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장용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
사전(46)
- 장용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되었다. 그 뒤 1475년(성종 6) 장용위로 개칭되면서 천인뿐 아니라 양인의 입속도 허락되었다. 정원은 600인으로서 5교대로 120인이 6개월씩 복무하였다. 중앙군의 하나로 파악되었으나, 대열(大閱) 때는 오위(五衛)에 편제되지 않고,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 장용위(壯勇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장용위 장용위 壯勇衛 장용청(壯勇廳), 장용영(壯勇營) 무예출신(武藝出身), 액외장용위(額外壯勇衛), 금군(禁軍)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조선 조선 서태원 1785년(정조 9) 1802년...상위어장용청(壯勇廳), 장용영(壯勇營) | 관련어무예출신(武藝出身), 액외장용위(額外壯勇衛), 금군(禁軍)
- 충무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이것이 1457년(세조 3)에 충무위로 개편되었던 것이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충무위에는 병종(兵種)으로 충순위(忠順衛)와 정병(正兵), 그리고 장용위(壯勇衛)가 소속되도록 되어 있었고, 또 경북부(京北部)‧영안도(永安道)의 북청진관(北靑鎭管)의 군사가...이칭별칭후위
- 친군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정조 때의 국왕 친위병. [내용] 1785년(정조 9) 국왕 호위를 전담하는 장용위(壯勇衛)를 설치하고 금군체제(禁軍體制)를 강화하고자 정예 친병을 두었다. 그 뒤 1793년 장용위가 장용영으로 확대, 개편되면서 편제도 처음의 소규...이칭별칭장용위|장용영
- 국출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장용위(壯勇衛)를 설치하였다. 1802년(순조 2) 장용위가 폐지되자 원액 30인은 다시 훈련도감의 3국에 복귀되었다. 이들은 다시 둘로 나뉘어 영숙문과 숭지문(崇智門 : 창경궁의 북문)을 지키게 하였다. 『속대전(續大典)』
고서·고문서(12)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2341 B022341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正祖 9年 9月 16日_016 ○以古今島僉使望筒, 傳于李泰永曰, 大抵久勤收用之規, 專爲勤苦, 禁旅及駕前駕後, 必以善地差遣, 蓋以是耳。 況近列陪扈, 事面尤有所重, 壯勇衛久勤?之設置, 不但爲酬勞, 所以重宿衛...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달산(達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一提學鄭民始, 檢校直提學徐鼎修, 檢校直閣尹行任·南公轍, 以次隨駕。 上具軍服, 乘輿登八達山, 歷覽城址形便訖。 上曰, 壯勇衛挾輦, 禁衛大將率壯營及該營京鄕步軍?飯, 未明, 從便先往果川宿所歇脚, 壯營鄕軍一哨, 直自行宮解送, 壯勇外使, 率本府軍兵, 札住於貳衙前路, 待還宮, 解嚴...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근도(近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0818 B030818 근도 近島 도서 근도(近島) 承政院日記正祖 10年 2月 13日_038 ... 體之顚倒, 左相安得辭其責乎? 善復曰, 然矣。 獄體, 委官爲主, 按獄之失, 委官何可免也? 時壯勇尉方較藝於庭。 上曰, 木長槍, 亦有用處乎? 善復曰, 臨陣輪動, 足制戰馬之...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근도(近島)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달산(達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9425 B039425 달산 達山 산악 承政院日記 正祖 18年 1月 15日_013 直提學徐鼎修, 檢校直閣尹行任·南公轍, 以次隨駕。 上具軍服, 乘輿登八達山, 歷覽城址形便訖。 上曰, 壯勇衛挾輦, 禁衛大將率壯營及該營京鄕步軍?飯, 未明, 從便先往果川宿所歇脚, 壯營鄕軍一哨,...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임진(臨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18427 B642460 임진 臨津 군사교통 純祖實錄 二年(1802) 二月 순조실록_10202007_004 提調一員ㆍ使一員減下, 從事官一員減下, 令吏曹待窠調用, 別將二員, 把摠三員, 善騎將二員減下, 哨官十四員, 令吏, 兵批, 次次收用, 額外壯勇衛二十二員, 幷屬額外...출처전거純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장용위 / 壯勇衛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중앙군의 하나인 충무위에 소속된 병종. 1459년(세조 5) 천인 가운데에서 활쏘기(木箭)·달리기(走)·힘쓰기(力) 등을 시험보아 뽑는 노군(奴軍)의 병종으로 장용대(壯勇隊)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치되었다. 그 뒤 1475년(성종 6) 장용위로 개칭되면서 천
-
오위 / 五衛 [정치·법제/국방]
배(彭排), 충좌위에 충의위(忠義衛)·충찬위(忠贊衛)·정병(正兵)·장용위(壯勇衛)가 각각 속하는 것으로 성문화 하였다.
-
정민시 / 鄭民始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5∼1800). 평안도관찰사·병조판서·함경도관찰사·장용위대장·돈령부판사 등을 차례로 지냈다. 홍국영과 함께 발탁되어 요직을 지냈으나 항상 분수를 지켰다. 순조가 즉위하자 사리사욕을 도모한 죄로 삭탈관직되었다. 사후 복관되었다.
-
장용영 / 壯勇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1793년(정조 17)에 왕권 강화를 위해 설치한 군영. 정조는 1785년에 장용위라는 국왕 호위의 전담부대를 설치하여 무과 출신의 정예 금군을 두어 국왕의 호위를 담당하는 친위체제로 만들었다. 그 뒤 1793년에 그 규모를 더욱 확대시켜 하나의 군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