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패륜”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3)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장도 참여하였다. 장인당은 1854년 군중(軍中)에서 사망하였다. 유년의 은 태평천국운동과 염군(捻軍) 봉기로 강남 각지를 전전하다가 항주에 정착하였다. 1870년 북경(北京)에 와서 순천부향시(順天府鄕試)에 참여하여 거인(擧人)이 되었다. 다음 해 진사(進士)가...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이홍장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懷, 셩산화이)를 비롯하여 풍계분(馮桂芬, 펑구이펀), 설복성(薛福成, 쉐푸청), 정관응(鄭觀應, 정관잉), 마건충(馬建忠, 마젠충) 등 양무사상가, 오정방(伍廷芳, 우팅팡) 등 외교관원, 당정추(唐廷樞, 탕팅수), 서윤(徐潤, 쉬륜) 등 매판, (, 장페이...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갑신정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였으며, 청국은 한림원학사 ()의 ‘동정선후육책(東征善後六策)’이라는 건의안을 채택하여 이 기회에 군대를 파견하여 임오군란을 ‘진압’한 다음 조선을 실질적으로 ‘속방화(屬邦化)’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래서 청국은 3,000명의 군대를 조선에 파병하여 주...

고서·고문서(3)

  • 조선에서 발생한 중요한 사안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터무니없는 보고를 한 어사 장패륜(張佩綸)을 면직시키고 더 이상 公事(공사)에 간여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는 이홍장의 주청과 그에 대한 황제의 비답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서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北京第一歷史檔案館 | 발신일1894.08.29.
  • 1882년 11월 23일 북양대신 이홍장이 총서에 보낸 공문이다. 장패륜이 번방을 정벌할 것을 건의한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82.11.23.
  • 추안급국안 : 갑신년(1764, 영조 40) 역적 이태정(李太丁)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果問之而果然不知矣仍與面質令是白乎 矣洪洧向尙默曰汝果不問耶尙默曰果問之矣尙默向者斤 萬曰汝果不面質於慶尙監營耶者斤萬曰吾果面質於監營 矣相考處置敎事 ○ 자근만의 1차 형신 내용 同月十七日罪人者斤萬更推白等矣身 行己無雖不更問何等心腸作此無狀罔測之說是喩 決非矣身做作兺不喩矣身亦...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외교]

    1848-1903. 청말 청류파 관리. 임오군란 이후 조선지배 강경파. 이홍장의 사위. 1871년 한림원편수가 되었다. 1875년 한림원시강으로 발탁되었고, 1876년 기거주관으로 활약하였다. 을 포함하는 청류파는 러시이와 타협한 숭후를 격렬하게 비판하여 숭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