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덕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
사전(36)
- 전덕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上』 전덕기(1875-1914) 전덕기(1875-1914). 독립운동가. 1911년 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었었다.
- 김진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남대문 밖에서 훈장도 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이어 군대 해산, 헤이그특사사건, 고종 퇴위 등의 국난이 겹치게 될 무렵 상동교회의 목사 전덕기(全德基)의 설교와 인격에 감화되어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전덕기의 지도로 19...
- 한필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07년 양기탁(梁起鐸)‧안창호(安昌浩)‧전덕기(全德基) 등을 중심으로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결사인 신민회(新民會)가 창립되자 이에 가입, 황해도지회에서 활동하였으며, 양산학교를 양산중학교로 발전시키고, 안악군면학회의 사범강습소에서 교편을 잡고 교육구국운동에...
- 상동교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리에 현대식 교회건물을 신축, 1901년 6월에 준공을 보아 교회를 옮기고, 1902년부터 전도사 전덕기(全德基)가 맡아보게 되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전덕기를 중심으로 한 조약무효투쟁이 전개되어, 김구(金九)‧이준(李儁) 등의 독립투사들이 자주...
- 안윤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7(고종 14)∼1944. 독립운동가. [내용] 황해도 송화 출신. 1907년 4월 양기탁(梁起鐸)‧안창호(安昌浩)‧전덕기(全德基) 등을 중심으로 국권회복을 위한 비밀결사로서 신민회(新民會)가 창립되자 이에 가입하여 황...
고서·고문서(8)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人鄭百淳, 海南縣定配罪人李觀夏, 礪山府定配罪人申大顯等放, 鍾城府定配罪人金柱泰, 巨濟府島配罪人李匡垕, 東萊府定配罪人金德曄等, 減等定配, 身死未蒙放罪人全德機·申暻·朴致隆, 未及拿來罪人李義錫, 放黜鄕里罪人鄭基煥等, 放送事命下矣。 右罪人等, 竝爲放送, 而金柱泰·李匡垕·金德曄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人鄭百淳, 海南縣定配罪人李觀夏, 礪山府定配罪人申大顯等放, 鍾城府定配罪人金柱泰, 巨濟府島配罪人李匡垕, 東萊府定配罪人金德曄等, 減等定配, 身死未蒙放罪人全德機·申暻·朴致隆, 未及拿來罪人李義錫, 放黜鄕里罪人鄭基煥等, 放送事命下矣。 右罪人等, 竝爲放送, 而金柱泰·李匡垕·金德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金柱泰, 巨濟府島配罪人李匡垕, 東萊府定配罪人金德曄等, 減等定配, 身死未蒙放罪人全德機·申暻·朴致隆, 未及拿來罪人李義錫, 放黜鄕里罪人鄭基煥等, 放送事命下矣。 右罪人等, 竝爲放送, 而金柱泰·李匡垕·金德曄等, 仍其配所減等, 徒三年改錄事, 分付各該道臣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金柱泰, 巨濟府島配罪人李匡垕, 東萊府定配罪人金德曄等, 減等定配, 身死未蒙放罪人全德機·申暻·朴致隆, 未及拿來罪人李義錫, 放黜鄕里罪人鄭基煥等, 放送事命下矣。 右罪人等, 竝爲放送, 而金柱泰·李匡垕·金德曄等, 仍其配所減等, 徒三年改錄事, 分付各該道臣之意, 敢啓。 傳曰, 知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京畿道庄土文績_제40책(1)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景祐宮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148. 乾隆十二年-丁卯-七月日金哨官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관인, 수결 1장, 47.2x45.7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수결 1747년(영조 23) 7월 일 丁昌冑 재주 丁昌冑 재주 金 哨官 金 哨官 韓四國/李枝弘 田德基 한양 동부 東十里 筒內坪 한양도 동...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1)
- 在美韓人共立協會長宋錫俊氏가異域風霜에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在美韓人共立協會長宋錫俊氏가異域風霜에同胞를開發기로勞心焦想다가不幸卒逝얏슴으로來月曜日下午四時에靑年會舘에셔追悼會를設오니該氏와交遊시던諸氏屆期來叅시옵 發起人 全德基 金 麟 吳相奎 鄭雲復 張志淵 金相天 告白게재일1907년 6월 9일 | 기사분류광고
- 在美韓人共立協會長宋錫俊氏가異域風霜에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在美韓人共立協會長宋錫俊氏가異域風霜에同胞를開發기로勞心焦想다가不幸卒逝얏슴으로來月曜日下午四時에靑年會舘에셔追悼會를設오니該氏와交遊시던諸氏屆期來叅시옵 發起人 全德基 金 麟 吳相奎 鄭雲復 張志淵 金相天 告白게재일1907년 6월 8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教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教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教師 前日本農學教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여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教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二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習講習所 所主兼教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教師 前日本農學教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日語夜學生募集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所에셔日語夜學一年速成科를設야文法과普通話를專門으로敎授터이오니入學코자는이는陽十一月二十日內로來請시오 課業時間은每夜二時 月謝金은新貨一圜 南大門內靑年學院 日語夜學講習所 所主兼敎師 柳一宣 幹事 全德基 周時經 敎師 前日本農學敎師 渡邊新太郞 李丙植게재일1906년 11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3)
- 전덕기;全德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5501 남한 경성 감리교협성신학교 1-01 협성신학록 1922 0 Alumni, Class of 1912 전덕기;全德基 (현주소)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협성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덕기;全德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5190 남한 경성 감리교협성신학교 1-01 감리교협성신학교일람 1925 26면 졸업생명부;제1회(1912) 전덕기;全德基 (현주소)별세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협성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우덕기;禹德基;상전덕기;上田德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656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66면 우덕기;禹德基;상전덕기;上田德基 황해도 봉산군 제33회 1939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전덕기 / 全德基 [종교·철학/개신교]
1875년(고종 12)∼1914년. 감리교 목사·독립운동가. 서울 출신. 1892년 스크랜톤(Scranton, M. F.)선교사의 감화를 받아 1896년 세례를 받고 상동교회에 입교하였다. 1902년에는 감리교선교회에서 전도사 임명을 받았다. 1907년 감리교 연회에서
-
이광 / 李光 [역사/근대사]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79-1966). 호는 성암(星巖). 1907년 전덕기(全德基)·이동녕(李東寧) 등이 주도하는 애국계몽단체인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주권수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만주로 망명, 이시영(李始榮)과 같이 경학사와 신흥학교를 설립하여
-
강매 / 姜邁 [종교·철학/개신교]
1878-1941. 장로, 기독교 문필가. 최병현, 전덕기 등과 교류하면서 기독교인이 되었다. 정동교회에 출석하였으며, 장로로 시무하였다. 1907년 일본대학 고등사범 수법과를 졸업하였다. 귀국후 배재학당 등에서 가르쳤다. 언론계에도 투신하여 조선일보, 중앙일보, 시
-
이동녕 / 李東寧 [역사/근대사]
합격하였고, 다음해 아버지를 따라 원산으로 가서 육영사업에 조력하였다. 1896년 독립협회에 가담하였고, 1904년 한일협약이 강제 체결되자 전덕기‧양기탁(梁起鐸)‧신채호(申采浩)‧조성환(曺成煥) 등과 함께 청년회를 조직하여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1929년 김구(
-
현채 / 玄采 [예술·체육/서예]
1886년(고종 23)∼1925년. 사학자·서예가. 호는 백당(白堂). 청년기에 이준(李儁)·전덕기(全德基) 등이 조직한 국민교육회(國民敎育會)에 가입하여 계몽운동을 함께 하였다. 안진경체(顔眞卿體) 글씨를 잘 쓴 서예가로 알려져 있으며, 개화기 한국사학의 개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