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적개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4)
사전(74)
- 오자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부(嘉靖大夫)에 오르고 대호군(大護軍)이 되었다. 1467년 5월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내금위장(內禁衛將)으로서 구성군 준(龜城君浚)의 막하에 들어가 평정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 3등에 책록되고 보산군(寶山君)에 봉해졌다. 이어...이칭별칭 길보(吉甫)| 양무(襄武)|보산군(寶山君)
- 적개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세조 때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내용]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 45명을 3등급으로 나누어 포상하였다. 1등은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으로 구성군 준(龜...
- 적개공신(敵愾功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적개공신 적개공신 敵愾功臣 공신(功臣)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정충포의적개공신(精忠布義敵愾功臣),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정치인사/녹훈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세조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정충포의적개공신(精忠布義敵愾功臣),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 | 관련어이시애(李施愛)의 난(亂)
- 김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차관을 거쳐 1465년에는 예조정랑에 이르렀다.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구성군 준(龜城君浚)의 종사관으로 활약한 공으로 정충출기적개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2등에 녹훈되고 종부시정(宗簿寺正)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강원도관찰사로 있...이칭별칭 영중(瑩中)| 묵재(默齋)| 공양(恭襄)|종동(終同)|언양군(彦陽君)
- 김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군절도사 등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1467년 5월 아버지의 상을 당해 충청도 홍주에 내려가 있다가 만포절제사로 기복(起復)되었다. 그 해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강순(康純)의 비장(裨將)으로 출정해 공을 세우고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책훈되었으며...이칭별칭 고경(高卿)| 양양(養襄)|오림군(烏林君)|선산군(善山君)
고서·고문서(30)
- 1467년 손소(孫昭) 적개공신교서(敵愾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67년(세조 13) 11월에 손소를 정충출기적개공신으로 책록하면서 그 공을 치하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손소는 함경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허종 등 44인과 함께 적개공신으로 책록되었고, 2등 공신으로서의 특전과 함께 땅 100결, 노비 10구...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현소장처경주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 1467년 장말손(張末孫) 적개공신교서(敵愾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67년(세조 13) 11월에 장말손을 정충출기적개공신으로 책록하면서 그 공을 치하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장말손은 함경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허종 등 44인과 함께 적개공신으로 책록되었고, 2등 공신으로서의 특전과 함께 땅 100결, 노비 1...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교서 | 현소장처영주 화기 인동장씨 장말손 종택
- 1467년 이부(李溥) 적개공신교서(敵愾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67년(세조 13) 11월에 이부를 정충적개공신으로 책록하면서 그 공을 치하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이부는 함경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김교 등 44인과 함께 적개공신으로 책록되었고, 3등 공신으로서의 특전과 함께 땅 80결, 노비 8구 등의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교서 | 현소장처국립중앙박물관
- 1467년 허종(許琮) 적개공신교서(敵愾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67년(세조 13) 11월에 허종을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으로 책록하면서 그 공을 치하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허종은 함경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김교 등 44인과 함께 적개공신으로 책록되었고, 1등 공신으로서의 특전과 함께 땅 150결, 노비 1...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교서
- 1467년 김교(金嶠) 적개공신교서(敵愾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1467년(세조 13) 11월에 김교를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으로 책록하면서 그 공을 치하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김교는 함경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허종 등 44인과 함께 적개공신으로 책록되었고, 1등 공신으로서의 특전과 함께 땅 150결, 노비 1...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교서 | 현소장처함양 선산김씨 양양공 김교 후손가
주제어사전(3)
-
적개공신 / 敵愾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세조 때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 45명을 3등급으로 나누어 포상하였다. 1등은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으로 구성군 준·조석문·강순·어유소·박중선·허종·윤필상·김교·남이·이숙기 등 10명. 2등은
-
김교적개공신교서 / 金嶠敵愾功臣敎書 [역사/조선시대사]
1467년 무신 김교(1428~1480)를 적개공신 1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김교의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고경(高卿)이다. 판예빈시사 시로(時露)의 아들로 무과에 급제, 벼슬길에 오른 뒤 입사한 훈련원판관을 거쳐, 부호군
-
장말손 / 張末孫 [종교·철학/유학]
7년 이시애의 난 때 예조좌랑으로서 진북장군 강순을 따라 평정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 2등에 녹훈되고, 내섬시첨정에 임명되었다. 1482년연복군에 봉하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