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적삼” 에 대한 검색결과 5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1)

사전(1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홑으로 만든 윗옷. [내용] 여름용 과 저고리 밑에 입는 속이 있다.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고름이 없고 단추로 여민다. 모시‧삼베‧무명 등으로 만드는데 삼베는 약간 거친 느낌을 주지만 모시는 올이 곱고 시원하다. 특히,...
    연계항목적삼(적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고리[赤古里] 단삼(單衫) 곁마기[裌隔音], 고의[串衣], 단저고리[短赤古里], 소고의[小串衣], 소오자(小襖子), 소저고리[小赤古里], 소(小), 녹비(鹿皮), 한삼(汗衫), 회장저고리[回裝赤古里]
    상위어저고리[赤古里] | 동의어단삼(單衫) | 관련어곁마기[裌隔音], 고의[串衣], 단저고리[短赤古里], 소고의[小串衣], 소오자(小襖子), 소저고리[小赤古里], 소적삼(小赤衫), 적삼녹비(赤衫鹿皮), 한삼(汗衫), 회장저고리[回裝赤古里]
  • 근대신어 : 속, 속홑(裏單衫)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0347 속, 속홑 사항 裏單衫 裏單衫과裏單袴木棉或羊毛로織야人身의大小에俱適케造者 속과 단속곳은 목면 또는 양모로 짜며 사람 몸의 크고 작음에 모두 맞게 만든 것 裏單衫과裏單袴木棉或羊毛로織야人身의大小에俱適...
    출전西遊見聞[交詢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의복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노방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방주는 각색으로 다양하게 제직되어 여름 한복 중 , 깨끼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냉감을 주는 직물인데, 두 겹을 같은 감으로 겹치면 아름다운 아롱무늬를 얻을 수 있다. 오늘날에는 비단한복의 안감으로 대량생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각색으로 염색된 것 이외에도...
  • 근대신어 : 속조끼, 속, 지브 오(쮸방)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0348 속조끼, 속, 지브 오 사항 쮸방 gibao 繻絆(ジュバン), 속(의 一種) 수반(ジュバン), 속(의 일종)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의복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350)

  • 조선시대 역학서:1790_몽어노걸대_녀에 장  모시뵈 이오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몽어노걸대 349 1790_몽어노걸대 녀에 장  모시뵈 이오 1790몽어노걸대_7_019b.jpg 녀에 장  모시뵈 이오 에 깁오시오 겨에 草綠 綿細 핫오슬 닙니 도 四時 조차 봄에 金 골희오 녀에 玉 갈구리 오 을...
    편명1790_몽어노걸대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下乙八 底可載 【疏云:“鯀三考乃退,此一考便升者,大聖之事,不可以常法論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10_0190 下乙八 底可載 【疏云:“鯀三考乃退,此一考便升者,大聖之事,不可以常法論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帝曰:“格,汝舜。詢事考言,乃言底可載,汝陟帝位。” 舜讓于德,弗嗣。【鄭本,載爲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00 尙書古訓 卷一 ITKC_MP_0597A_0500_010_0160 帝曰:“格,汝舜。詢事考言,乃言底可載,汝陟帝位。” 舜讓于德,弗嗣。【鄭本,載爲年】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
    권차명尙書古訓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조선시대 역학서:1790_몽어노걸대_집 담을 광조리도 업니 무어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몽어노걸대 349 1790_몽어노걸대 집 담을 광조리도 업니 무어 1790몽어노걸대_2_019a.jpg 집 담을 광조리도 업니 무어 집흘 가져 가리오 업거 뵈 쟈락에 여물을 가져가라 내 콩물을 가져가마 이 主人이 장
    편명1790_몽어노걸대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黃海道 庄土文績_제35책 : 黃海道交河郡石串面所在庄土順和宮提出圖署文績類 98. 康熙五十七年-戊戌-正月十一日同姓九寸姪李熺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장, 60.9x50.8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718년(숙종 44) 1월 11일 寸姪 李必慶 幼學 답주 적3촌질 寸姪 李必慶 幼學 답주 적3촌질 同姓九寸姪李熺處 동성9촌질 同姓九寸姪李熺處 동성9촌질 寸姪...
    자료명黃海道 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24)

  • 모심기노래 [모시 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가 이어서 계속 노래를 불러주었다
    조사일시2011. 1. 20(목)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동천리 내동천마을 내동천마을회관 | 제보자이순아
  • 모심기 노래[모시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다른 청중들과 대화를 하던 중에 제보자가 갑자기 다음 노래를 구연했다. 노래가 부르고 나서 멋쩍은 듯이 웃었다.
    조사일시2010. 7. 6(화) | 조사장소부산시 남구 대연6동 남구보건소 옆 팔각정 | 제보자이연이
  • 쪼꾸실로 감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역시 어려서 어머니에게서 들은 것이라 했는데, 일부분만 기억하고 있었다. 앞뒤가 서로 다른 내용이긴 하지만, 하나의 노래로 들었다고 했다. *
    조사일시1983-12-08 | 조사장소충청남도 공주군 의당면 | 제보자유조숙
  • 모심기노래 [한삼모시 속 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하나 더 불러달라고 요구하자 이 노래를 불렀다.
    조사일시2011. 1. 18(화)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입현리 토촌마을 토촌경로회관 | 제보자이차순
  • 모심기 소리(한삼모시 속아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할아버지를 뵈러왔다가 할머니께 노래를 들었다. 오래되어서 기억은 잘 안 나신다고 하셨지만 조사자가 첫 소절을 말해드리면 노래를 해주셨 다.
    조사일시2011. 1. 22 (금) | 조사장소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임촌마을 최백윤씨댁 | 제보자서정엽

기초학문(1)

  • 南冥遺洞辨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이환, 게재일 : 2001
    01077 오이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01 南冥遺洞辨證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3)

  • 토산군슈 김용씨 비안군슈로 잇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토산군슈 김용씨 비안군슈로 잇슬에 도명 잡은것을 셩을 겨 타살 닭에 평리원에 피착이 되엿더라
    게재일1900년 3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여살먹은 용슌이란 계집가 귀뒤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여살먹은 용슌이란 계집가 귀뒤에흠잇고 문포 황라검은 치마입고 본월 십팔일에 간곳이 업오니 누구던지 보로 셔셔관우물골 병문으로 지시시면 후샤겟소 윤셩원 고
    게재일1900년 9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슈일젼 저녁에 진고셔 일본 슌가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슈일젼 저녁에 진고셔 일본 슌가 길에셔 엇던 사이 보퉁이를 가지고 가 이 의혹젹은고로 불너 물으려 즉 길애 더지고 달아나지라 펴본즉 그쇽에 희와 어룬의 양복 두벌과 양복 속 다셧과 슈건 나히 들엇지라 일본 경챨소에 갓다 두엇스니 일흔이 와셔...
    게재일1898년 9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사단장과 수탉 최정연 33 모시 류원무 37 침대 장덕녕 39 ...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4
  • 표지 및 목차 통파일입니다 / A파일 분홍 리광수 2 동란과 인간 리만호 9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1

기타자료(1)

  • (교육논설, 교육연구, 교단실천기) 교원의 능동적참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설, 교육연구, 교단실천기) 교원의 능동적참여 (교육논설, 교육연구, 교단실천기) 교원의 능동적참여 (敎育論說, 敎育硏究, 敎壇實踐記) 敎員의 能動與 교육 문헌 교육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박종경 | 사료철명강원교육

주제어사전(8)

  • / [생활/의생활]

    홑으로 만든 윗옷. 여름용 과 저고리 밑에 입는 속이 있다.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고름이 없고 단추로 여민다. 모시·삼베·무명 등으로 만드는데 삼베는 약간 거친 느낌을 주지만 모시는 올이 곱고 시원하다.

  • 증취객 / 贈醉客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매창(李梅窓)이 지은 한시. 오언절구로 작자의 문집인 『매창집(梅窓集)』에 수록되어 있다. 1·2구에서는 술취한 손님이 비단을 잡아당기니, 비단이 잡아당기는 대로 찢어진다고 하였다. 3·4구에서는 비단이 찢어지는 것은 아깝지 않으나, 다만 그

  • 나삼 / 羅衫 [생활/의생활]

    나(羅)로 만든 홑. 나는 망상(網狀)의 가볍고 얇은 면직물로 신라시대 포방라(布紡羅)의 경우는 인피섬유류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는 문양·용도·재료에 따라 소라(素羅)·화문라(花文羅)·삼라(衫羅)·단사라(單絲羅) 등으로 불렸다.

  • 문경최진일가묘출토복식 / 聞慶崔縝一家墓出土服飾 [생활/의생활]

    인 바지[開襠袴], 밑막힌 바지[合襠袴], 소모자(小帽子), 행전(行纏), 습신, 이불, 삽(翣), 부채, 이중깃 직령(直領) 조각, 철릭 조각 등 모두 26점이 수습되었다. 최진의 첫 번째 부인인 안동김씨 묘에서는 (), 한삼(汗衫), 저고리, 치마, 장옷[長

  • 문경평산신씨묘출토복식 / 聞慶平山申氏墓出土服飾 [생활/의생활]

    2004년 문경시 산양면 연소리에 소재한 장수황씨(長水黃氏) 황지(黃贄)의 부인 평산신씨(平山申氏)의 묘에서 출토된 16세기 복식과 염습제구 등 74점. 출토된 유물은 수의단령 1점, 단령대 1점, 장옷 5점, 당저고리 2점, 장저고리 1점, 단저고리 6점,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