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찬” 에 대한 검색결과 7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97)

사전(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궁(世子宮)에 소속된 종7품 궁관. [내용] 『경국대전』에 장정(掌正)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직분은 음식에 관한 제반 일을 맡아보았다. 『경국대전(經國大典)』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세자궁에 속하여 식찬을 마련해 올리는 일을 담당한 궁관. 세자궁에는 과 장식(掌食)이 배속되어 있다. 王世子答再拜揖嬪就座帥其屬擧饌卓入設於王世子及嬪座前二人詣酒卓取盞酌酒一人跪進于, (가례1727/184ㄴ01~03)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581 인물 () ? ? 조선 후기의 무신. 1698년 2월 초량(草梁)에 사는 박후신(朴後信)과 한양사람의 노비 무금(武金)이 왜관에 인삼 1근을 몰래 팔려고 하다가 붙잡혔는데, 당시 부장(部將...
    유형분류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세자궁(世子宮), 여관(女官)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혜련 [정의] 내명부(內命婦) 종7품 궁관...
    관련어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세자궁(世子宮), 여관(女官)
  • 향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李)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97년 이의 아들 이승혁(李承赫)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심기택(沈琦澤)의 서문, 권말에 이용원(李容元)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6권 3책...

고서·고문서(606)

  • 栗谷先生全書 卷之十四 贊 38 夫子文 14_127_021.jpg 夫子文 贊: 속1에는 뒤에 “月課”가 더 있음. 天高地厚, 日臨月照。 經紀江漢, 賁飾山林。 察乎上下, 孰闡幽深! 規圓矩方, 身度聲律。 動爲世道, 言爲世則。 無隱乎爾, 孰燭玄微! 夫子之文,...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850년 유학(幼學) 이(李) 가대명문(家垈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주역대전 : 해제_47. 이(李)의 역학기의(易學記疑)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47. 이(李)의 역학기의(易學記疑) 이(李, 1794~1860)의 본관은 한산(韓山)이고, 자는 양숙(襄叔)이며, 호는 향은(薌隱)이다.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 1517~1578)의 후손이고, 오촌(鰲村) 송치규(宋穉...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학파선생실기(鶴坡先生實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8609 B018609 건평 乾坪 경제산업 江都志 _ _ 墩隍 ... 1101]小檢島, 後崖, 陽巖], 葛串將屬[葛串, 分五里, 松串, 彌串], 屬[北一, , 黔巖追後所築], 松岡將屬[松岡, 窟巖, 乾坪], 望洋將屬[望洋, 三三巖, 石角], 鷄龍將屬[鷄龍,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사래길고 밭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리랑타령이 끝난 후 조사팀이 밭매면서 불렀던 노래를 듣고 싶다고 권하였더니 구연하였다. 중간에 노래의 내용에 대해 설명해 주 었다.
    조사일시2011.02.19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하성마을 | 제보자신길자
  • 일화(1)(2)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얘기가 끝나자마자 또 하나 있다며 녹음기를 끄지 말라더니 서둘러 이 얘기를 계속했다. 아마 이 지방의 자랑거리로 이런 얘기를 선뜻 생각해 낸 것 같았다.
    조사일시1981-02-23 | 조사장소충청남도 보령군 웅천면 | 제보자김동립

신문·잡지(18)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최승소(最勝疏) 1 最勝疏 최승소 유통서지 最勝疏 8 勝 一切經論律章疏集(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 p.25...
    대표표제어최승소(最勝疏) 1 | 대표서명最勝疏 | 한글서명최승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최승소(最勝疏) 2 最勝疏 최승소 유통서지 最勝疏 8 勝 華嚴宗章疏幷因明錄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음,...
    대표표제어최승소(最勝疏) 2 | 대표서명最勝疏 | 한글서명최승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천도교회월보_1917_08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15 오교는 중생을 지배하는 양(粮) 최익천 16 지성은 만세의 보(寶) 봉 18 시중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7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修學院長 李根湘 命監時署理侍從院卿兼內大臣事務 六月六日 陞正三品 六品宋鉉 光武十年十 一日十四日 江陵副敎員 최世鳴 任安州副敎員 五月一日 任陪從武官長 侍從武官長 趙東潤 任侍從武官謀官李鍾健 以上五月三十一日 命兼任修學院敎官 制度局叅書官兪致衡 命修學院敎官 正三品安宅重 以上六...
    게재일1907년 6월 11일 | 기사분류관보
  • 465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신룡삼 룡천 최재린, 최선도, 리재근, 두, 안민현, 김약룡, 백창국, 신룡삼 발외리용 면적으로 2활□부 증산을 계획한 계획서를 설명하면서 □게함으로서 능히 김일성 위원장이 호소하신바 북조선 지대를 더욱 풍부한 지대로...
    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0_03 | 책임주필김봉훈

기타자료(16)

  • 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0592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35면 1. 본년도 회원 씨명;5학년 을반 덕;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3378 남한 충남 천안농업고등학교 천안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2~1945) n.r. 42면 12. 1944년도 졸업생(4년제) 기;基 경기도 양주군 양주면 1945.3.24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천안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5422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21면 9. 대정9년 3월 22일 졸업 36명(9회) 상;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5728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8면 2. 재학생씨명;5) 법률과 덕;德 평북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5818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9면 2. 재학생씨명;5) 법률과 성;聖 평북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궁에 소속된 종7품 궁관. ≪경국대전≫에 장정(掌正)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직분은 음식에 관한 제반 일을 맡아보았다. 세자궁의 종7품 궁관이다. 원래의 사찬(司饌)이 개칭된 것으로 식찬을 마련하여 올리는 임무를 맡고 장식장의(掌食掌醫)를

  • 장정 / 掌正 [정치·법제/법제·행정]

    바로잡기 위하여 죄과를 규명하며 죄를 지었을 때는 규탄과 벌을 주었다. 그 뒤 ≪경국대전≫에 ()과 같은 종7품의 등급으로 법제화되었다.

  • 김종수 / 金鍾秀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권신(1728∼1799). 할아버지는 참판 희로, 아버지는 치만, 어머니는 홍석보의 딸이다. 부인은 윤득경의 딸이다. 영조가 죽자 행집당상이 되었고, 승지·경기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치고, 규장각이 정비되면서 제학에 임명되었다. 사도세자를 위한

  • 선농구 / 選農謳 [문학/한문학]

    ’ 등이 쓰이고 있는데, 이것으로 만조(慢調)와 촉조(促調)를 구분하였다. 「경장무(竟長畝)」라고 한 기음노래 가운데 첫마디를 보면, “竟長畝畝正荒, 日煮我背汗翻漿(경장무무정황, 일자아배한번장)”이라 하였는데, 이는 “사래 길고 밭이 다 묵었는데, 해가 등을 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