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축자”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9)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고 기러기를 주고받는 의식인 전안(奠案)을 치르므로 집사관의 하나인 집안자(執雁者)가 필요하였다. 一禮文內納采正使正一品副使正二品傳敎官承旨典儀通禮院官協律郎掌樂院官謁者參外掌苑署官儐者參外掌次者典設司官納徵正使正一品副使正二品傳, (가례1727/042ㄱ05~07)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전안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馬壹匹具鞍雙牽馬陪司僕寺黑團領品胸背自備奠雁床尙方紅紬牀巾貳濟用監畵龍燭壹雙義盈庫, (가례1727/118ㄴ05~07)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집안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고받는 의식인 전안(奠案)을 치르므로 집사관의 하나인 집안자(執雁者)가 필요하였다. 집안자를 ()라고도 한다. 右執雁者從之主人入門而左使者陞自東階至堂中正使南向立副使立於正使東南執雁者在副使東南俱西向主人就庭中北向四拜, (가례1727/162ㄱ10~12)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정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관(監造官) 6인, 그리고 정1품 정사(正使) 1인, 정2품 부사(副使) 1인, 조선시대관(傳敎官) 1인,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 1인, 장차자(掌次者)[전설사관원典設司官員] 1인 및 산원(算員)ㆍ녹사(錄事)ㆍ서리(書吏)ㆍ서사(書寫)ㆍ고직(庫直)ㆍ사령(...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부사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낭청(郎廳) 6인, 9품 감조관(監造官) 6인, 그리고 정1품 정사(正使) 1인, 정2품 부사(副使) 1인, 조선 시대관[傳敎官] 1인, ()[장원서별제(掌苑署別提)] 1인, 장차자(掌次者)[전설사관원(典設司官員)] 1인 및 산원(算員)ㆍ녹사(錄事)ㆍ서리(書...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2)

  • 을 마조 드러 山呼를 하올 적에 천세 천세 천세이라 일시에 하는 소래 전각이 움즈기네 강산에 화기 가득 건곤에 화기 가득 陳賀를 바드신 후 그 끝에 賞典 나려 전교관 예방승지 동서창 좌우인에 선전관 득석관에 장발자 를 차레로 반상하니 堂上이 일곱이오 出六이 아홉이...
    구분잡가 | 편저자신태화
  • 추안급국안 : 정묘년(1807, 순조 7) 죄인 이광욱(李光郁)‧이관호(李觀鎬) 등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者抑何委折是喩 此必有凶謀慝情之素所矣身雖甚獰頑鞫體 至嚴必覈乃已毋敢抵賴從實直告亦推問敎是臥乎 在亦 矣身於前日納供時死期將迫天奪其魄不知不 覺之中忽以義理主人四字胡亂納招是白乎乃矣身 於龜柱有何情私而到今逆節彰露之後以何心腸敢 以義理主人稱之乎問曰矣身許多所供皆是胡亂全 沒緊着欲爲漫漶語...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6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주제어사전(1)

  • / [사회/사회구조]

    국혼 때 신부 집에서 납채, 전안 절차를 행하는 의식에 사용하는 기러기를 든 집사관. 세자빈 등의 국혼의 경우 신부 집에서 납채를 받는 의식을 행할 때 국왕의 교서와 기러기를 주고받는 의식을 치르고, 또 친영 때도 전안위를 마련하고 기러기를 주고받는 의식인 전안을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