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저포” 에 대한 검색결과 9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50)

사전(329)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휘건[행주치마]이나 보자기, 의복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모시. 홍(紅)는 겹휘건(裌揮巾)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백(白/白照布)는 보자기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홍장삼(紅長衫)은 기행나인(騎行內人), 황 장삼(黃長衫)은 상궁이 착용하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나무로 만든 주사위를 던져서 그 사위로 승부를 다투는 놀이. [내용] 저(樗 : 가죽나무)와 포(蒲 : 부들)의 열매로 주사위를 만든 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는 원래 중국의 놀이인데, ≪오잡조 五雜組≫ 권6에 는 삼대...
  •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뎌포 . 모시. 947 병진칠월억만셰 탄일의긔, 948 의대발기, 952 감진이월쳔만셰 탄일의긔, 954 무오칠월동궁마마의긔, 961 임오쳔만셰동궁마마 가례시간후보 오실 빈궁마누라의긔, 962 의대발기, 965 임오쳔만셰 동궁마...
    현대음저포 | 현대대응어저포. 모시. | 키워드복식. 직물
  • TD_P1_S_0017 일상도구 瓠, 斷壺, 浮囊, 油醬筒 中流, 軍中 子, 楊愼, 明成祖 鶡冠子, 詩, 左傳, 三才圖會 S_04_01_78 성호사설 4권 1장 78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4권 1장 7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Q2_D_0008 놀이 投壺 百濟 北史 D_03_01_91 대동운부군옥 3권 1장 9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1장 9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궁궐 안 사람들의 옷 이야기 | 성균관대학교]
    저자 :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국학자료연구실 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3.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로열패밀리'를 위한 옷 (1) 의대, 왕실복식을 부르는 말 (2) 단오, 백로 바뀌다 (3) 대홍, 함부로 입을 수 없는 왕실의 색 (4) 의식, 왕실복식을 구분짓다

고서·고문서(595)

  • 萬物門1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鶡冠子》云: “中流失船, 一壺千金.” 壺者, 瓠也, 《詩》所謂“斷壺”, 是也. 遇水可資以不溺故云爾. 子曰: “余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 楊愼以爲匏匏: 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瓠’로 되어 있다. 至於堅, 可濟而不可食, 惟用於渡涉, 擧《左傳》“匏瓜不材於人”...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巾下網巾之非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068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喪禮_居喪雜儀 巾下網巾之非 巾下網巾之非 이익(李瀷, 1681~1763) 書疑禮考證 DRAC_5:1:3:5Q 《家禮》“括髮 括髮: 《예설유편》에는 ‘髮括’로 되어 있다. 《朱子家禮》ㆍ《星湖全集...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임자년 임자하절의대차 발기(壬子夏節衣襨次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치부책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 동궁가례시 도침 발기(東宮嘉禮時 擣砧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 모시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모시 1778방언유석_서부방언027b.jpg 모시 葛布 갈포 褐子 무 綿子 플소옴 湖綿 죠흔 풀소옴 棉花 소옴 彈花 소옴 線麻 삼 苧麻 태모시 粱造 믈들이다 靛靑 반물 絲 외겹살 絨 융 線 합실 絲料 실ㅅ 繰絲...
    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구술자료(2)

  • 충청북도 괴산군_1.짜른 방아 2. 잘하네 못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영 이수영(1931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1. 짧은 방아 2. 잘하네 못하네 멕받형(선후창) 1.어허라 방아호 2.잘하네 못하네/에이야 후야 잘하네 1. 이포기 기, / 얼른 심고 잘 논매소 2. 이 논배미 잘매구/ 저 논배미루 넘어가세 1, 2.
    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광전리 하미전 | 녹음날짜2004.1.28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정수인 심청가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가 중 \'대팔 염주 목에 걸고, 단주 팔에 걸어, 백 장삼을 진홍띠 둘러 띠고\'의 소리로 시작. \'나는 안 데간다. 심청이 기가 막혀 눈 먼 부친을 부여잡고\'의 심청이 아버지 이별하는 대목의 소리로 마침.B면 심청가 중 \'아이고 아버지. 지중한 바녀천륜 끊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수인

신문·잡지(15)

  • 副業品共進會 特設館巡: 熊平․澔田․ (부업품공진회 특설관 순행: 웅평 호전 모시)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副業品共進會 特設館巡: 熊平․澔田․苧布 | 기사명_한글부업품공진회 특설관 순행: 웅평 호전 모시 | 부제_원문消防自動車が欠伸をして居る | 부제_한글소방자동차가 하품을 하고 있다 | 게재일19231016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5-9
  • 재한(在韓) 외국인의 상업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청일(淸日), 개항장(開港場), 조계(租界) 내 거류지(居留地), 비개항장[不通商口岸], 일본인, 청나라, 서양 열국, 농산물, 미곡(米穀), 면화(棉花), 삼베[麻布], 모시[], 인삼, 소가죽[牛皮] 조양보번역문.pdf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康津郡의一悖類가以挾雜得罪於本郡고逃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은於此數條에已可昭晰거니와規를嚴立에盜賊이屛跡며簿書를親執에吏鄕이束手며隱瘼를深察에窮蔀가皆蘇며詞訟을公辦에殘民이無寃기槪陳茂蹟에玆庸廣佈홈 康津人 金在升 朴基東 告 白
    게재일1904년 11월 21일 | 기사분류광고
  • 암 43 43쪽만 따로 스캔파일 추출할 것. 고투와 관조와 적멸-유치환씨의 작금 시정신 구상 44 고전 기 김시습 4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9
  • 조선문조선_1931_15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안곽 54 충남의 충청남도 74 동척의 토지개량사업대행폐지에 대하야 中村寅之助 76 사...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멀티미디어(2)

기타자료(6)

  • ss1-0328 유구 2014-02-26_0.3081934_합천 리 E지구 유적 표지.jpg 합천 리E지구 유적 陜川 苧魯里E地區 遺蹟 1987 부산대학교박물관 503 전옥년,김두철,우순희,하인수,이상율,서영남,이혜련 정진원 ...
    발행연도1987 | 발굴기관부산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 발해 사신 기진몽 등이 조하의례에 참석하다.〈739년 10월 견당사 판관 헤구리노 히로나리와 함께 입경한 발해사신 기진몽을 뜻한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奉翳)하는 미인은 다시 포고(袍袴)로 갈아입었다. 비탄국(飛驒國, 히다국)에서 백호와 백치를 바쳤다. (『續日本紀』 13 聖武天皇 天平 12年 春正月 戊子朔) 【원문】 春正月戊子朔 天皇御大極殿受朝賀 渤海郡使新羅學語等同亦在列 但奉翳美人更袴 飛驒國獻白狐白雉 (『續日本...
    대표표제어발해 사신 기진몽 등이 조하의례에 참석하다.〈739년 10월 견당사 판관 헤구리노 히로나리와 함께 입경한 발해사신 기진몽을 뜻한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40년(庚辰/신라 효성왕 4/발해 문왕 大興 4/唐 玄宗 開元 28/日本 聖武天皇 天平 12)
  • 발해사신이 조하의례에 참석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갈아 입었다. 히다국(飛驒國)에서 백호와 백치를 바쳤다. (『續日本紀』 13 聖武天皇 天平12年 春正月 戊子朔) 【원문】 春正月戊子朔 天皇御大極殿受朝賀 渤海郡使新羅學語等同亦在列 但奉翳美人更袴 飛驒國獻白狐·白雉 (『續日本紀』 13 聖武天皇 天平12年 春正月 戊子朔)...
    대표표제어발해사신이 조하의례에 참석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40년(庚辰/ 신라 효성왕4/ 발해 문왕 大興4/ 당 현종 개원28/ 일본 聖武 天平12)
  • 문을 중심으로 그 좌우에만 회랑이 있는 양식이 된다. 일탑삼금당을 이루는 건물들은 명문와의 분석에 따르자면 조선조에 들어와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적어도 그 완성은 북금당지에서 확인된 바에 따라 세조 9년 이후임이 분명하다. 이점은 김시습의 만복사기에서도...
    발행연도1986 | 발굴기관전라북도/전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북도
  • 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異 風高氣切 葉落年悲 憑山逺望 有傷懷抱 王以機䎸淸明 風神爽秀 歸以流謙之義 存於順迪之心 血食依時 茅苴不易 占休納祐 王之策也 嚴鋒之間 行人來往 今遣王所部僧琳潤賫書 一二 (『三國史記』 7 新羅本紀 7 文武王 11年)
    대표표제어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주제어사전(34)

  • / [생활/민속]

    나무로 만든 주사위를 던져서 그 사위로 승부를 다투는 놀이. 저(樗 : 가죽나무)와 포(蒲 : 부들)의 열매로 주사위를 만든 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는 원래 중국의 놀이인데, ≪오잡조 五雜組≫ 권6에 는 삼대(夏·殷·周)에도 있었다 하고, ≪태평어람 太平御

  • / 白 [생활/의생활]

    고려시대에 입었던 흰색의 포. 서긍의 ≪고려도경≫에 의하면 고려시대에는 왕 이하 평민에 이르기까지 남녀 구별 없이 모두 다 백를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는 빈부에 따라 옷감의 재질에 차이가 있었을 뿐이고 왕도 평상시에는 평민과 다름없이 조건에 백를 입

  • 전 / [경제·산업/산업]

    조선시대 육주비전 가운데 . 즉 모시베의 판매를 주로 취급한 시전. 조선시대의 의복 중 특히 상류생활층의 수요는 상당이 큰 것이었고, 따라서 거래도 많아 국역은 6푼으로 정하여진 큰 시전에 속한다. 포는 어디까지나 세포만을 취급하였으며, 삼베는 육의전이 아닌

  • 만복사기 / 萬福寺 [문학/한문학]

    현실이 지닌 문제점을 드러내 준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현실주의적·사실주의적 경향을 띤다. 「만복사기」는 이런 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적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된다.

  • 수군첨절제사 / 水軍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도의 수군절도사 관하에 있던 종3품 무관직. 수군의 거진을 이루는 주요 포구를 근거로 하면서 인근의 제진(諸鎭)을 이루는 제포()의 수군만호(水軍萬戶)를 관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