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장원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9)
사전(123)
- 장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장원서(掌苑署)에 소속된 관직. [내용] 품계는 정6품이다.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1월에 종래의 상림원(上林園)을 장원서로 개편하면서 처음 두었다. 장원서의 수석 관원으로서 궁중의 정원 관리와 과수‧화...
- 부신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궁중의 정원을 관리하던 장원서(掌苑署) 소속의 종8품 잡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정8품 신금 1인과 함께 궁중 원내의 조류사육이 본래의 직무였으나, 정원관리에 관계된 제반 업무를 함께 보았다. 이들은 내시의 일종인...
- 장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원(園)‧유(囿)‧화초‧과물 등의 관리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태봉 때의 식화부(植貨府)가 고려의 내원서(內園署)로 바뀌고, 조선 건국 초에 동산색(東山色)‧상림원(上林園)이라고 불렀다. 1466년(세조 12) 1월에 장원서로 개정되었...
- 장원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궁중에 쓰이는 과목과 화초의 재배를 비롯해 원예(園藝)에 관한 행정 관리를 담당한 관서. 장원서(掌苑署)는 이전의 동산색(東山色), 상림원(上林園)이 개칭된 명칭이며 과목과 화초 재배를 담당한 과원색(果園色), 배ㆍ밤ㆍ은행ㆍ석류ㆍ유자 등 생과일을 종묘에 올리고 진상하...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장원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원(園)‧유(囿)‧화초‧과물 등의 관리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정의조선시대 원(園)‧유(囿)‧화초‧과물 등의 관리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angwonseo | MR표기Changwŏn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06)
- 掌苑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70 經世遺表 卷二 ITKC_MP_0597A_1070_030_0180 掌苑署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한후현 장원서 별제 고신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낱장 일부편이다. 1801(가경6) 韓後賢을 朝奉大夫行掌苑署 別提로 임명하는 고신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으로 이 고신은 4품이상의 문무관원에게 발급한 官敎에 해당하며, 국왕 명의로 발급되었으므로 문서의 시작부분에 ‘敎旨’라는 문구가 있다. 조봉대부가 종4품 하...분야문학 | 유형문헌
- 觀豐閣銘 【并引】 【己酉三月式年殿試甲科第二人 仁政殿 親臨 命官金熤ㆍ金鍾秀 初十日 仁政殿親臨 命官欲置第一 上教降爲第二 状元徐榮輔ㆍ探花金羲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1390 觀豐閣銘 【并引】 【己酉三月式年殿試甲科第二人 仁政殿 親臨 命官金熤ㆍ金鍾秀 初十日 仁政殿親臨 命官欲置第一 上教降爲第二 状元徐榮輔ㆍ探花金羲淳】 정약용...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箴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626년 김덕보(金德普)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26년(인조4)2월 3일에 김덕보가 안방준에게 보낸 편지이다. 자신을 장원서별좌(掌苑署別坐)에 추천해준 일은 감사하지만 병으로 부임할 수 없음을 밝히고, 안방준과 함께 산방(山房)에서 지내고 싶다는 희망을 피력했다. 이는 안방준의 교유관계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보성 택촌 죽산안씨 은봉종가
- 금귤(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278 B031278 금귤 金橘 경제산업 濟州邑誌2 濟州 四界 進貢 ... 奉常寺納蔈古 榧子 軍器寺納故失馬背力 二年木 內贍寺納蔈古 牛毛 義盈庫納常藿 繕工監納榧子板 掌苑署納金橘 洞底橘 柑子 乳柑 尙衣院納梔子 濟用監納梔子 典醫監納靑皮 陳皮 香附子 海桐皮 ...출처전거濟州邑誌2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4)
-
장원서 / 掌苑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원·유·화초·과물 등의 관리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된 관서. 태봉 때의 식화부(植貨府)가 고려의 내원서(內園署)로 바뀌고, 조선 건국 초에 동산색(東山色)·상림원(上林園)이라고 불렀다. 1466년(세조 12) 1월에 장원서로 개정되었다. 관원으로는 조선 전기
-
장원서등록 / 掌苑暑謄錄 [경제·산업/산업]
1794년(정조 18) 장원서 일반에 관한 구등록(舊謄錄)의 기록에 새로운 사항을 가감하여 엮은 책. 장원서는 궁중의 정원과 꽃·과일 나무를 담당하던 관청인데 이의 위치·관제·각색분정(各色分定)·재정 등을 기록하여 놓았다. 장원서의 관제는 제조(提調)를 우두머리로 6
-
장원 / 掌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원서에 소속된 관직. 품계는 정6품이다. 정원은 1인이다. 1466년(세조 12) 1월에 종래의 상림원(上林園)을 장원서로 개편하면서 처음 두었다. 장원서의 수석 관원으로서 궁중의 정원 관리와 과수·화초 등을 재배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또 각 지방에서 궁
-
이현록 / 李顯祿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후원 현손, 주 증손, 할아버지는 산휘, 아버지는 섭, 어머니는 윤협의 딸이다. 헌릉참봉, 장원서봉사, 제용감봉사, 금구현령, 전주부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
부신금 / 副愼禽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중의 정원을 관리하던 장원서 소속의 종8품 잡직. 정원은 1인이다. 정8품 신금 1인과 함께 궁중 원내의 조류사육이 본래의 직무였으나, 정원관리에 관계된 제반 업무를 함께 보았다. 이들은 내시의 일종인 별감들이 담당하는 잡직으로서 일정기간마다 돌아가며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