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재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32)
사전(367)
- 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사옹원(司饔院)에 소속된 종6품의 잡직(雜職). [내용] 정원은 1인이다. 대전(大殿)‧왕비전(王妃殿)의 주방장과 같은 임무를 맡았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재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국정을 총괄한 최고 정무기관.정의고려시대 국정을 총괄한 최고 정무기관.[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aebu | MR표기Chae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再赴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60 再赴 관직 新化縣丞, 善政, 吏部主事, 邑民, 詣闕, 再借, 賜宴, 禮部, 我國之法, 守令, 不許再任, 特除, 驪州牧使, 大臣, 江華府使, 羅州牧使 大明洪武, 先王朝 周舟, 李大諫海壽, 權參判盼, 兪參議昔曾 J_04_01_...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재부(宰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재부 재부 宰夫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김상보 1895년 사옹원 종육품 잡직 [정의] 조선시대 사옹원(司饔院)에 소속된 종6품 잡직(雜職)의 직명(職...
- 一葉載浮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2_D_0029 一葉載浮 운송도구 江都 三都賦 D_08_01_94 대동운부군옥 8권 1장 9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1장 9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논문(2)
- 韓客來台觀光實務與韓語人才培育現況之研析 [중국문화대학 | Chinese Culture University]저자 : 游娟鐶(Chinese Culture University), 陳瓊華(Chinese Culture University) | 게재정보 : 第25期韓國學報 1권, 게재일 : 2014.07유형논문
- 글로벌 불확실성 뉴노멀 대응: 글로벌 국부펀드와 공공연금의 경험적 증거如何應對全球不確定性新常態:全球主權財富基金和公共養老金的經驗證據 [중한 전략적 동반자 협력관계 시각에서 복합형 한국학 인재 양성 모델 추진방안 | 遼寧大學 (Liaoning University)]저자 : Dai LiYan | 게재정보 : HUMANITIES & SOClAL SCIENCES JOURNAL OF HAINAN UNIVERSITY
고서·고문서(2,770)
- 栽培汎論 稻作用語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栽培汎論 稻作用語事典 농수해양학 농학 작물학 栽培汎論 稻作用語事典 韓國放送通信大學 農學科 編 螢雪出版社 서울 1984 작...대표표제어栽培汎論 稻作用語事典 | 대분류농수해양학 | 중분류농학 | 소분류작물학
- 姑在不得承重服說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st_00025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三 喪禮_大功 姑在不得承重服說 姑在不得承重服說 이익(李瀷, 1681~1763) 姑在不得承重服說 DRAC_3:1:3:1 人有長子先亡, 長孫代受重, 而其妻以姑在難其服. 金沙溪《備要》書中, 推宋僕射魏仁浦之說...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정조 연간 조고인재부군행적(祖考忍齋府君行蹟)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행장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 馳馬谷【在府北八十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1020 馳馬谷【在府北八十里】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鳥吟洞【在府北東六十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30 詩集 卷三 ITKC_MP_0597A_0030_010_1030 鳥吟洞【在府北東六十里】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3)
- 이기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25, 8.15 한글 연세대학교 재부5도연합회 회장 AKS_2015_KFR_1230004_070_이기활.pdf pdf구술자이기활 | 직업재부5도연합회 회장 | 지역평안도
- 무사 타이라노 마사카도와 스가와라노 미츠자네의 비극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에 그래서 사실 복수 신에 더 가까워요. (학문의 신은) 그것은 좀 표면적인] [조사자: 사실은 복수에 더 가까운?] 네, 맞아요. [청자: 그래도 다자이후(太宰府)라는, 아세요? 규슈, 후쿠오카의] [조사자: 들어봤어요] [청자: 아마 한국인들이 후쿠오카 여행가면 가국가일본 | 제보자마츠자키 료코 [일본, 여, 1982년생, 이주노동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전쟁통에 피어난 많은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재부 죽인 성, 재부 죽였었던, 그 그리고 학생들 거기가 온게, 무서운게 내뺐어. 거- 기 저 화롱리(황룡리) 뒤에, 뎀뎀히 가믄 거 리로 하믄 한 거리로 따지면 한 300메타 400메타 더 될 거여. 근디 요 학동 거그 저수지구에 버라려(벼르고) 있어. 그러고 이 자조사지역전남 장성 | 조사일2012년 2월 21일
기초학문(7)
- 중국 현(縣)의 재부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71017 한국연구재단 중앙사학연구소 2015 중국 현(縣)의 재부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유형논문 | 게재일2015
- 8세기 신라와 일본의 대재부 교역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이옥, 게재일 : 201353556 조이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신라사학회 2013 8세기 신라와 일본의 대재부 교역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부재不在의 역사를 생동의 현실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숙인, 게재일 : 200602010 이숙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6 부재不在의 역사를 생동의 현실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6
- 7세기 후반 신라의 대일외교와 대재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이옥, 게재일 : 201717220 조이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7세기 후반 신라의 대일외교와 대재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훈상, 게재일 : 201555471 이훈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문서학회 2015 전라도 고창의 향리 신재효의 재부 축적과 그 운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378)
- 派員栽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면화소 셜시기위야탁지에셔만환지츌건은이왕긔얏거니와먼져젼라도에면화소열곳을 션뎡고 우션목포진도등디에 토디슈얏다며 면화법을 견습기위야 경셩학당 일어죨업 팔인을션츌야 본월이십구일에 나갈터인 학원들에월급은 월 이십환식이라더라게재일1906년 4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財簿見習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회계국장 김관현씨가 각디방관쳥 무상문부를 일쳬졍리야 일치가되게 계획으로 장도부 회계쥬즁 일명식불너올녀 부회계국에셔 얼마간 견습케기로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4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評議裁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에셔 본일 하오이시에 면화소 평의원을 회동야 면화을 확쟝일에 야 그방침을 강구다더라게재일1906년 1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濟擾再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졔쥬목 리호씨가 부로 보고하기를 본도 민요가 도시 텬쥬교에 악과 봉셰관에 남봉으로 말암아 난일이니 봉셰관을 폐지하고 텬쥬교를 것어가지 아니하면 십만 령이 금일은 살고 명일에 쥭을지라도 민요가 쉬일 날이 업실터이오 법국 션교로 말지라도 이셤이 본 ...게재일1901년 6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栽培講話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농상공부에셔 동문외둑셤에임의 셜치 원예모범쟝에 일본인을 고용야 방쟝각죵쇼를 재 그모범쟝안에 뎨일회로 재강화회를 셜고 디부근농민을 회집야 각쇼를 재난일에 긴요방법과 산업상 모범을 셜명야 듯고보계차로 한셩부에 훈칙야 각동인민을 예뎡 ...게재일1907년 3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05)
- 한재복;韓在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3690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校友會誌 제7호 1932―12―13 109면 한재복;韓在復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고려사신을 대재부(大宰府)로 부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고려사신을 대재부(大宰府)로 부르다. 교역물품 759년(己亥/신라 경덕왕 18/발해 문왕 大興 23/唐 肅宗 乾元 2/日本 淳仁天皇 天平寶字 3) 발해 ...대표표제어고려사신을 대재부(大宰府)로 부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59년(己亥/신라 경덕왕 18/발해 문왕 大興 23/唐 肅宗 乾元 2/日本 淳仁天皇 天平寶字 3)
- 고려사신을 대재부(大宰府)로 부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고려사신을 대재부(大宰府)로 부르다. 교류담당 759년(己亥/신라 경덕왕 18/발해 문왕 23 大興 23/唐 乾元 2/日本 天平寶字 3) 발해 발해→...대표표제어고려사신을 대재부(大宰府)로 부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59년(己亥/신라 경덕왕 18/발해 문왕 23 大興 23/唐 乾元 2/日本 天平寶字 3)
- 한재복;韓在復;牧野一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5488 남한 경북 대구고등보통학교 2-14 慶北公立中學校同窓會報 제17호 1942―12 42면 한재복;韓在復;牧野一淸 慶山군청 제11회 1933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라가 보낸 조부를 일본이 태재부가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보낸 조부를 일본이 태재부가 전하다 교류담당 688년(戊子/신라 신문왕 8/唐 垂拱 4/倭 持統 2) 신라 신라→일본 【번역】 2월 경인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조부를 일본이 태재부가 전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88년(戊子/신라 신문왕 8/唐 垂拱 4/倭 持統 2)
주제어사전(9)
-
재부 / 宰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옹원에 소속된 종6품의 잡직. 정원은 1인이다. 대전(大殿)·왕비전(王妃殿)의 주방장과 같은 임무를 맡았다.
-
건답법 / 乾畓法 [경제·산업/산업]
한해(旱害)가 심한 지역에서 가뭄에 대비한 벼농사법. 건도재배는 전적으로 천수(天水:天上水, 빗물)에만 의지하여 벼를 재배하는 것이며, 벼의 생육 초기에는 비가 오지 않으므로 토양이 건조해진다. 그 건조한 상태에서 밭벼와 같이 볍씨를 파종한 다음 한동안 밭벼와 같이 취
-
삼척포진 / 三陟浦鎭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도호부에 있던 수군 거진(巨鎭). <신증동국여지승람>권 44 삼척도호부(三陟都護府) 관방조(關防條)에 “三陟浦鎭 在府東八里 有水軍僉節制使營”이라고 하였다.
-
기술관 / 技術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의 전문기능직 관원. 잡학이라고 불린 기술학에 종사하는 관직자들을 총칭하였는데, 역관·의관·천문관·지관·산관·율관·화원·도류·금루·악생·악공·상도·지도·화사·공제·공조·재부·선부 등이 있었다.
-
강릉보광리분청자요지 / 江陵普光里粉靑磁窯址 [예술·체육/공예]
벽이 두꺼운 대접·접시편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15세기 전반기에 사용되었던 가마로 추정된다.《세종실록》지리지의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조에 보이는 ‘자기소(磁器所)-재부서보현부(在府西普賢府)’에 비정되는 요지로 보여지며, 강원도 일대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되는 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