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장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54)
사전(310)
- 장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9품의 궁관직. [내용] 그 품계는 종9품이다.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장봉(掌縫)과 같이 직속상관인 사칙(司則, 종6품)을 돕고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
- 장장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연장자를 연장자로 대우함.정의연장자를 연장자로 대우함.[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angjang | MR표기chang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장장(掌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장장 장장 掌藏 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세자궁(世子宮), 여관(女官)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혜련 [정의] 내명부(內命婦) 종9품 궁관...관련어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세자궁(世子宮), 여관(女官)
- 대장장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철, 구리, 주석 등 금속을 달구고 두드려 연장과 기구를 만드는 장인. [내용] 딱쇠, 대정장이, 성냥, 바지, 야장(冶匠), 철장(鐵匠)이라고도 하는 대장장이는 청동기의 출현과 동시에 등장하였다. 그러나 기록상 최초의 야장은 신라의
- 대장장이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616)
- 공장장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공장장 양 남자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龙县) 예지향(誉之乡) 길림성 화룡현 예지향 2 2 공장장, 담임, 방송국,...대표표제어공장장 | 성씨양
- 金金【狀狀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240 附 雜纂集 二 ITKC_MP_0597A_0240_020_0520 金金【狀狀等】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附 雜纂集 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我思古人行三章章六句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40 詩集 卷四 ITKC_MP_0597A_0040_010_0270 我思古人行三章章六句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권차명詩集 卷四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 第三統統首張章元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89년_하부내면(下府內面) 1789년 하부내면(下府內面) 第一富平里 3 第三統統首張章元 第一戶 驛吏張章元年伍拾陸甲寅本仁同父貴連祖九金曾祖石乙立外祖洪述贊本南平妻禹姓年陸拾肆丙午本丹陽父石乙 祖介石乙二祖不知率子卜用年拾捌壬辰等丙午戶口相准 第二戶 營軍牢朴太...연도_면이름1789년_하부내면(下府內面) | 면이름하부내면(下府內面) | 마을이름第一富平里
- 정축년 장장문(張長文) 수표(手標)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수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수표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구술자료(17)
- 오성과 대장장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에 이어서 한음의 부인이 오성에게 똥을 먹인 이야기를 계속해""<page id="326"/>""보려 했으나, 두분 다 기억해 내지 못하였다. 그 대신 심운택씨가 오성이 어렸을때의 이야기를 했다.*조사일시1983-07-20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 제보자심운택
- 대장장이에게 속은 오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가 오성 이항복이 살았던 마을이며, 제보자 또한 오성의 후손이라는 점을 참고하여, 오성대감에 대한 이야기 중 들으신 것이 없는지 묻자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0. 1. 30(토) | 조사장소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1리 1089-1 금현1리 마을회관 | 제보자이종태
- 대장장이를 혼내준 오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 당시, 제보자는 주로 옆에 앉아 이야기를 듣기만 하였으나, 조사자가 오성대감과 그 일화에 대한 질문을 하니, 문득 생각이 나신 오성대감의 일화를 구연하였다. 어린 시절 어른들께 들었던 이야기 중 하나라고 하였는데, 연로하여 기억력이 좋지 않고, 서사내용을 ...조사일시2010. 1. 30(토) | 조사장소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가산1리 102-2 가산1리 마을회관 | 제보자이삼성
- 대장장이에게 앙갚음한 오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에 이어 조사자가 오성 대감에 대한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제보자는 오성 대감의 키가 아주 작았다는 이야기로 구연을 시작했다.조사일시2011.02.12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죽당2리 866-2번지 제보자 자택 | 제보자강진구
- 숙종 대왕의 잠행과 대장장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에 이어 조사자가 숙종대왕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구연을 바로 시작했다.조사일시2011.02.12 | 조사장소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죽당2리 866-2번지 제보자 자택 | 제보자강진구
기초학문(5)
- 신장장애인의 질환이후 생애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민희, 게재일 : 201564811 강민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신장장애인의 질환이후 생애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돌봄을 통한 신장장애인 가족의 장애경험 사례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민희, 게재일 : 201817060 강민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돌봄을 통한 신장장애인 가족의 장애경험 사례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8
- 공공분쟁해소를 위한 분쟁현황판 연구: 부천시, 하남시 화장장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강민, 게재일 : 201057606 김강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 공공분쟁해소를 위한 분쟁현황판 연구: 부천시, 하남시 화장장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일제 식민지기 死者공간의 배치와 이미지 형성 ― 공동묘지와 화장장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일영, 게재일 : 201661536 정일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수선사학회 2016 일제 식민지기 死者공간의 배치와 이미지 형성 ― 공동묘지와 화장장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몽골 고대 서사문학에 나타난기형 모티프와 신성에 대한 알레고리 2 - 외눈박이의 대장장이 화소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안나, 게재일 : 201562757 이안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몽골학회 2015 몽골 고대 서사문학에 나타난기형 모티프와 신성에 대한 알레고리 2 - 외눈박이의 대장장이 화소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278)
- 會長長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미국상항 공립협회 춍회장 송셕쥰씨 신병으로 셰상을 작별얏다더라게재일1907년 6월 7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局長將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군부포공국쟝 상직현씨 군함건에 야 불션거 으로 면본관이 된다더라게재일1903년 6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삼장장(三障章)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삼장장(三障章) 1 三障章 삼장장 유통서지 三障章 1 法相宗章疏 T55, p. 1140a24대표표제어삼장장(三障章) 1 | 대표서명三障章 | 한글서명삼장장 | 서지형태유통서지
- 삼장장(三障章)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삼장장(三障章) 2 三障章 삼장장 유통서지 三障章 1 一切經論律章疏集(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 p.289대표표제어삼장장(三障章) 2 | 대표서명三障章 | 한글서명삼장장 | 서지형태유통서지
- 이장장(二障章)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이장장(二障章) 1 二障章 이장장 유통서지 二障章 1 元曉 勝寶3 記載 奈良朝現在一切經疏目錄 권11-566 동아시아 한국...대표표제어이장장(二障章) 1 | 대표서명二障章 | 한글서명이장장 | 서지형태유통서지
기타자료(28)
- 장장식;張長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535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16면 장장식;張長植 함남 북청 1935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장식;張長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7606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18면 장장식;張長植 함남 북청 1935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장용;張將用;장택징웅;長澤澄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5341 남한 충남 공주농업고등학교 공주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7(1938)~1945) n.r. 28면 7. 제7회 장장용;張將用;장택징웅;長澤澄雄 충청남도 1943년 12월 21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교육논단) 현장장학지도의 새로운 방향고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논단) 현장장학지도의 새로운 방향고찰 (교육논단) 현장장학지도의 새로운 방향고찰 (敎育論壇) 現場奬學指導의 새로운 方向考察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재상 | 사료철명교육전남
- 31. 묘지, 화장장, 매장 및 화장에 관한 행정 명령과 규정들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31. 묘지, 화장장, 매장 및 화장에 관한 행정 명령과 규정들 n°80. Ordonnance et règlements concernant les cimotières, les fours crématoires, les nhumations et les crématio...집필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작성연도1916년 | 작성월일12월 08일 | 발신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수신자R. 푸엥카레, 프랑스 총리 겸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22)
-
장장 / 掌藏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9품의 궁관직.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장봉(掌縫)과 같이 직속상관인 사칙(司則, 종6품)을 돕고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이들의 임무는 주로 세자궁의 재물과 비단옷감 등을 관리하였다.
-
이장장가 / 李璋長歌 [문학/고전시가]
1532년에 이장(李璋)이 조정의 신하들을 비방하여 지은 시가 작품. 『중종실록』 권74, ‘28년 3월’ 기사 등에 실린 「이장장가」는 다음과 같다(기사별로 표기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괄호 속은 차자표기를 성호경이 당시의 한국어로 옮긴 것임). “鄭光弼 細筆奴
-
대장장이 / [사회/사회구조]
어 자루를 박는다. 전통적인 대장장이가 호미 하나를 만드는 시간은 줄잡아 한 시간이 걸리지만, 기계로 제작하면 한꺼번에 수십 개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대장장이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1970년대 이후 시골의 장에서도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
해남화원목장장정 / 海南花源牧場章程 [경제·산업/산업]
1896년 10월 궁내부(宮內府)내장사(內藏司)에서 만든 전라남도 해남 화원목장의 장정. 4장 1책. 필사본. 목장토는 이전까지는 면세지였으나 궁내부 내장원(내장사)으로 관할권이 옮겨가면서, 종래 출세(出稅)하지 않던 역둔토(驛屯土)·사궁장토(司宮庄土)를 탁지부에서 승
-
장봉 / 掌縫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8품 궁관직.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었다. 장장(掌藏)과 같이 직속상관인 사칙(종6품)을 돕고, 그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이들의 주임무는 바느질과 길쌈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그 뒤 ≪경국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