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헌문”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0(고종 7)∼1926. 조선 말기의 의병장. [내용] 자는 무장(武章), 호는 뇌헌(磊軒). 경상북도 영일 출신. 1895년(고종 32)의 민비시해(閔妃弑害)와 단발령(斷髮令)을 계기로 을미의병이 전국적으로 봉기하자, 1896년 영...
    이칭별칭 무장(武章)| 뇌헌(磊軒)

고서·고문서(8)

  • 畓主 辛宗洛이 에게 땅을 판 明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642 0845_01 畓主 辛宗洛이 에게 땅을 판 明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장말손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명문문기류, 명문, 전답매매명문 한자 고문서 SJ351.JPG 畓主 辛宗洛이 에게 땅을 판 明文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畓主 辛宗洛이 에게 땅을 판 明文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643 0845_02 畓主 辛宗洛이 에게 땅을 판 明文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장말손 종가, 일상생활, 경제생활, 명문문기류, 명문, 전답매매명문 한자 고문서 SJ351.hwp 光緖拾參年丁亥十二月三十日前明 文 右明...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張復善의 准戶口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幼學 (31세)이고, 子婦는 宋氏(30세)이다. 婢도 한 명 있다. 처가 쪽은 기록이 없다.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張復善의 准戶口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統第一戶 幼學張復善年五十一癸未生本仁同 父學生 五鎭 祖學生 弘矩 曾祖學生 始玉 外祖學生 秦尙穆本永定 率子幼學年三十一癸卯生 子婦宋氏齡三十甲辰生籍恩津 婢乙女等庚午式相準 印 行郡守(수결) 장말손 종가 장덕필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張復善의 准戶口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1월 43 39 1 장말손 종가 장덕필 光緖 20년(1894) 1월에 작성된 幼學 張復善(72세)의 准戶口이다. 榮川郡에서 張復善(72세)에게 발급한 문서이다. 아버지 五鎭, 할아버지 洪矩, 증조 始玉, 외조가 있다. 率子는 幼學 (52세)이...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70-1926. 한말의 의병장. 자는 무장(武章), 호는 뇌헌(磊軒). 경상북도 영일 출신. 1895년(고종 32)의 민비시해(閔妃弑害)와 단발령(斷髮令)을 계기로 을미의병이 전국적으로 봉기하자, 1896년 영일에서 1차거의, 항일투쟁을 개시하였다. 그뒤 일제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