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구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38)
- 전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27∼1950. 군인. [개설] 평안남도 강동군 승호읍 승호동 80번지에서 출생. 한국전쟁 발발시 정찰비행부대(육군 제2군단 파견대) 일등상사로서 화천방면 정찰 조종 업무를 수행하던중 전사하였다. 전구서 일등상사는 19...
- 전구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가축의 사육과 제향(祭享)의 보좌 및 어선(御膳)ㆍ연향(宴享) 등에 축산물을 제공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서. [내용] 목종 때 이미 설치되어 있었으며, 문종 때에는 직제가 정비되어 영(令, 종7품) 1인, 승(丞, 종8품) 2인과 ...
- 典廏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D_0620 典廏署 관직 飼雜畜 穆宗 百官志 D_17_04_37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3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3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전구서(典廐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구서 전구서 典廐署 전생서(典牲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고려~조선초기 고려~조선초기 이석규 고려 목종 1460년(세조 6) 예조 [정의] 고려부터 조선초까지 제사에 희생 제...관련어전생서(典牲署)
- 전생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궁중의 제향(祭享)ㆍ빈례(賓禮)ㆍ사여(賜與)에 쓸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았던 관청. 세조 6년(1460)에 전구서(典廐署)라 하던 것을 전생서(典牲署)로 고쳤다. 관원으로 제조(提調) 1명, 판관(判官) 1명, 주부(主簿) 1명, 직장(直長) 1명, 봉사(...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6)
- 귀후소(歸厚所)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院、昭格殿、圖畫院、東西活人院、歸厚所、典廐署諸學、提擧、別坐, 東西窰判官、五部學堂敎授官、訓導官、律學訓導官等口傳官吏, 本曹幷皆檢察, 以示勸懲。” 從之。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陽城縣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李葛亡姓三任唐宋厥土塉墾田四千七百四十二結【水田差少】土宜五穀粟小豆蕎麥芝麻桑麻土貢魚醢民魚乾水魚芝草藥材黃芩鹽所一驛一加川牧場一【在縣西槐台吉串斗入水原南境周回七里今上十一年己酉始放典廐署牛隻水草饒美】烽火一處槐台吉串【南準沔川明海山北準水原興天山】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건수어(乾水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始放典廐署牛隻, 水草饒美。】 烽火一處, 槐台吉串。 【南準沔川明海山, 北準水原興天山。】○陽智縣: 本水州屬陽良村部曲, 本朝恭靖王元年己卯, 改爲陽智縣, 始置監務。 太宗十三年癸巳, 例改爲縣監, 移縣治于廣州任內秋溪鄕, 以地窄, 割廣州任內高安、大谷、木岳 ...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본도(本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5126 B095126 본도 本島 도서 일반 世宗實錄 十七年(1435) 六月 세종실록_11706008_004 止, 載在《元典》, 申明擧行。 一。 近年旱乾之災, 京畿尤甚, 徭役煩重, 民不聊生, 凡可移定者, 悉皆移定於他道; 可減省者, 量宜減省。 至若分禮賓典廐署乳牛所生穀...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葬 一 【筮宅ㆍ井椁ㆍ獻材ㆍ卜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之際橫木】 左擁之,絰在左掖也。莅卜,族長也。門東,主人之位。卽位于此,明代主人命卜也。○賈曰:“族長非直視高,兼行命龜也。” ○鏞案 《周禮ㆍ太卜》:“凡大貞,眡高作龜,大祭祀,眡高命龜,凡小事莅卜。” 尾四 “卜人抱龜,【句】 燋先,【句】 奠龜西首,燋在北。宗人受卜人龜,示高。莅卜受視,反之。...권차명喪禮四箋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타자료(10)
- 염안국;廉安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446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153면 염안국;廉安國 조선;東京市神田區西小川町2-5 本多방 1928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응렬;金應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458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156면 김응렬;金應烈 조선;東京市神田區西小川町2-6 佐藤방 1929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용범;白龍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476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160면 백용범;白龍範 조선;東京市神田區西小川町2-6 佐藤방 1929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노순천;盧順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484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163면 노순천;盧順天 조선;東京市神田區西小川町2-18 加藤방 1929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남도;白南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511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172면 백남도;白南道 조선;東京市神田區西小川町2-5 大花방 1930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전구서 / 典廐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가축의 사육과 제향의 보좌 및 어선·연향 등에 축산물을 제공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서. 목종 때 이미 설치되어 있었으며, 문종 때에는 직제가 정비되어 영(令, 종7품) 1인, 승(丞, 종8품) 2인과 이속으로 사(史) 3인, 기관(記官) 2인, 산사(算士) 1
-
사축서 / 司畜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잡축을 기르는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고려시대 전구서를 계승, 조선 건국 후 예빈시에 합쳐져 분예빈시(分禮賓寺)라 하다가, 1406년(태종 6) 분예빈시와 사련소(司臠所)를 합속, 사축소(司畜所)라 칭하고 별좌 3인, 별감 6인을 두었다. 14
-
전생서 / 典牲署 [과학기술/동물]
조선시대 궁중의 제향·빈례·사여에 쓸 가축을 기르는 일을 맡았던 관서. 고려시대의 장생서를 계승해 1392년(태조 1) 전구서를 설치, 1460년(세조 6) 전생서로 개칭하였다. 전생서의 관원은, ≪경국대전≫에 의하면 타관으로 겸직하는 제조 1인과 주부 1인, 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