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작감” 에 대한 검색결과 1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

사전(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壇)이 있었다. [내용 및 변천] 고려 건국 초 관제는 신라와 태봉의 관제를 계승하고 당나라 제도를 참고해 편성됐다. 즉 건국 초에는 이것을 그대로 습용(襲用)하다가 목종 때 이르러 으로 정착되어 감(監)‧소감(少監)‧승(丞)‧주부(注簿)의 직제를...
    이칭별칭선공감|선공사|선공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토목공사와 건축‧수리를 담당하던 관청.
    정의고려시대 토목공사와 건축‧수리를 담당하던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angjakgam | MR표기Changjakk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잡작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泥匠) 등의 전문기술인이 소속되어 있어 이미 목종 때 설치된 ()과 함께 당시 토목공사를 주관하였다. 그러나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충선왕은 도교서를 혁파하여 잡작국으로 고치고, 직제로는 사(使, 종5품)ㆍ부사(副使, 종6품)ㆍ직장(直長, 종7품...
  • 선공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조선시대 토목과 영선(營繕)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내용] 목종 때 ()이라 불렀다. 관원으로 감(監)‧소감(少監)‧승(丞)‧주부(注簿)가 있었고, 문종 때 관제를 고쳐 판사(判事, 종3품)‧감(정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비서성‧전중성(殿中省)‧소부감(少府監)‧()‧사진감(司津監)‧군기감‧태복감(太卜監)‧태의감 종3품 장관직. [내용] 후기에 자주 관제를 개정할 때 영(令)‧윤(尹)‧정(正) 등으로 바뀌었다.

고서·고문서(56)

기타자료(2)

  • 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신라 고려→후당 【번역】 (후당 폐제 청태) 3년 정월 경오일에 고려 朝貢使로 왕자인 태상(太相) 왕규를 검교상서(檢較尙書)·우복야(右僕射)로 삼고 부사(副使) 광평시랑(廣評侍郞) 최유(崔儒)를 시(試)으로 하고 그 절급(節級) 30여명 모두에게...
    대표표제어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淸泰 3 後晉 天福 1/日本 承平 6)
  • 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신라 고려→후당 【번역】 (후당 폐제 청태) 3년 정월 경오일에 고려 조공사로 왕자인 태상(太相) 왕규를 검교상서(檢較尙書)·우복야(右僕射)로 삼고 부사(副使) 광평시랑(廣評侍郞) 최유(崔儒)를 시(試)으로 하고 그 절급(節級) 30여명 모두에게...
    대표표제어고려가 보낸 왕규(王規) 등에게 후당이 관직을 제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936년(丙申/후백제 신검 2/고려 태조 19/後唐 淸泰 3 後晉 天福 1/日本 承平 6)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토목공사와 궁실 및 관사의 영조와 수리를 담당하던 관청. 고려 목종 때 이르러 으로 정착되어 감(監)·소감(少監)·승(丞)·주부(注簿)의 직제를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그 뒤 문종 때 고려의 문물제도가 정비되면서 관제도 개혁되었다. 에는 판사(정3

  • 잡작국 / 雜作局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건축에 관한 모든 공역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도교서(都校署)의 후신이다. 문종 때 세워진 도교서에는 목업·석업·조각장·석장·장복장·이장 등의 전문기술인이 소속되어 있어 이미 목종 때 설치된 ()과 함께 당시 토목공사를 주관하였다

  • 선공감 / 繕工監 [정치·법제/법제·행정]

    繕工司)로, 1362년에 선공시, 1369년에 , 1372년에 선공시로 여러 차례 이름이 바뀌었다. 조선 개국 이후 1392년 7월에 처음 선공감을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