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적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5)
사전(324)
- 滴澤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5_D_0214 滴澤 인간관계 寸恩 吳世才哀詞 D_20_01_35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35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赤舃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6_D_0087 赤舃 왕조례 祭服, 祭器, 年久, 破缺, 籩豆, 御史臺, 焚埋 太廟 文宗 麗史 D_20_01_69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6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6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적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귀족들이 신는 신발. 상대방을 지칭하는 말로 쓰임. 第未卜赤.還朝之日 是用.禱 區區於日夜耳, 조문수(曹文秀), 4-144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적석(赤舃)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적석 적석 赤舃 석(舃) 청석(靑舃), 흑석(黑舃) 생활 풍속의생활/이 의복 대한민국 조선 이민주 [정의] 왕·왕세자가 면복(冕服)이나 원유관복(遠遊冠服)을 입을 때 신는상위어석(舃) | 관련어청석(靑舃), 흑석(黑舃)
- 自躍石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R3_O_0012 自躍石 광물 扁蛤, 外殼, 微黃帶褐, 細沙, 外殼, 內膜, 烏瓷, 紫黑, 中空, 指頭, 粉, 淡黃, 黯, 味淡, 細粉, 春分, 太陽, 自躍, 眼眚, 石燕, 石燕, 山谷, 燕, 蛤, 大者, 雄, 小者, 雌, 眼疾, 醫眼, 蜆蛤, 石類,...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권 10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605)
-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교전, 월경, 격퇴, 내...대표표제어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교전, 월경, 격퇴, 내습, 습격, 공산군, 사살, 폭도
-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교전, 월경, 격퇴, 내...대표표제어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교전, 월경, 격퇴, 내습, 습격, 공산군, 사살, 폭도
-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교전, 월경, 격퇴, 내...대표표제어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교전, 월경, 격퇴, 내습, 습격, 공산군, 사살, 폭도
-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교전, 월경, 격퇴, 내...대표표제어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교전, 월경, 격퇴, 내습, 습격, 공산군, 사살, 폭도
-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교전, 월경, 격퇴, 내...대표표제어敵射殺二百餘(적사살이백여)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교전, 월경, 격퇴, 내습, 습격, 공산군, 사살, 폭도
구술자료(5)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적석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양병인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적석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상규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적석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이남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적석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기두
- 순천 판소리 명창 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로 순창의 판소리 명창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음질 중. 이화중선 권삼득 장판개 박유전 장자백 김세종 2001-5-27~28 순창군 적석면 운림리 인동부락 58:02 00:00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복남
기초학문(4)
- 新羅 積石木槨墳의 起源 再論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최병현, 게재일 : 199807186 최병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1998 新羅 積石木槨墳의 起源 再論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42b6124a014유형논문 | 게재일1998
- 고구려 고분과 신라 적석목곽분 교차편년에서의 몇 가지 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현숙, 게재일 : 201252104 강현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고사학회 2012 고구려 고분과 신라 적석목곽분 교차편년에서의 몇 가지 논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신라 적석목곽분 출현과 기마민족 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재검토: 위신재 유물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봉원, 게재일 : 201344115 강봉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신라문화연구소 2013 신라 적석목곽분 출현과 기마민족 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재검토: 위신재 유물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및 재갈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봉원, 게재일 : 2010.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7488&local_id=10043791 한국 고대 기마민족 이동설의 재검토: 신라 적석목곽분 출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9)
- 赤澤高夫(赤澤高夫)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赤澤高夫(赤澤高夫) 서울 赤澤高夫 赤澤高夫 崇仁町 216 요리_음식점 - 식당 및 주문 배달 - 105.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赤澤高夫(赤澤高夫)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식당 및 주문 배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법화경론술기(法花經論述記)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법화경론술기(法花經論述記) 2 法花經論述記 법화경론술기 유통서지 法花經論述記 3 義[33]寂釋義[34]一撰 注進法相宗章疏 T...대표표제어법화경론술기(法花經論述記) 2 | 대표서명法花經論述記 | 한글서명법화경론술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법화론술기(法華論述記)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법화론술기(法華論述記) 2 法華論述記 법화론술기 유통서지 法華論述記 2 義寂釋義一撰 東域傳燈目錄 T55, p. 1156b11...대표표제어법화론술기(法華論述記) 2 | 대표서명法華論述記 | 한글서명법화론술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통일평론_1987_26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が盧声明に反発 13 選別的釈放の欺瞞 14 激化する労働爭議 16 平和統一の前途...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7
- 조선_1933_21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中庸懷疑說の再檢討 (2) 藤塚鄰 55 英艦の巨文島占領事件 奥平武彦 83 慶州積石塚出土の農具に就て 有光廣穠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멀티미디어(17)
- 경주 구어리 고분군I -적석목곽묘.석실분- kk4-0049_#1 유구 사진81. 1호 기와요지 2015-01-16_0.6144831_사진81. 1호 기와요지.jpg kk4-0049_#2 유구 사진84. 2호 기와요지 2015-01제목경주 구어리 고분군I -적석목곽묘.석실분-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경주시 황오리 팔우정 로타리 개축공사 중 발견된 적석총 유물 발굴장에서 통일신라시대 전후의 것으로 보이는 유물 수십 종이 발굴되었다. 1962년 1월 12일부터 시작된 유물 발굴 작업은 중앙박물관 직원 김정기와 경주박물관장 홍사준의 현장지휘로 이루어졌으며 무덤은 왕비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2년 1월 31일 | 제작주한미공보원
- -06_0.3421442_사진33 횡구식석실묘 조사후 전경.jpg yy3-0088_#3 유구 사진36 나산리유적 전경 2014-08-06_0.6443903_사진36 나산리유적 전경.jpg yy3-0088_#4 유구 사진38 적석유구 및제목담양 대치리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중원 견학리 토성 h2-0078_#1 유구 사진5. ①북쪽 성 내벽 ②북쪽 성 외벽 2013-07-09_0.8882563_사진5. ①북쪽 성 내벽 ②북쪽 성 외벽.jpg h2-0078_#2 유구 사진12. 적석유구 및 토기 출토제목중원 견학리 토성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구3_사진28. 6호~11호적석(1) 2015-01-19_0.9783899_장흥 상방촌B유적_2006_유구3_사진28. 6호~11호적석(1).jpg yy3-0226_#4 유구 장흥 상방촌B유적_2006_유구4_사진31. 3호 수혈(5~6) 2015제목탐진다목댐 수몰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Ⅴ-장흥 상방촌B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51)
- 경주 구어리 고분군I -적석목곽묘.석실분-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kk4-0049 유구 2014-02-03_0.4529383_경주 구어리 고분군I-적석목곽묘.석실분- 표지.jpg 경주 구어리 고분군I -적석목곽묘.석실분- 慶州 九於里 古墳群I-積石木槨墓.石室墳- 2002 (재)영남문화재연구원 314 박승...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북도
- 정읍 통석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다. 적석은 유적의 동쪽과 북쪽에 자리한다. 동쪽 적석은 크기가 길이 220cm, 너비 180cm이고, 내부에 130cm×30cm의 빈 공간이 있는데 용도는 알 수 없다. 소토부는 유구 중앙의 400cm×300cm 범위에 분포하며 내부에 재층이 섞여 있다. 건물지2는...발행연도2004/02 | 발굴기관(재)호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북도
- 서해안고속도로(남포-웅천)건설구간내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에서는 신석기시대 수혈유구 1기, 지석묘 3기, 지석묘 하부를 이용한 백제 석곽묘 1기 등 모두 5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소송리‘나’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패총과 소형 수혈유구 2기, 송국리형 주거지 1동, 삼국시대 적석유구 5기, 시대미상의 구상유구 2기 등 모두 1...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 | 발굴지역충청남도
- 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왜에 귀화하면서 7가지 물건을 가져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든 管玉, 유리로 만든 小玉 등을 기본으로 옥장식품이 구성되었다(김현구 등, 2002,『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Ⅰ)』, 일지사, 50쪽). 1개, 족고옥(足高玉) 足高玉 : 다리가 높은 옥이다. 1개, 제록녹적석옥(鵜鹿鹿赤石玉) 鵜鹿鹿赤石玉 : 鵜(우)를 접두어...대표표제어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왜에 귀화하면서 7가지 물건을 가져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B.C.27년(甲午/신라 혁거세거서간 31/고구려 동명성왕 11/漢 河平 2/倭 垂仁 3)
- 중원 견학리 토성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1) 위치 2) 발굴조사 전의 기록 / 3. 조사내용 1) 성의 규모 2) 적석유구 3) 원형구덩 4) 서북단부 5) 타원형유구 6) 배수로 7) 기둥구멍 8) 북벽서단부 9) 배수로 10) 북벽서단부 잔존 성벽 외측부 / 4. 출토유물 1) 석기류 2) 토기류 5...발행연도1992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연구과제(3)
-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종일 | 서울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고구려 왕실 전승과 의례 - 정치권력으로 향한 통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우연 | 인하대학교 | 2014 | 국내 | 인천
-
한국의 고대 고분과 유라시아 네트워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권오영 | 서울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2)
-
적석 / 赤舃 [생활/의생활]
임금이 정복을 입을 때 신는 붉은색의 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원유관을 착용할때 적말과 함께 신는 왕의 신이다. <국조보감>과 <조선왕조실록>에 임금은 면류관에 곤룡포 차림으로 인정전에 납시고, 왕세자는 칠장관ㆍ공정책ㆍ적말ㆍ적석 차림으로 예를
-
춘천중도적석총 / 春川中島積石塚 [역사/선사시대사]
강원도 춘천시 중도동 중도(中島)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돌무지무덤[積石塚]. 1976년 6월 17일 강원도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수량은 2기이며 면적은 360㎡이다. 중도 동남쪽 모서리 부분의 낮은 구릉에 쌍분(雙墳)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 어느 장군의 말
-
괴산 적석리 소나무 / 槐山 積石里― [과학/식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적석리에 있는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383호. 나무의 높이는 17m이고, 나이는 약 500년으로 추정된다. 이 소나무는 외형상으로 속리산 법주사 입구의 정이품송을 매우 닮았으며, 가지와 줄기의 윗부분은 소나무 특유의 붉은 빛을 띠고 있다. 지하
-
적말 / 赤襪 [생활/의생활]
대전의 법복과 중궁전의 법복에 신는 붉은색의 버선. 적석에 갖추어 신던 붉은색의 버선. 대전의 법복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원유관을 착용할 때 적석과 함께 신는 왕의 버선이다. 중궁전 법복에도 대홍당직 적의를 입을 때 적석과 함께 신는다. 대홍광직 또는 대홍
-
문화량 / 蚊火良 [지리/인문지리]
형적으로는 남쪽에 무이산(武夷山), 북쪽에 연화산(蓮華山)이 있고 동쪽은 적석산(積石山)에서 뻗은 산줄기가 솟아 있어 서북쪽으로 상동천(上東川)을 따라 사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문화량은 삼면이 산지로 둘러싸인 계곡분지의 형태이므로 ‘넓은 들’의 뜻에 맞는 지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