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전농시” 에 대한 검색결과 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

사전(8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기에 국가의 대제(大祭)에 쓸 곡식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목종 때 사농경(司農卿)이 있었다가 뒤에 폐지되고, 충선왕 때 전농사(典農司)가 두어진 이후 저적창(儲積倉)ㆍ사농시(司農寺)를 거쳐 1362년(공민왕 11)에 개칭된 것...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농시(司農寺), 전사시(典祀寺), 봉상시(奉常寺), 사섬서(司贍署), 사섬시(司贍寺)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고려~조선초기 고려~조선초기 이석규 1362년(고려 공민왕
    관련어사농시(司農寺), 전사시(典祀寺), 봉상시(奉常寺), 사섬서(司贍署), 사섬시(司贍寺)
  • 사농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적전(籍田)의 곡식과 제사용 술ㆍ희생(犧牲) 등을 관리하던 관서. [내용] 이는 고려시대의 () 혹은 사농시를 계승한 것으로 1392년 조선의 개국과 함께 그대로 존치된 것이다. 관원으로는 판사(判事) 2원,...
  • 분봉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제도의 정비과정이후 봉상시(奉常寺)의 전신(前身)의 관서. [내용]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사농시(司農寺) 혹은 ()를 세조 때 봉상시에 병합시킨 뒤에 부르던 칭호이다. 이는 고려 충선왕 때 전농사(典農司)란 이름으로
  • 저적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대제(大祭)에 쓸 제물을 관장하던 관부. [내용] 목종 때 사농경(司農卿)이 있었는데, 뒤에 이를 폐지하고 충선왕 때에 이르러 ()를 두었으나 곧 저적창이라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다시 사농시를 두고 직제를

고서·고문서(5)

  • 文夜沐浴就寢呼人問時脩然而化尹澤詳錦山登第戇直敢言有氣節事毅陵授托孤之重爲相得體學文深遽尤長於左氏春秋詩亦豪贍老健官至都僉儀贊成號栗亭謚文貞尹龜生詳錦山以孝行旌門立碑官至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化尹澤詳錦山登第戇直敢言有氣節事毅陵授托孤之重爲相得體學文深遽尤長於左氏春秋詩亦豪贍老健官至都僉儀贊成號栗亭謚文貞尹龜生詳錦山以孝行旌門立碑官至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至都僉議贊成號栗亭謚文貞) 尹龜生(以孝行旌閭立碑 官至事) 本朝尹紹宗(恭愍朝擢魁科累轉至大司成恭讓朝禮儀判書尋以事放于錦山入 本朝爲兵曹典書修文殿學士有桐軒集) 尹子雲(少登第 世宗朝佐理功臣 成宗朝佐理功臣官至領議政謚文憲) 吳益昌(學問該慱孝友出天旁通算數且有才略壬辰李舜臣[寒山之役倡...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일 推忠協贊開國功臣正憲大夫玉川君寶文閣提學兼判事同知經筵事 ◦同年 7월 26일 正憲大夫玉川君寶文閣提學兼判事世子左副賓客功臣號如故 ◦同年 12월 14일 推忠協贊開國功臣正憲大夫藝文館大提學兼判事同知經筵事世子左副賓客玉川君 ◦1405년(태종 5) 정월 15일 正憲大夫...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判司農寺事趙天柱死之하다 將은 卽亮切이니 下竝同하다 高麗恭愍王이 改官制하야 司農寺의 判事는 秩正三品이요 卿은 從三品이요 少卿은 從四品이며 丞은 從五品이요 注簿는 從六品이러니 後改爲하야 卿은 改正하고 少卿은 改副正하며 本朝 太祖元年에 定官制하야 司農寺의 判事는 正三品...
    서명龍飛御天歌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말기에 국가의 대제에 쓸 곡식을 관장하던 관서 목종 때 사농경이 있었다가 뒤에 폐지되고, 충선왕 때 전농사가 두어진 이후 저적창·사농시를 거쳐 1362년(공민왕 11)에 개칭된 것이다. 관원으로는 판사·정·부정·승·주부 등이 있었다. 1369년에 사농시로 고쳐지면

  • 저적창 / 儲積倉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대제에 쓸 제물을 관장하던 관부. 목종 때 사농경(司農卿)이 있었는데, 뒤에 이를 폐지하고 충선왕 때에 이르러 ()를 두었으나 곧 저적창이라 하였다. 1356년(공민왕 5) 다시 사농시를 두고 직제를 개정하였다. 1362년 로, 1369년

  • 이극돈 / 李克墩 [종교·철학/유학]

    1435년(세종 17)∼1503(연산군 9). 조선 중기의 문신. 집의 증손, 할아버지는 지직, 아버지는 인손, 어머니는 노신의 딸이다. 1457년(세조 3) 친시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주부, 1459년(세조 5) 형조좌랑이 되었다. 1501년(연산군 7) 병

  • 사농시 / 司農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적전의 곡식과 제사용 술·희생 등을 관리하던 관서. 관원으로는 판사 2원, 경 2원, 소경 2원, 승 1원 및 겸승 1원, 주부 1원, 직장 2원을 두었다. 1401년(태종 1)에 로 개칭하고 영·부령·정·부정을 더 두었다가, 1414년에 영과 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