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적의” 에 대한 검색결과 11,3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99)

사전(3,906)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황후, 황태자빈의 법복(法服). ()는 조선 시대 왕비의 예복으로 왕이 면복을 입을 때 함께 착용하였다. 국혼 외에 종묘 제사와 대연회 등 최고의 의식을 치를 때 두루 입었는데, 가령 조하의(朝賀儀)나 궁중 연회인 진연(進宴), 종...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이용(李溶, 호는 晦隱)의 시문집. [서지석 사항] 1권(56장). 한문 필사본. 표지에는 ‘()’라는 책이름과 함께 “甲子九月至丁酉夏(갑자구월 지정유하)”라는 간기가 적혀 있다. 표지 안쪽에는 ‘北征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왕비의 법복(法服). [내용] 원래 중국에서 후부관복(后婦冠服)으로 착용하던 예복이다. 우리 나라에서 왕비가 법복으로 를 착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기인 1370년(공민왕 19) 명나라 태조후(太祖后)인 효자황후(孝慈皇后)가 중국...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송나라의 장수이다. 자금봉시투구를 쓰고 엄심갑38)을 입고 개산대부를 들고 백설부운마를 탄다. 전투 첫날 송나라 진영에서 나와 운남의 진영을 향해 대적할 자는 나오라고 외친다. 조릉이 섞인 꾸짖음을 듣고 크게 노하여 좇아 들어가다가 동문수학한범녕을 만나 크게 놀란다.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비의 예복
    정의왕비의 예복 | 문광부표기jeogui | MR표기chŏgŭ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2009~2010년 동몽골 역사유적 조사보고서 [한국 상고문화기원 연구 -고고학,유전자,언어,문화교류- | 단국대학교]
    저자 : 이성규(단국대학교), 복기대(인하대학교), 에르덴 바타하르(몽골 국립 울란바타르대학교)... | 출판사 : 두솔 | 출판일 : 2013.10.30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1. 2009년 답사 조사 (1) 답사 개요 (2) 답사 내용 2. 2009년 발국 조사 (1) 조사개요 (2) 유 입지와 고고학적 환경

논문(4)

고서·고문서(1,385)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90 文集 卷九 ITKC_MP_0597A_0090_020_0010 戶 정약용(丁若鏞) 公車類|疏箚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
    권차명文集 卷九 | 문체公車類|疏箚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90 文集 卷九 ITKC_MP_0597A_0090_020_0090 考 정약용(丁若鏞) 公車類|疏箚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
    권차명文集 卷九 | 문체公車類|疏箚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06479 창가 新式流行 二八靑春唱歌集 22068 京城 時潮社 發行 馬 노래 〈#83〉 [ 一 ] 나의 가는 그에 그대도 가세 좁다란 이곳에는 참아 못 사리 압록강(鴨綠江) 저 에는 지나영토(支那領土)니 지나(支那)에는 사억만(四億萬)에
    구분창가
  • 08235 창가 東西名曲集 22158 1928년(昭和二年三月八日) 鄭敬惲 廣文書市 尹鎬炳 李營 馬 노래 〈m〉(獨唱)〈/m〉 〈m〉(D調 四分之二泊) 가벼들게〈/m〉 〈#13〉 [ 一. ] 나는 온지 오래스니 그대도 오라, 살...
    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5801 P-SDK-05801-G-C-32-28 P-SDK-05801-G-C-32-28-1 P-SDK-05801-G-C-32-28-2 비 습격 匪賊襲末 비적을 향해 사격을 개시하고 있는 군인들의 모습을 인쇄한 엽서 교육만화 만주파견군 출병...
    자료명비적의 습격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179)

  • 명의 의 작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기왕 시작한 거 얼마든지 한다며 구연하였다. *
    조사일시1983-05-14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김진환
  • 서산대사가 얻은 연 신통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절이나 스님 이야기 좀 해 달라고 부탁하자 제보자는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
    조사일시19830523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이문호
  • 허미수의 지네 퇴치와 허 출생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가, “평양 감사에 대한 얘기가 많던데, 감사 이야기를 좀 해주시죠. 또 혹시 인조 반정 때 이야기라든가…” 라고 하자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설화를 구연해 주었다. *
    조사일시1983-05-24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엄기복
  • 사명당이 얻은 연 신통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전 열시를 넘겨 마을회관에 도착했다. 사전에 노인회장과 연락을 하였기에 마을회관에는 마을 어르신 10여 분이 먼저 와 계셨다. 조사자가 조사의 목적을 설명한 후, 마을에서 옛 이야기나 노래를 잘하시는 분이 누구냐고 여쭈어보았다. 노인회장이 김진철 제보자를 추천하...
    조사일시2010. 2. 3(수) | 조사장소강원도 홍천군 내면 창천3리 1513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김진철
  • 친구의 의리와 도 회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가 끝나자, “내 간단하나마 친구의 의리에 대해서 한 마디하지.”하고 제보자가 나섰다. 제보자는 목청을 살려서 상황에 맞게 입체적으로 이야기해나갔다. 좌중의 맞장구가 많았다. *
    조사일시1982-07-24 | 조사장소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 제보자박영상

기초학문(128)

  • 1900년대 光武戶 '士'와 民 '兩班' 기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7676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3 1900년대 光武戶 '士'와 民 '兩班' 기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现代汉语形容词否定义与功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창구오원, 게재일 : 2013
    10610 창구오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解放军外国语学院学报 2013 现代汉语形容词否定义与功能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대출판매와 최 신용위험이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갑제, 게재일 : 2013
    41309 박갑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대출판매와 최 신용위험이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죽막동유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6999 한국연구재단 한국상고사학회 2003 죽막동유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晦齋 李彦 예학사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7273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3 晦齋 李彦 예학사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3,852)

  • 聚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뎡읍등디에 소위 황의관이라쟈이도당슈삼십명을 령솔고 칭의병이라며 각촌리에드러가 쥬식을토야먹으며 화승총등속을탈취며 아즉 의병의복쟝이미비다야 당목으로 일신게지여라고 협박기도야 혹복쟝젼으로 긔십량을 탈거도며고부등디로 츌몰난 그무리들이모다평냥...
    게재일1906년 9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쳥남도 남포군에셔 소위의병이라쟈가 혹이십명 혹삼십명식 당을지어 각촌으로 왕며 춍과 화약을토다가 비인 홍산량군등디로 젼왕으로 도관찰셔리 곽찬씨가 각군에 신 칙 야 소포케얏다고 부로보고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5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行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쥬근쳐 젼신을거즉 소위 의병이란거시 횡촌간에 쟉폐무쌍거슨 이무가론이어니와 여간곡식셕 잇집에가셔 곡식을 집류야 고간에넛코 인봉후 크계공동고 가닥에 민졍이 단오오다더라
    게재일1905년 5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聲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거월이십오일이로 쳥국마젹의두령 원오가 셩언기를 만쥬마젹당을 회합야 위션일본인을쥭이고 일쳥교셥의 시단을만든후에 그긔회를타셔 거기로 계획다고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8월 6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無憚白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츙쥬 쟝호원은 한 젹은도회쳐인고로 근 각쳐부민등이 젹경에게좃기여 그 곳으로 이거쟈이 만터니 음력본원쵸일일에 젹당여명이 쥬돌입야 시위뎍으로 춍을노으며 칼을두루고 여러부민등을착치야 위지협지에 젼셰슈십만금어치 탈거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26)

  • 민중의 영웅_ 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_5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세종대왕과 그의 시대 - ‘세종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
    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민중의 영웅_ 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_5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세종대왕과 그의 시대 - ‘세종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
    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민중의 영웅_ 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_5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세종대왕과 그의 시대 - ‘세종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
    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민중의 영웅_ 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_5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양화와 과거의 재발견 2주차. ‘이순신’ 역사소설 - 임진왜란과 이순신 3주차. 세종대왕과 그의 시대 - ‘세종대왕’ 관련 역사소설 4주차. 조선시대의 기생 이야기-명기(名技)황진이 관련 역사소설 5주차. 민중의 영웅, 의 탄생과 역사소설의 계보 6주차. 역사 서사
    강좌제목한국 역사소설의 과거와 현재 | 강의자공임순 교수, 김미란 교수
  •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cc2-0157_#1 유구 도판1.유 원경 ①유 원경(서→동), ②유 원경(남→북) 2013-12-30_0.9786646_도판1.유 원경 ①유 원경(서→동), ②유 원경(남→북).jpg cc2-01
    제목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1,517)

  • 국어 산수 성 상관 관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국어 산수 성 상관 관계 국어 산수 성 상관 관계 國語 算數 成 相關 關係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달희 | 사료철명교육연구
  • (교육논단) 부산 고 순방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단) 부산 고 순방 (교육논단) 부산 고 순방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명동 | 사료철명부산교육
  • (교육논단) 부산 고 순방(3)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단) 부산 고 순방(3) (교육논단) 부산 고 순방(3)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명동 | 사료철명부산교육
  • (조사보고) 부산고 순방(5)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조사보고) 부산고 순방(5) (조사보고) 부산고 순방(5)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명동 | 사료철명부산교육
  • (연구 자료) 부산고 순방7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구 자료) 부산고 순방7 (연구 자료) 부산고 순방7 (硏究 資料) 釜山古 巡訪7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명동 | 사료철명부산교육

연구과제(38)

주제어사전(198)

  • / [생활/의생활]

    왕비의 법복. 원래 중국에서 후부관복으로 착용하던 예복이다. 우리 나라에서 왕비가 법복으로 를 착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기인 1370년(공민왕 19) 명나라 태조후인 효자황후가 중국관복을 보내온 데서 비롯한다. 조선 말기까지 착용하였다.

  • / [문학/고전시가]

    조선후기 무신 이용의 「북정록」·「서행록」·「북정가」 등을 수록한 시문집. 1권(56장). 한문 필사본. 이 책의 내용은 제1엽에서부터 39엽 전면까지 「북정록」이 실려 있으며, 제39엽 후면부터 47엽 후면까지 「서행록(西行錄)」이 실려 있다. 48엽 전면부터 54엽

  • 이괄의 난 / 李 [정치·법제/정치]

    1624년(인조 2) 정월 이괄이 주동이 되어 일으킨 반란. 이괄이 인조반정 때 공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2등공신으로 책봉되고 더구나 평안병사 겸 부원수로 임명되어 외지에 부임하게 된 데 앙심을 품고 사전에 치밀히 계획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이 종래의 통설이다. 인조는

  • / 李 [종교·철학/유학]

    1652년(효종 3)∼1725년(영조 1). 조선 후기 문신·학자 증조는 이개립, 조부는 이휘음이다. 부친 이숭언의 6남 중 5남으로 태어났다. 외조부는 이상백이다. 형으로 이달의·이원의·이수의·이술의가 있고, 동생으로 이첨의가 있다. 서형으로 이철의가 있다. 부인은

  • 황후 / 皇后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에 황후가 입었던 대례복. 중요민속자료 제54호.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유물은 동궁비 로 지정되었으나,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에 의하면 왕세자, 왕세손빈의 는 아청색, 황후, 황태자비의 는 심청색으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동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