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적초의”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기 백관의 조복에 속한 의복. [내용] ()는 백관의 예복인 조복(朝服) 일습에 포함된 옷이다. 조복은 경축일, 정월 초하루, 동지, 조칙을 반포할 때 입으며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복(朝服)에 입는 겉옷. [내용] 적색의 초(綃)로 만들었는데 깃‧도련‧소매 끝에는 청색 연(緣)을 둘렀다. 깃은 직령(直領)으로 되었고 앞길 끝선의 각진 곳은 대각선으로 처리하였으며 왼쪽 가슴에는 폐슬을 달았다. 이 가...
    연계항목적초의(赤초衣)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민속문화재 제62호.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기 백관의 조복에 속한 의복.
    정의중요민속문화재 제62호.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기 백관의 조복에 속한 의복.[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eok Choui | MR표기Chŏk Ch’o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심동신금관조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을 가로질러 목잠(木簪)이 꽂혀 있고 목잠에는 옥색의 술 끈을 잠에 한 번 감아 양옆으로 늘어뜨려 장식하였다. 의(衣)는 ()라고도 하며 조복 중 가장 상의로 중단 위에 입는 붉은 색의 포이다. 사용된 옷감에 따라 전기에는 적라의(赤羅衣)의 기록도...
  • 청초중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 조복의 밑받침 옷. [내용] 청초중단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조복(朝服) 일습(一襲)을 갖추어 입을 때 () 안에 받쳐 입었던 옷이다. 조복의 제도는 1416년(태종 16년)에 처음
    이칭별칭전고종주학창의 | 연계항목청초중단(靑?中單)

고서·고문서(7)

  • 추안급국안 : 남극(南極)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復敎誘逃躱必欲滅口之迹已皆綻露是去乙 矣身則泛然以旣有所托於外直乙仍于外直及興瑞爲矣身故 縱南極是如囫圇爲說是置其半吐半呑之狀尤極狡惡前後情 節更良一一從實直招亦加刑現推敎事罪人元龜刑問二次訊 杖第四度白等閔哥之爲逆世所共知而矣身今到此地豈不盡 告是白乎矣戊申後矣身名字不出身有精誠矣矣身若 圖...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9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경술년(1730, 영조 6) 반역사건 신문기록(9)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旀李察訪或注書奴子每來於守 命之家是如守命亦嘗言於其矣身故以此知其情迹之爛熳 是如爲臥乎所必雄及守命放火謀逆何等凶慘而矣身相與 締結至於出給銀貨同參凶逆之狀昭著難掩是置間情節乙 隱諱除良一一從實直告亦傳敎推考敎是臥乎在亦 矣身 爲子不肖亡父名字出於身寧欲無生是白乎旀所謂 李椷守命必雄元無面...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8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경신년(1680, 숙종 6) 역적 오정창(吳挺昌)‧정원로(鄭元老) 등 신문기록(상)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冊子爲大段證據昨遣都 事搜探而終不得現出其在按獄之體猶有所未盡詳覈者此一 款更爲推問於元老後稟處何如答曰依啓 ○ 신종화를 재심문하다 同日罪人申宗華 更推白等鄭元老招內體府復設時身言之曰體府復設之 事兵判若厭惡而作戱則汝於其間可以周旋乎矣身曰申晸居間離 間我與兵判故近來兵判與我相議之事...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8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병술년(1706, 숙종 32) 임부(林溥) 등 신문기록(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及差祭時叱責姜履相之言一如 林溥之招是喩其間事狀隱諱除良後實直招竝推考敎 是臥乎在亦矣身賦性檏愚與世抹摋凡有作爲輙得浮 謗辛巳冬以問事參鞫之後謗議多端日盖層激或以 爲不道之言出於身親聽而傳播於人是如爲 白乎旀或以爲順命所供乙欲爲入錄草紙極力爭執雖 爲諸堂上之所沮風力殊甚可嘉是如爲白乎旀近間則或...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무신년(1728, 영조 4) 역적사건 신문기록[戊申逆獄推案](10)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也此二節旣脫則德普似 當分揀而渠以先正子孫乃與昌道結姻持身不謹至於此境 於國於家皆以獲罪豈免於竄配乎參酌極邊定配 ○ 목중형의 처벌 방안에 대해 논의하다 同日鞫 廳大臣以下請對引見入侍時左議政洪致中所啓睦重衡 屢出上曰出於辛孝祚招辭洪致中曰靑坡睦井邑湖南賊大將等說旣發於賊招而三月十...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6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3)

  • / [생활/의생활]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기 백관의 조복에 속한 의복. ()는 백관의 예복인 조복(朝服) 일습에 포함된 옷이다. 조복은 경축일, 정월 초하루, 동지, 조칙을 반포할 때 입으며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도 한다. 이 유물은 고종사제복(高宗紗祭

  • 청초중단 / 靑綃中單 [생활/의생활]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 조복의 밑받침 옷. 청초중단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조복(朝服) 일습(一襲)을 갖추어 입을 때 () 안에 받쳐 입었던 옷이다. 이 유물은 조선 말기의 국왕 고종이 입었던 것으로 전해져, 1979년에 ‘전 고종 주

  • 금관조복 / 金冠朝服 [생활/의생활]

    을 제외한 조복 일습이 남아 있다고 한다. 조복은 ()·적초상(赤綃裳)·청초중단(靑綃中單)·폐슬(蔽膝)·대(帶)·후수(後綬)·패옥(佩玉)·화(靴)·홀(笏) 등으로 일습을 갖추는데, 의(衣)와 상(裳)은 각 품이 동일하나 부속 제구들은 품계에 따라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