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악원” 에 대한 검색결과 7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5)

사전(5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궁중에서 연주되는 음악 및 무용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던 관청. 이원(梨園)‧연방원(聯芳院)‧함방원(含芳院)‧뇌양원(?陽院)‧진향원(?香院)‧교방사(敎坊司)‧아악대(雅樂隊) 등으로 불리었다. 은 조선 초기 장악서와 악학도감의 전통을 전승한 14...
    이칭별칭장악서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 전성은 음악 교육과 연주를 담당하였으며 차비노는 잡무를, 근수노는 행정관리를 담당하였다. 平市署機器局司䆃寺親軍營各一名軍資監廣興倉各一名一房書吏崔斗吉二房書吏尹泰東, (국장1890/163ㄱ05~06)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궁중의 음악‧무용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던 관청.
    정의조선시대 궁중의 음악‧무용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던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Jangagwon | MR표기Changag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조(禮曹), 궁내부(宮內府), 속아문(屬衙門) 제조(提調), 정(正), 첨정(僉正), 전악(典樂), 부전악(副典樂), 전율(典律), 부전율(副典律), 전음(典音), 부전음(副典音), 전성(典聲), 부전성(副典聲) 이원...
    상위어예조(禮曹), 궁내부(宮內府), 속아문(屬衙門) | 하위어제조(提調), 정(正), 첨정(僉正), 전악(典樂), 부전악(副典樂), 전율(典律), 부전율(副典律), 전음(典音), 부전음(副典音), 전성(典聲), 부전성(副典聲) | 동의어이원(梨園), 장악서(掌樂署) | 관련어전악서(典樂署), 아악서(雅樂署), 장례원(掌禮院), 악학도감(樂學都監), 향악(鄕樂), 아악(雅樂), 악학(樂學), 봉상시(奉常寺), 관습도감(慣習都監), 취재(取才)
  • 제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궁중에서 연주되는 음악 및 무용에 관한 모든 일을 관장한 정3품의 관직.
    정의조선시대 궁중에서 연주되는 음악 및 무용에 관한 모든 일을 관장한 정3품의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Jangagwon jejo | MR표기Changagwŏn chej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당악유사〉 표점본, 영인본 [호남지역 주요 문중문헌 조사 및 연구 | 전남대학교]
    저자 : 김대현(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책임교수), 권수용(전남대학교 호남한문학연구실 전임연구... | 출판사 : 정미문화사 | 출판일 : 2011.12.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亨仲 柳眉岩日記, 宣廟朝 栗谷集, 經筵日記 有明朝鮮國通訓大夫正知製敎李公碣銘 朴訥齋行狀 振威縣令林公碑銘 通訓大夫行韓山郡守柳公墓表

고서·고문서(127)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40_014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사찬 발기(賜饌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사찬 발기(賜饌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正(李公)墓碣陰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六 【拾遺】墓碣銘 19 正(李公)墓碣陰記 44_111_107.jpg 正(李公)墓碣陰記 萬曆紀元之夏, 李公仲虎按節湖南, 例贈厥顯祖考通訓大夫,正,知製敎達善通政大夫,承政院左副用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祖妣淑人安氏淑夫人。 其墓道碣銘,...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889년 박기종(朴淇鍾) 고신(告身)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889년(고종26) 12월에 국왕이 박기종(朴淇鍾)을 통훈대부 정(通訓大夫 行 正)에 임명하는 내용으로 발급한 문서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당하관에 해당하는 품계이다. 정은 궁중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인 ()의 정3품 관직이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무안박씨 박기종가

신문·잡지(5)

  • 진찬도감에 쓰기위야 에셔 금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찬도감에 쓰기위야 에셔 금일붓터 기들을 회동야습악다더라
    게재일1901년 5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지금 에셔 무동을 구  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지금 에셔 무동을 구  그 무동을 가쳐셔 칠월 만슈셩졀 진찬도감에 놀니기로 한다더라
    게재일1901년 5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음력 이이십오일은 황샹폐하 만슈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음력 이이십오일은 황샹폐하 만슈셩졀이오  쟝제오슌 칭경 샹존호가 되시고로 에 도감을 셜시고 기악을 연습더라
    게재일1900년 8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그져 오후에 예슈 교회 즁에셔 장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그져 오후에 예슈 교회 즁에셔 에 모혀 경츅 교즁 남녀도 만히 모혓거니와 셔양교들이 만히 왓 졍동사 언더옷 목가 쥬장야 연셜과 찬미가로 셩덕을 찬양고 황샹 페하와 대한 젼국을 위야 하님 무궁 복을 빌엇 참례 사들이 션교들을 감...
    게재일1898년 9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지나간 목요일에 독립협회 회원들이 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지나간 목요일에 독립협회 회원들이 에 모혀 특별회를 열고 리용익을 걸거 판 쳥원엿단 말은 본보에 임의 긔 엿거니와 당일 그 건에 야 의론이 불일차에 회원 최졍식씨가 무 망령된 말노 지죤에 어핍 귀졀이 잇다야 경무텽에 잡혀 갓쳣더니 그 잇흔날
    게재일1898년 8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4)

  • 장낙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2922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8호 1931 91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구령에 따른 졸업생;(4) 제4회(1920년 3월 졸업) 34명 장낙원; 경성부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낙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932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6호 1930 74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구령에 따른 졸업생;(4) 제4회(1920년 3월 졸업) 34명 장낙원; 경성부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낙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5040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85면 1. 제12. 졸업생;32) 법과 제2회 졸업생 (1924년 3월 23일) 26인 장낙원; 경성부 光化門通 13...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낙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6893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8면 2. 제8. 졸업자;32) 제17회 법과 26인 (1924년 3월 23일) 장낙원;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4)

  • /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궁중에서 연주되는 음악 및 무용에 관한 모든 일을 맡아보던 관청. 은 조선 초기 장악서와 악학도감의 전통을 전승한 1470년(성종 1) 이후 1897년 교방사로 개칭될 때까지 국립음악기관의 명칭이었다. 궁중의 여러 의식 행사는 소속의 악공·악생

  • 악사 / 樂師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아악서·전악서·의 악공이나 악생 중에서 우두머리 구실을 하였던 원로음악인들로서 잡직을 담당하였던 벼슬아치. ≪경국대전≫이나 ≪대전통편≫을 보면, 악사 2명은 정6품의 전악 및 종6품의 부전악이라는 잡직을 가졌는데, 이러한 잡직은 체아직으로서 에서

  • 악학궤범 / 樂學軌範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의궤와 악보를 정리하여 성현 등이 편찬한 악서. 9권 3책. 인본. 1493년(성종 24)에 예조판서 성현, 제조 유자광, 주부 신말평, 전악 박곤·김복근 등은 왕명을 받아 당시 에 있던 의궤와 악보가 오래되어 헐었다. 그것을 수교하기 위하

  • 부전음 / 副典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의 하나. 성종 때 처음 보이고, 품계는 종8품이었다. 모두 4인으로 악생 1인, 아공 3인으로 구성되었다. 실제의 음악을 담당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 인원은 영조 때에도 같았다.

  • 정내성 / 鄭來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4∼1835). 1785년 전라도도사에 제수되었으나 어버이가 연로하였으므로 사양 하였다. 그 뒤 다시 주부·종묘서령, 병조참판·한성부좌윤 등의 벼슬을 역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