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재일조선인총연합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김일성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연구성과물(4)
사전(4)
- 재일조선인총연합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55년 5월 25일에 결성된 친북한계 재일 한국인 단체.정의1955년 5월 25일에 결성된 친북한계 재일 한국인 단체.[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ae Il Joseonin Chong Yeonhaphoe | MR표기Chae Il Chosŏnin Ch’ong Yŏnhapho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재일교포법적지위협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총련간에도 전 처럼 강경한 적대적 관계에서 차츰 벗어나고 있다. 민족성과 혁명성을 내세워 일본사회에서 '현지화'를 거부해온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1999년 조총련은 일본 내 61개 조총련계 초중고교 여학생들의 치마 저고리 교복을...
- 일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거류민단(민단)과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조직이 공존하고 있다. 종전 후 재일본한국인단체들이 합동하여 1945년 10월에 재일조선인연맹(조련)을 결성하였다. 그러나 그 뒤 친일파 및 민족파를 배제하고, 또 한국신탁통치안에 찬성하자 조련에 반대하는 박렬(朴烈)...
- 북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류민단을 발족시켰다. 이때부터 8년 동안 좌익계는 민단계에 대한 폭력과 내부 주도권 다툼을 거듭하다가 1955년 북한을 지지하는 한덕수(韓德銖)를 중심으로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를 결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북한은 조총련이 결성된 직후 정치‧사상‧...이칭별칭North Korea|DPRK|북조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제어사전(1)
-
재일조선인총연합회 / 在日朝鮮人總聯合會 [정치·법제/정치]
1955년 5월 25일 결성된 친북한계 재일한국인 단체. 북한은 조총련의 과업으로 4개의 강령을 설정하고, 재일한국인의 법적지위로서 일본에 거주할 권리, 북한에 자유로이 내왕, 귀국할 권리, 민족교육기관을 관리, 운영할 권리, 직업과 경영활동에서 일본인과 평등한 대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