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작감” 에 대한 검색결과 1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1)

사전(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壇)이 있었다. [내용 및 변천] 고려 건국 초 관제는 신라와 태봉의 관제를 계승하고 당나라 제도를 참고해 편성됐다. 즉 건국 초에는 이것을 그대로 습용(襲用)하다가 목종 때 이르러 으로 정착되어 감(監)‧소감(少監)‧승(丞)‧주부(注簿)의 직제를...
    이칭별칭선공감|선공사|선공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토목공사와 건축‧수리를 담당하던 관청.
    정의고려시대 토목공사와 건축‧수리를 담당하던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angjakgam | MR표기Changjakk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잡작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泥匠) 등의 전문기술인이 소속되어 있어 이미 목종 때 설치된 ()과 함께 당시 토목공사를 주관하였다. 그러나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충선왕은 도교서를 혁파하여 잡작국으로 고치고, 직제로는 사(使, 종5품)ㆍ부사(副使, 종6품)ㆍ직장(直長, 종7품...
  • 선공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토목과 영선(營繕)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내용] 목종 때 ()이라 불렀다. 관원으로 감(監)‧소감(少監)‧승(丞)‧주부(注簿)가 있었고, 문종 때 관제를 고쳐 판사(判事, 종3품)‧감(정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비서성‧전중성(殿中省)‧소부감(少府監)‧()‧사진감(司津監)‧군기감‧태복감(太卜監)‧태의감 종3품 장관직. [내용] 후기에 자주 관제를 개정할 때 영(令)‧윤(尹)‧정(正) 등으로 바뀌었다.

고서·고문서(54)

  • 속자치통감장편_續資治通鑑長編291 神宗 元豐元年八月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
    5978 중국 사서 속자치통감장편 089 문종(文宗) 32 1078 8 續資治通鑑長編291 神宗 元豐元年八月 (己未) 詔左諫議大夫史館修撰安燾 候使高麗回日 判 5대ㆍ송, 조공책봉, 해당 기사의 일자는 앞의 기사를 따...
    국가중국 | 서명속자치통감장편 | 왕대문종(文宗)  32
  • 3861 중국 정서 송회요집고 027 현종(顯宗) 5 1014 9 22 宋會要輯稿 選擧 2之3 (大中祥符七年九月) 二十二日詔 第一人孫何 第二人朱台符丞 第三人路振 第四人丁謂爲大理評事 仍通判諸州 第五人任隨已下 吏部流內詮注初等職...
    국가중국 | 서명송회요집고 | 왕대현종(顯宗)  5
  • 3958 중국 정서 오대회요 012 기타 五代會要30 高麗 (淸泰三年) 其年 又遣使王子大相王規爲檢校尙書右僕射 副使廣評侍郞崔禹試 其隨行節級等三十餘人 並授司戈司陛等職 대외, 조공책봉, 其年이 언제인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앞...
    국가중국 | 서명오대회요 | 왕대기타  
  • 13276 B01327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東史綱目第十一上 丁巳四十四年 五月 _ ○復遣起居注金守剛如蒙古⁄時又有蒙古兵消息故遣之請罷兵⁄蒙古復至六月至南京遣使如車羅大營⁄蒙古兵三十餘騎渡淸川江趣龍岡咸從入泰州殺副使崔濟京城戒嚴未⁄幾候騎入開京至南京遣李凝犒之請退兵蒙古先鋒甫波大云...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一上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413 B018413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高麗墓誌銘集成 墓誌銘 秦仲明 墓誌銘 公姓秦諱仲明中原府人也父相國子祭酒祖▣追封曾祖▣兵部侍郞母蔡氏戶部員外郞周善之女也公娶監察御史趙▣寵之女生子一人女二人 公幼襲父蔭爲戶部主事同正再擧進士不中例補淸塞鎭判官又補樹德鎭將王京爲大安寺...
    출처전거高麗墓誌銘集成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2)

  • 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신라 고려→후당 【번역】 (후당 폐제 청태) 3년 정월 경오일에 고려 朝貢使로 왕자인 태상(太相) 왕규를 검교상서(檢較尙書)·우복야(右僕射)로 삼고 부사(副使) 광평시랑(廣評侍郞) 최유(崔儒)를 시(試)으로 하고 그 절급(節級) 30여명 모두에게...
    대표표제어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淸泰 3 後晉 天福 1/日本 承平 6)
  • 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신라 고려→후당 【번역】 (후당 폐제 청태) 3년 정월 경오일에 고려 조공사로 왕자인 태상(太相) 왕규를 검교상서(檢較尙書)·우복야(右僕射)로 삼고 부사(副使) 광평시랑(廣評侍郞) 최유(崔儒)를 시(試)으로 하고 그 절급(節級) 30여명 모두에게...
    대표표제어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淸泰 3 後晉 天福 1/日本 承平 6)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토목공사와 궁실 및 관사의 영조와 수리를 담당하던 관청. 고려 목종 때 이르러 으로 정착되어 감(監)·소감(少監)·승(丞)·주부(注簿)의 직제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그 뒤 문종 때 고려의 문물제도가 정비되면서 관제도 개혁되었다. 에는 판사(정3

  • 잡작국 / 雜作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건축에 관한 모든 공역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도교서(都校署)의 후신이다. 문종 때 세워진 도교서에는 목업·석업·조각장·석장·장복장·이장 등의 전문기술인이 소속되어 있어 이미 목종 때 설치된 ()과 함께 당시 토목공사를 주관하였다

  • 선공감 / 繕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繕工司)로, 1362년에 선공시, 1369년에 , 1372년에 선공시로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개국 이후 1392년 7월에 처음 선공감을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