년 2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上田藤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上田藤吉(-) 목포 上田藤吉 - 常盤町 - - 미곡상 - 14 - 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上田藤吉(-) | 지역목포 | 품목- | 영업종목미곡상 | 자료출처木浦案內: 商工人名錄, 1921년
- 野田藤太(-)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野田藤太(-) 원산 野田藤太 - 春日町 - - 금전대부업 - 22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野田藤太(-)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업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61)
- 박정희 대통령이 홍종철 공보부장관과 함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어서 양구군 전등 점화식에 대한 영상이 이어진다.자료구분대한뉴스KC | 제작년도1967년 1월 13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전등신화, 전기만록 3주차. 전란의 동아시아 - 「최척전」과「김영철전」 4주차. 시적 평등 선언 - 김려의 「방주가」 5주차. 체제 모순에 대한 시적 대응 – 정약용의 현실비판시 6주차. 고통의 공유와 여성의 연대 - 「덴동어미화전가」 7주차. 민의 욕망과 행위 전략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 전등신화, 전기만록 3주차. 전란의 동아시아 - 「최척전」과「김영철전」 4주차. 시적 평등 선언 - 김려의 「방주가」 5주차. 체제 모순에 대한 시적 대응 – 정약용의 현실비판시 6주차. 고통의 공유와 여성의 연대 - 「덴동어미화전가」 7주차. 민의 욕망과 행위 전략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 전등신화, 전기만록 3주차. 전란의 동아시아 - 「최척전」과「김영철전」 4주차. 시적 평등 선언 - 김려의 「방주가」 5주차. 체제 모순에 대한 시적 대응 – 정약용의 현실비판시 6주차. 고통의 공유와 여성의 연대 - 「덴동어미화전가」 7주차. 민의 욕망과 행위 전략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 전등신화, 전기만록 3주차. 전란의 동아시아 - 「최척전」과「김영철전」 4주차. 시적 평등 선언 - 김려의 「방주가」 5주차. 체제 모순에 대한 시적 대응 – 정약용의 현실비판시 6주차. 고통의 공유와 여성의 연대 - 「덴동어미화전가」 7주차. 민의 욕망과 행위 전략강좌제목동아시아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 강의자김대중 교수
기타자료(40)
- 정전등;町田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5499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98면 정전등;町田登 전주부 서정 35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풍전등정;豐田登正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1812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79면 풍전등정;豐田登正 청주군 가덕면 국전리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일;安鎰;안전등;安田登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505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134면 안일;安鎰;안전등;安田登 전북 진안군 程川面 龍坪里 1002 제21회 (5년제, 130명) 1944년...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소유권이전등기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소유권이전등기등 소유권이전등기등 교육 문헌 교육법령 교육판례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문서 ...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대법원 | 사료철명판결문
- 소유권이전등기말소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소유권이전등기말소 소유권이전등기말소 교육 문헌 교육법령 교육판례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문...범주1교육법령 | 형식문서 | 한글저자대법원 | 사료철명판결문
연구과제(1)
-
한국학 교육 환경 강화 및 연구 개발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Jooyeon Rhee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 2024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33)
-
전등 / 典燈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명부의 종8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내관제도에 의하면 정7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직속상관인 상침(尙寢, 정5품)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으며, 등불과 촛불을 맡았다. 그 뒤 ≪경국대전≫에 전채(典彩)·전정(典正)과 같은 종8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
-
전등록 / 傳燈錄 [종교·철학/유학]
역대 부처와 조사들의 어록과 행적을 모은 책. ≪법화경≫·≪선문염송≫ 등과 함께 예로부터 불교전문강원의 최고과정인 수의과에서 학습되어 왔다. 송나라의 도원이 1006년에 저술했으며, 총 30권에 이른다. 과거칠불로부터 역대 선종의 조사들, 오가 52세에 이르기까지 법등
-
전등사 / 傳燈寺 [종교·철학/불교]
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에 있는 사찰. 381년 아도가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진종사라 하였으나, 1282년 고려 충렬왕의 비인 정화공주가 인기를 송나라로 보내어 대장경을 가져오게 하여 이절에 두도록 하고 옥등을 기증하여 전등사라 부르기 시작하였다. 1912년 조
-
전등신화 / 剪燈新話 [언론·출판]
저자 구우(1347-1433). 목판본. 2권 2책. <전등신화>는 명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되었는데 건륭 신해년(1791)에 '전등총화' 시리즈로 간행된 본 가운데 <전등신화> 부분이다. <전등신화>는 저자 구우의 <자서> 및 계형의 <전등신화시병서>에 근거해 인화훈
-
경덕전등록 / 景德傳燈錄 [종교·철학/불교]
그 중 998명은 기록이 나타나 있고 나머지 729명은 이름만 있을 뿐 전등에 관한 사항은 전하지 않는다.제27권에는 우리 나라에도 널리 알려져 존경받고 있는 보지(寶誌)·선혜(善慧)·혜사(慧思)·지의(智顗)·승가(僧伽)·법운(法雲)·풍간(豐干)·한산(寒山)·습득(拾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