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전곡”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39)
사전(486)
- 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수사(內需司)의 종8품 관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내수사는 왕실 소용의 미곡‧포목‧잡화 및 왕실 소속의 노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기관이다. 이 직은 1년 4도목(四都目)의 도목정(都目政)에 의하여 교대로 임명되는 ...
- 조위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두어 국무를 분장하게 하였다. 조위부는 신라의 조부(調府), 고려의 삼사(三司)에 해당되어 전국의 전곡(錢穀) 출납회계를 관장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 전각(戰角)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전각 전각 戰角 각(角) 보(報), 소각(小角), 영(令), 전(戰), 전각(戰角), 촉(促) 문화예술/음악 물품 도구 이숙희 [정의] 전쟁이나 훈련 시 각(角)으로 하는 신호, 혹은상위어각(角) | 관련어보(報), 소각(小角), 영(令), 전(戰), 전각(戰角), 촉(促)
- 전곡리선사유적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연천군 전곡면 전곡리 에 있는 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 [개설] 사적 제268호. 지정면적 778,296㎢. 1978년에 당시 동두천 주둔 미군인 보웬(Bowen, G.)에 의해 처음으로 발...연계항목전곡리선사유적지(全谷里先史遺蹟址)
- 도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전곡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서. [내용] 1014년(현종 5)에서 1023년까지 존속하였다. 1014년에 무신 김훈(金訓)‧최질(崔質) 등이 난을 일으켜 권신 황보 유의(皇甫兪義)‧장연우(張延祐) 등을 축출하고 실권을...
고서·고문서(873)
- 전곡치부(田穀置簿)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치부책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전곡치부(田穀置簿)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치부책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전곡치부기(錢穀置簿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치부책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전곡치부기(田穀置簿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치부책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전곡치부기(錢穀置簿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치부책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구술자료(31)
- 전주 삼현육각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자료이다. 2) 본 음원의 굿거리가 A-356에도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중 전주삼현육각 전태준 김광남 이정렬 이기주 염불 굿거리 타령 자진타령 승전곡 삼현육각 1983-06 09:24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기주
- 전주 삼현육각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자료이다. 2) 본 음원의 굿거리가 A-356에도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중 전주삼현육각 전태준 김광남 이정렬 이기주 염불 굿거리 타령 자진타령 승전곡 삼현육각 1983-06 09:24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전태준
- 전주 삼현육각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자료이다. 2) 본 음원의 굿거리가 A-356에도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중 전주삼현육각 전태준 김광남 이정렬 이기주 염불 굿거리 타령 자진타령 승전곡 삼현육각 1983-06 09:24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광남
- 전주 삼현육각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자료이다. 2) 본 음원의 굿거리가 A-356에도 녹음되어 있다. 3) 음질 중 전주삼현육각 전태준 김광남 이정렬 이기주 염불 굿거리 타령 자진타령 승전곡 삼현육각 1983-06 09:24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삼현육각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정렬
- 이윤형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A.mp3 E-032B.mp3 mp3 이보형 이윤형 1923-05-17 남자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 241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조;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윤형
기초학문(3)
- 전곡 및 나주지역에서 관찰되는 대형서관구조에 대한 예비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현수08468 임현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지질학회 전곡 및 나주지역에서 관찰되는 대형서관구조에 대한 예비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전곡 및 나주지역에서 관찰되는 대형서관구조에 대한 예비연구_프리프린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현수06800 임현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지질학회 전곡 및 나주지역에서 관찰되는 대형서관구조에 대한 예비연구_프리프린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국어 고유어 명사의 불완전 곡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미혜, 게재일 : 2009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6370&local_id=10023546 국어 고유어의 불완전곡용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90)
- 電告回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시찰 리극씨의 일이 동경에 도달하야 약간실디 시찰하고 졍부로 뎐보하기 태비궁 흉서하신일은 졍의 민박 일이라 곳 환국하다 하엿다더라게재일1904년 11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晉倅電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진쥬군슈가 경부에 뎐고엿데 진남를 본군에 이쥬로 훈칙이 잇오나 만일 를 옴기면 군슈 쥬졉곳이 업고 관속의 실소 가히 의론것 업거니와 교련장을 쳑하면 민가 여호를 장 휘쳘 디경이오니 허다관속과 슈쳔인민이 엇지 젼졉하올지 망지소죠하와 뎐고하...게재일1902년 8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公民電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공쥬관찰 홍승헌씨가 령관 리민직씨와 상지야 폐무고 상소지라 도셩들이 부로 뎐보기를 즉시 시무라는 쳐분이 업스면 원류로 상경야 등소다고 엿더라게재일1902년 1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세전곡 제일반 뉴스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세전곡 제일반 뉴스 뉴스 제3호 미기재 세전곡(世田谷) 제일반(第一班) 동경(東京) 조선_1928년 11월 13일 차압 치안 한국어 뉴스 우리 노동자는! 모두...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세전곡 제일반 뉴스 | 출판물명뉴스 제3호
- 조선출판경찰월보 053호 신동방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53호 신동방 신동방(新東方) 제2권 제1호 미기재 이용대(李龍大) 경성(京城) 조선_1933년 1월 27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신동방, 반전곡 반전곡(反戰曲) 북...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53호 신동방 | 출판물명신동방(新東方) 제2권 제1호
멀티미디어(1)
- 15세기 중반 전곡(田穀)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117_토의_15세기_중반_전곡(田穀) 경제_172_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55)
- 장전각;張銓珏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2406 남한 경남 통영수산학교 2-54 統營水産高等學校卒業臺帳 n.r. 45면 장전각;張銓珏 경북 울진군 원남면 梅花里 1079 제14회 1938년 3월 1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통영수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각루건축지(轉角樓建築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전각루건축지(轉角樓建築址) 중국 전각루건축지(轉角樓建築址) 건축유적 발해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清縣) 동신향(東新鄕) 전각루건축지.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표표제어전각루건축지(轉角樓建築址)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전각루건축지(轉角樓建築址)
- 전각루고성(轉角樓古城)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전각루고성(轉角樓古城) 중국 전각루고성(轉角樓古城) / 전각루건축지(轉角樓建築址) 관방유적 / 건축유적 발해 길림성 왕청현(汪淸縣) 동신향(東新鄕) 전각루촌(轉角樓村) 전각루고성.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대표표제어전각루고성(轉角樓古城)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전각루고성(轉角樓古城) / 전각루건축지(轉角樓建築址)
- 전각루유적(轉角樓遺址)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역사 유적 고대 전각루유적(轉角樓遺址) 중국 전각루유적(轉角樓遺址) 주거유적 초기철기시대 / 발해 흑룡강성 동녕시(東寧市) 삼차구진(三岔口鎭) 단산자촌(團山子村) 동북쪽 2㎞ 전각루유적.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대표표제어전각루유적(轉角樓遺址)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전각루유적(轉角樓遺址)
- 박진우;朴鎭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3573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54면 (34) 제32회 133명(1936년 3월 졸업) 박진우;朴鎭宇 경기도 연천군 영근면 전곡리 全谷의원 내...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유용욱 | 충남대학교 | 2014 | 국내 | 대전
주제어사전(30)
-
전곡 / 典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수사의 종8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내수사는 왕실 소용의 미곡·포목·잡화 및 왕실 소속의 노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기관이다. 이 직은 1년 4도목의 도목정(都目政)에 의하여 교대로 임명되는 체아직으로서, 재직기간이 514일이 되면 1품계씩 품계가
-
빈전고유전 / 殯殿告由奠 [정치·법제]
빈전에서 특별한 사건이나 행사가 있을 때 돌아가신 왕 또는 왕비의 혼령에게 아뢰는 의식. 빈전에는 재궁을 넣어 둔 찬궁과 혼백을 모신 영좌, 그리고 영침 등이 있으며, 상식, 전, 진향, 가칠, 상시 등의 의식이 이곳에서 거행된다. 그리고 상시나 계빈과 같은 중요한
-
상납전곡작전사논보 / 上納錢穀作錢事論報 [정치·법제]
미상의 하급 관아에서 미상의 상급 관아에 올린 백성들로부터 체납된 세금 및 환자곡의 수납 곤란을 호소하면서 그 변통을 요구한 논보. 그 변통방안으로 돈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과 환자곡을 곡식으로 납부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논보'는 하급관아에서 상급관아에 대해
-
선원전고유다례급선원전경기전고유제진설도 / 璿源殿告由茶禮及璿源殿慶基殿告由祭陳設圖 [정치·법제]
조선시대 태조 이하 역대 임금과 왕후의 영정을 봉안한 선원전에 고유 다례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경기전과 준원전에도 선원전에서 올릴 때와 동일하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고 있다.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이왕직에서 정리하
-
종묘영녕전고유제진설도 / 宗廟永寧殿告由祭陳設圖 [정치·법제]
종묘와 영녕전에 고유제(告由祭)를 올릴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판심에 이왕직이 찍힌 용지로 보아 기존에 있던 진설도를 이왕직에서 정리하여 재작성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