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호강” 에 대한 검색결과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3)

  • 호강전진시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의 시집. [개설] B6판. 236면. 1969년 아성출판사(亞成出版社)에서 간행하였다. 신시 6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문단 생활 20년을 정리하려는 의도에서 출판되었다. [내용] 표지 다음에 저자의 “애...
  • 최세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1∼?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왕세일(王世一). 평안남도 대동출신. 1943년 중국 가이펑(開封)지구에서 광복군 특파원 ()과 접선하여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다. 그뒤 가이펑지구에서 지하활동을 전개하여 초모‧선전‧...
    이칭별칭왕세일(王世一)
  • 청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강원(講院)이며, 용허(龍虛)‧백(伯)에 이르기까지 수백 년 동안 계속되었던 선불장(撰佛場)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암자이다. 서운암은 원래 내원암의 속암이었다. 강원으로서 이름을 떨쳤던 내원암으로 찾아오는 학승(學僧)들이 너무 많아 약 100여 년 전에...
    이칭별칭대장암(大藏庵)

신문·잡지(13)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1916-2009.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북도 철산군(鐵山郡)이다. 중국중앙군관학교를 졸업한 뒤 제24집단 군사령부와 제29군사령부의 정보장교를 역임하였다. 광복군에 입대하여 제3지대 본부의 부관실에서 근무하였고, 제3지대가를 작사·작곡하여 보급하였다.

  • 최세득 / 崔世得 [역사/근대사]

    1921-미상. 광복군. 일명 왕세일(王世一). 평안남도 대동 출신. 1943년 중국 가이펑(開封) 지구에서 광복군 특파원 ()과 접선하여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다. 그뒤 가이펑 지구에서 지하활동을 전개하여 초모·선전·첩보 활동을 하였으며, 광복이 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