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옷” 에 대한 검색결과 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

사전(5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일반부녀자가 사용한 내외용(內外用) 쓰개. [내용] 이 은 궁중이나 양반층에서 사용하던 ‘너울[羅兀]’ 대신 간편하게 만들어 사용한 것이다. 양반층에서는 쓰개치마를 사용하기도 하였는데, 조선 말기에는 잘 지켜지지 않고 ...
    연계항목장옷(장옷)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일반부녀자가 사용한 내외용(內外用) 쓰개.
    정의조선시대 일반부녀자가 사용한 내외용(內外用) 쓰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angot | MR표기changot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처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서민층 부녀자들이 방한을 겸하여 쓰던 내외용 쓰개. [내용] 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며, 형태는 작은치마와 같이 네모진 폭에 맞주름을 깊게 잡아 허리와 끈을 달았다. 또, 보다 짧고 폭도 좁으며 소매가 없었다.
  • 옥색명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옥색을 띈 명주 재질의 쓰개용 . [내용] 중요민속자료 제50호인 옥색 명주 은 착용자는 분명하지 않으나 고름이 달린 위치는 조선 말기 쓰개 전용의 임을 말해 준다. 개화기 이후 유일한 여성의...
    연계항목옥색명주장옷(玉色明紬장옷)
  • 청색숙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입었던 . [내용] 중요민속자료 제51호. 조선 후기인 17세기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은 중요민속자료 제50호인 과 같은 형식으로서 ‘囍(희)’자와 운문(雲文)을 직조한 남색의 숙고사로 만들어졌으며 안은
    연계항목청색숙고사장옷(靑色熟庫紗장옷)

고서·고문서(18)

  • 3947 P-SDK-03947-P-M-01-01 P-SDK-03947-P-M-01-01-1 P-SDK-03947-P-M-01-01-2 노파와 부인 AN OLD WOMAN AND A WOMAN 을 입은 젊은 여인과 이를 수행하는 노파 봉투
    자료명노파와 부인 | 발행처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4170 P-SDK-04170-P-E-08-02 P-SDK-04170-P-E-08-02-1 P-SDK-04170-P-E-08-02-2 조선 풍속 少女の後姿 댕기를 땋은 소녀와 을 입은 소녀 봉투 없음. 세트불명. 8매. 사제엽서 사...
    자료명조선 풍속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사회 인물 근대 한국 사진그림엽서 京城日之出商行 미상 미상 이 엽서는 발행연도는 미상이나 경성의 히노데상행(日之出商行)에서 발행한 '조선 풍속 회엽서' 42매 세트 중 1매이다. 사진은 상류계층 여성이 외출시 착용하는 을 입은 부인의...
    자료명부인의 외출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이 먼저 목면 [木長衣]를 빨았다고 하는데, 며느리의 옷이다. 十七日戊寅, 晴風。 十七日戊寅, 晴風。 ○留堂。身倦。○妻氏左腕內腫處未消猶疼, 夜夢大妃、中宗云云。○下見之共飯。飯後與老妻拾行碁。○右□論題五百義士從死田橫。○婢加隱終先洗踏木長衣云, 書房宅衣也。 15...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엽서에는 좌우로 2장의 사진이 들어 있는데 좌측 사진은 아이들이 많은 마을 골목을 외출복 차림으로 걷고 있는 여염집 규수의 모습이고 우측 사진은 갓을 쓰고 의자에 앉아 있는 남성과 그 옆에 서 있는 여성의 사진이다. 풍속, 생활, 마을, 부인, 외출, , 장의,...
    자료명부인의 외출 | 발행처加藤商店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신문·잡지(13)

  • 愚婦可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경무즁셔 압흐로 엇던녀인이 지나 양복을 법졔로 지어입고 양헤지 신엇 그우에 소위녀인의 몽두라만을 쓰고가니 슬 쓸터이면 엇지야 양복이며 양복을 닙엇스면 엇지야 인가 긔긔괴괴일이라고들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본인의 팔슌노모가 음녁금월초삼일무고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인의 팔슌노모가 음녁금월초삼일무고이츌입야도라오시지아니기로 광고며 의복은 베치마입고 마혜신고 씨니 누구시던지이 노인을 맛나거던 좌긔통호로 지시시면 은혜난망이외다 슈젼동 병문아모통이 미젼 오쳘슌 고
    게재일1906년 7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金婆殺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룡산거 구명근의 쳐가 린거 젼흥쥰의모 김소에 과 신을 비러신고 부지거쳐 지라 구명근이가 물에져 쳐한고로 그 형 구원명이가 경무쳥에 호소야 젼흥쥰의 모를 착치엿더니 구원명의모가 젼흥쥰의 쳐를란타야 즉한고로 살옥이 되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5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爲學求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리슉원 윤규원 리신원 삼씨 모다부인인데 일본단지유학의 경비구죠기위야 그전에보죠도잇셧거니와 한번보죠로 장구이 지키 어렵다야 의죠금을 수합야 존본취식야 련속보죠기로 의연금을 것우다가 여의치못으로 평에 집신과 을몰으던 사들이 일전에 집신에 쓰...
    게재일1907년 3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樂中有憂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 관광자들이 허다거슨 다말슈 업거니와 동 이층양옥집에 의막을잡고 이층우예셔 구경다가 엇던사이 권연불을 그이웃집 집웅에터트려 불이 난고로 일장풍파가 닐어나 그우에잇던 남녀간에 황겁야 그놉흔 데셔 러져 슈죡상부녀가 삼인이오 이니 신이니모단 졔...
    게재일1907년 1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12)

  • /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일반부녀자가 사용한 내외용(內外用) 쓰개. 은 두루마기와 비슷한 형태로 겉감은 초록색, 안감은 자주색을 사용하였다. 길에는 쌍섶과 무가 있고 소매부리에는 흰색 거들지를 달았다. 옷깃과 옷고름은 자주색이고 깃에는 동정을 달았으며 이중고름을 달았다. 옷감은

  • 옥색명주 / 玉色明紬― [생활/의생활]

    세종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옥색을 띈 명주 재질의 쓰개용 . 중요민속자료 제50호인 옥색 명주 은 착용자는 분명하지 않으나 고름이 달린 위치는 조선 말기 쓰개 전용의 임을 말해 준다. 개화기 이후 유일한 여성의 포제(袍制)인 두루마기와 비교할 때 매

  • 김함의 묘 출토의복 / 金涵─墓出土衣服 [생활/의생활]

    1985년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학계리 김함(金涵: 1568∼1598)의 묘(墓)에서 출토된 복식 및 부장품 17점. 김함의 묘에서 발굴된 3점의 포(袍)류는 모두 으로 면주(綿紬) 누비 1점, 화문단 누비 1점, 무명 솜 1점이 있다. 뒷길이는 11

  • 안동김씨묘출토의복 / 安東金氏墓出土衣服 [생활/의생활]

    1985년 경기도 광주시 추월면 지월리에 위치한 김첨(金瞻: 1502∼1584)과 그의 딸 안동김씨, 손부(孫婦) 원주원씨 묘에서 출토된 임진왜란 전후의 유물 15점. 김첨의 묘에서는 2점과 명주 솜누비 바지 1점, 솜이불 2점이 수습되었다. 여자의 대표적인 포

  • 이형부인동래정씨의복 / 李泂夫人東萊鄭氏衣服 [생활/의생활]

    1941년 경기도 시흥시 염불암 옆에 있던 이형(李泂)의 부인 동래정씨(?∼1583)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16세기의 복식유물 6점. 출토된 복식유물은 6점(실제 5점)인데 명주솜누비 1점, 명주솜누비치마 2점, 무명솜누비치마 1점, 바지 1점이다. 바지는 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