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열왕후” 에 대한 검색결과 1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8)

사전(64)

  • 휘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에 있는 조선 제16대왕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능. [내용] 사적 제193호.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조창원(趙昌遠)의 딸로, 1688년(숙종 14) 64세로 죽었...
  • 조창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랑에 제수되었다. 직산현감으로 나가 민심을 무마하고 많은 치적을 올렸다. 군자감정에 승진되었다가 다시 여산군수에 제수되었으며, 이어 인천부사 재직시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 : )로 간택되자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영돈녕부...
    이칭별칭 대형(大亨)| 오은(悟隱)| 혜목(惠穆)|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 효사전(孝思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효사전 효사전 孝思殿 혼전(魂殿) 장렬왕후() 왕실왕실의례/흉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이현진 [정의] 창경궁에 있던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신주를 모신 혼전(魂殿).
    상위어혼전(魂殿) | 관련어장렬왕후(莊烈王后)
  • 산(繖)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루로 받치도록 되어 있다.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仁祖嘉禮都監儀軌)』 홍양산(紅陽繖)-그림추가함 [용도] 조회, 연회 등의 궁중 행사와 제향(祭享), 능행(陵行), 종묘대제, 발인반차 등의 궁궐 밖 행사에 왕실의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
    상위어의장(儀仗) | 동의어산(傘) | 관련어개(蓋), 산선(繖扇), 양산(陽繖, 陽傘, 涼繖), 양산(雨傘), 일산(日傘), 청양산(靑陽繖), 홍양산(紅陽繖), 황산(黃傘)
  • 낭옹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 중 「상목재홍선생(上木齋洪先生)」은 1659년(효종 10) 효종이 죽은 뒤 계모후(繼母后)인 장렬왕후()의 복상문제에 남인측의 주장인 3년설이 좌절되고 노론측의 주장인 기년설(朞年說)이 채택되자, 그에 대한 불만과 3년설의 주장에 앞장선 홍여하(洪汝...

고서·고문서(33)

  • 장렬왕후국휼등록(國恤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렬왕후국휼등록』은 전향사에 기록한 국휼등록과 계제사에서 기록한 국휼등록이 1종의 도서로 분류된 것이다. 계제사에서 국휼의주등록을 따로 작성했을 것으로 보이지만, 남지 않았다. 국상 진행의 전반적 모습은 여타 국휼등록에 나타난 점과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숙종...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686년 장렬왕후() 존호망단자(尊號望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1661년 장렬왕후() 존호망단자(尊號望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1688년 장렬왕후() 시호망단자(諡號望單子)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단자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단자
  • 장렬왕후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장렬왕후(1624~1688)의 국장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장렬왕후는 조선의 제16대 왕 인조의 계비로서, 본관은 양주(楊州)이며 조창원(趙昌遠)의 딸이다. 1638년(인조16) 왕비로 책봉되었다. 1649년인조가 죽자 대비가 되었고, 1659년효종이 죽으면서 대왕...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1)

  • 1686년(숙종 12) 進豊呈과 《尊崇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4
    12792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686년(숙종 12) 進豊呈과 《尊崇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24(인조 2)∼1688(숙종 14). 조선 제16대 왕 인조의 계비. 아버지는 조창원, 어머니는 최철견의 딸이다. 1660년(현종 1) 남인 허목 등이 복상에 대하여 3년설을 주장하며 서인을 공격하는 소를 올렸다. 이에 송시열 등 서인은 효종이 맏아들이 아니고

  • 장렬왕후가상존호망단 / 加上尊號望單 [정치·법제]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양주조씨에게 존호를 가상하기 위해 1661년(효종 12) 4월 23일 빈청에서 '공신(恭慎)'이라 의정하고 국왕의 윤허를 바라며 올린 가상존호 망단. 이 망단은 '공신' 한 가지를 써서 단망으로 올린 형태이며, 그 말미에 '계(啓)'자 도장을 찍고

  • 장렬왕후시호등망단 / 諡號等望單 [정치·법제]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가 양주조씨가 승하한 뒤 시호와 휘호, 전호, 능호를 의정하기 위해 1688년(숙종 14) 9월 빈청에서 숙종의 계하를 바라며 올린 대행왕대비시호등 망단. 시호로 '장렬(莊烈)'을, 휘호로 '정숙온혜(貞肅溫惠)'를, 전호로 '효사(孝思)'를, 능호로

  • 장렬왕후존호망단 / 尊號望單 [정치·법제]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양조조씨에게 존호를 올리기 위해 1651년(효종 2) 6월 7일 빈청에서 '자의(慈懿)'라 의정하고 국왕의 윤허를 바라며 올린 존호 망단. 이 존호 망단은 '자의' 한 가지를 써서 단망으로 올린 형태이며, 그 말미에 '계(啓)'자 도장을 찍고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