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적석” 에 대한 검색결과 1,0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56)

사전(324)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귀족들이 신는 신발. 상대방을 지칭하는 말로 쓰임. 第未卜赤.還朝之日 是用.禱 區區於日夜耳, 조문수(曹文秀), 4-14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L5_D_0214 인간관계 寸恩 吳世才哀詞 D_20_01_35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3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J6_D_0087 왕조례 祭服, 祭器, 年久, 破缺, 籩豆, 御史臺, 焚埋 太廟 文宗 麗史 D_20_01_69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6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6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석(舃) 청석(靑舃), 흑석(黑舃) 생활 풍속의생활/이 의복 대한민국 조선 이민주 [정의] 왕·왕세자가 면복(冕服)이나 원유관복(遠遊冠服)을 입을 때 신는
    상위어석(舃) | 관련어청석(靑舃), 흑석(黑舃)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赤蓮寺)라 하였다. 그 뒤 절 이름은 사로 바뀌었으며, 1544년(중종 39)과 1574년(선조 7)에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1593년 묘정(妙淨)이 선당(禪堂)을 중건하였고, 1634년(인조 12) 계현(戒賢)과 삼창(三昌)이 불전(佛殿)을 중수...
    이칭별칭적련사(赤蓮寺)

고서·고문서(549)

  • 浮于,至于龍門 西河,會于渭ㆍ汭。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20 尙書古訓 卷三 ITKC_MP_0597A_0520_010_0500 浮于,至于龍門 西河,會于渭ㆍ汭。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
    권차명尙書古訓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敬身 “”, 陳《註》引《玉藻》“登席, 不由()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LL_3:2:4 “”, 陳《註》引《玉藻》“登席, 不由前, 爲躐席”之文, 謂“登席, 當由前也”, 又釋“摳衣趨隅”, 曰“由席角也”, 上下矛盾矣. 按《玉藻》, “爲”字去聲, 其“不由前”者, 爲躐席故也. 庾氏曰: “失節而踐爲躐, 席應從下升, 若由前升, 是躐席.” 然...
    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導河,至于龍門,南至于華陰,東至于底柱,又東至于孟津,東過洛汭,至于大伾,北過洚水,至于大陸,又北播爲九河,同爲逆河,入于海。【《史記》,底爲砥,孟爲盟,洛爲雒,伾爲邳,洚爲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20 尙書古訓 卷三 ITKC_MP_0597A_0520_010_0570 導河,至于龍門,南至于華陰,東至于底柱,又東至于孟津,東過洛汭,至于大伾,北過洚水,至于大陸,又北播爲九河,同爲逆河,入于海。【《史記》,底爲砥,孟爲盟,洛爲雒,伾爲邳,洚...
    권차명尙書古訓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33권, 세조 10년 5월 1일 계축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세조 10년 5월 1일 계축 (1464) 1464 永建堡 咸吉道 穩城 甫靑浦 峯 永建 樂土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세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豳風 狼跋(랑발)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1:15:7:1 人之動止, 繫乎舃. 欲見周公之動止安重, 故必以“”爲言, 而以“跋”、“疐”興起. 至下章, 則言其所以然.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구술자료(5)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양병인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상규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이남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기두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복남

기초학문(4)

  • 新羅 木槨墳의 起源 再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병현, 게재일 : 1998
    07186 최병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1998 新羅 木槨墳의 起源 再論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42b6124a014
    유형논문 | 게재일1998
  • 고구려 고분과 신라 목곽분 교차편년에서의 몇 가지 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현숙, 게재일 : 2012
    52104 강현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고사학회 2012 고구려 고분과 신라 목곽분 교차편년에서의 몇 가지 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신라 목곽분 출현과 기마민족 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재검토: 위신재 유물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봉원, 게재일 : 2013
    44115 강봉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신라문화연구소 2013 신라 목곽분 출현과 기마민족 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재검토: 위신재 유물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및 재갈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봉원, 게재일 : 2010
    .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7488&local_id=10043791 한국 고대 기마민족 이동설의 재검토: 신라 목곽분 출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6)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高夫(高夫) 서울 高夫 高夫 崇仁町 216 요리_음식점 - 식당 및 주문 배달 - 105.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赤澤高夫(赤澤高夫)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식당 및 주문 배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법화경론술기(法花經論述記)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법화경론술기(法花經論述記) 2 法花經論述記 법화경론술기 유통서지 法花經論述記 3 義[33]義[34]一撰 注進法相宗章疏 T...
    대표표제어법화경론술기(法花經論述記) 2 | 대표서명法花經論述記 | 한글서명법화경론술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법화론술기(法華論述記)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법화론술기(法華論述記) 2 法華論述記 법화론술기 유통서지 法華論述記 2 義義一撰 東域傳燈目錄 T55, p. 1156b11...
    대표표제어법화론술기(法華論述記) 2 | 대표서명法華論述記 | 한글서명법화론술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が盧声明に反発 13 選別放の欺瞞 14 激化する労働爭議 16 平和統一の前途...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7
  • 中庸懷疑說の再檢討 (2) 藤塚鄰 55 英艦の巨文島占領事件 奥平武彦 83 慶州塚出土の農具に就て 有光廣穠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멀티미디어(17)

  • 경주 구어리 고분군I -목곽묘.석실분-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경주 구어리 고분군I -목곽묘.석실분- kk4-0049_#1 유구 사진81. 1호 기와요지 2015-01-16_0.6144831_사진81. 1호 기와요지.jpg kk4-0049_#2 유구 사진84. 2호 기와요지 2015-01
    제목경주 구어리 고분군I -적석목곽묘.석실분-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신라유물 발견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경주시 황오리 팔우정 로타리 개축공사 중 발견된 총 유물 발굴장에서 통일신라시대 전후의 것으로 보이는 유물 수십 종이 발굴되었다. 1962년 1월 12일부터 시작된 유물 발굴 작업은 중앙박물관 직원 김정기와 경주박물관장 홍사준의 현장지휘로 이루어졌으며 무덤은 왕비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2년 1월 31일 | 제작주한미공보원
  • -06_0.3421442_사진33 횡구식석실묘 조사후 전경.jpg yy3-0088_#3 유구 사진36 나산리유적 전경 2014-08-06_0.6443903_사진36 나산리유적 전경.jpg yy3-0088_#4 유구 사진38 유구 및
    제목담양 대치리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중원 견학리 토성 h2-0078_#1 유구 사진5. ①북쪽 성 내벽 ②북쪽 성 외벽 2013-07-09_0.8882563_사진5. ①북쪽 성 내벽 ②북쪽 성 외벽.jpg h2-0078_#2 유구 사진12. 유구 및 토기 출토
    제목중원 견학리 토성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탐진다목댐 수몰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Ⅴ-장흥 상방촌B유적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구3_사진28. 6호~11호(1) 2015-01-19_0.9783899_장흥 상방촌B유적_2006_유구3_사진28. 6호~11호(1).jpg yy3-0226_#4 유구 장흥 상방촌B유적_2006_유구4_사진31. 3호 수혈(5~6) 2015
    제목탐진다목댐 수몰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Ⅴ-장흥 상방촌B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51)

  • 경주 구어리 고분군I -목곽묘.석실분-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kk4-0049 유구 2014-02-03_0.4529383_경주 구어리 고분군I-목곽묘.석실분- 표지.jpg 경주 구어리 고분군I -목곽묘.석실분- 慶州 九於里 古墳群I-木槨墓.石室墳- 2002 (재)영남문화재연구원 314 박승...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다. 은 유적의 동쪽과 북쪽에 자리한다. 동쪽 은 크기가 길이 220cm, 너비 180cm이고, 내부에 130cm×30cm의 빈 공간이 있는데 용도는 알 수 없다. 소토부는 유구 중앙의 400cm×300cm 범위에 분포하며 내부에 재층이 섞여 있다. 건물지2는...
    발행연도2004/02 | 발굴기관(재)호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북도
  • 서해안고속도로(남포-웅천)건설구간내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에서는 신석기시대 수혈유구 1기, 지석묘 3기, 지석묘 하부를 이용한 백제 석곽묘 1기 등 모두 5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소송리‘나’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패총과 소형 수혈유구 2기, 송국리형 주거지 1동, 삼국시대 유구 5기, 시대미상의 구상유구 2기 등 모두 1...
    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 | 발굴지역충청남도
  • 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왜에 귀화하면서 7가지 물건을 가져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든 管玉, 유리로 만든 小玉 등을 기본으로 옥장식품이 구성되었다(김현구 등, 2002,『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Ⅰ)』, 일지사, 50쪽). 1개, 족고옥(足高玉) 足高玉 : 다리가 높은 옥이다. 1개, 제록녹옥(鵜鹿鹿玉) 鵜鹿鹿玉 : 鵜(우)를 접두어...
    대표표제어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왜에 귀화하면서 7가지 물건을 가져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B.C.27년(甲午/신라 혁거세거서간 31/고구려 동명성왕 11/漢 河平 2/倭 垂仁 3)
  • 1) 위치 2) 발굴조사 전의 기록 / 3. 조사내용 1) 성의 규모 2) 유구 3) 원형구덩 4) 서북단부 5) 타원형유구 6) 배수로 7) 기둥구멍 8) 북벽서단부 9) 배수로 10) 북벽서단부 잔존 성벽 외측부 / 4. 출토유물 1) 석기류 2) 토기류 5...
    발행연도1992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연구과제(3)

주제어사전(12)

  • / [생활/의생활]

    임금이 정복을 입을 때 신는 붉은색의 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원유관을 착용할때 적말과 함께 신는 왕의 신이다. <국조보감>과 <조선왕조실록>에 임금은 면류관에 곤룡포 차림으로 인정전에 납시고, 왕세자는 칠장관ㆍ공정책ㆍ적말ㆍ 차림으로 예를

  • 춘천중도총 / 春川中島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춘천시 중도동 중도(中島)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돌무지무덤[塚]. 1976년 6월 17일 강원도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수량은 2기이며 면적은 360㎡이다. 중도 동남쪽 모서리 부분의 낮은 구릉에 쌍분(雙墳)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 어느 장군의 말

  • 괴산 리 소나무 / 槐山 里― [과학/식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리에 있는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383호. 나무의 높이는 17m이고, 나이는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이 소나무는 외형상으로 속리산 법주사 입구의 정이품송을 매우 닮았으며, 가지와 줄기의 윗부분은 소나무 특유의 붉은 빛을 띠고 있다. 지하

  • 적말 / 赤襪 [생활/의생활]

    대전의 법복과 중궁전의 법복에 신는 붉은색의 버선. 에 갖추어 신던 붉은색의 버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원유관을 착용할 때 과 함께 신는 왕의 버선이다. 중궁전 법복에도 대홍당직 적의를 입을 때 과 함께 신는다. 대홍광직 또는 대홍

  • 문화량 / 蚊火良 [지리/인문지리]

    형적으로는 남쪽에 무이산(武夷山), 북쪽에 연화산(蓮華山)이 있고 동쪽은 산(山)에서 뻗은 산줄기가 솟아 있어 서북쪽으로 상동천(上東川)을 따라 사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문화량은 삼면이 산지로 둘러싸인 계곡분지의 형태이므로 ‘넓은 들’의 뜻에 맞는 지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