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식” 에 대한 검색결과 6,5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250)

사전(3,44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9품의 궁관직. [내용]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은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장의(掌醫)와 같이 직속상관인 사찬(司饌, 종6품)을 돕고 그의 감독과 지시를 받았다. 이들의 임무는...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편지 격식이나 예법. 餘忙甚 不宣, 성희안(成希顔), 21(仁)-5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盛中函一部祝盛中函一部手巾中函一部揮巾中函一部別監所卓高足牀二坐低足牀四坐盤兒四坐木貼二雲足貼匙二立, (빈전1600/221ㄱ03~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주희의 천거로 성의를 밝히는 일을 함께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세자궁(世子宮), 여관(女官)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임혜련 [정의] 내명부(內命婦) 종9품 궁관...
    관련어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세자궁(世子宮), 여관(女官)

단행본(3)

  • 일상 속 물건으로 보는 한국 문화 20가지 [파라과이 내 한국학 교육 인재 양성사업 | Instituto Superior de Educación Dr. Raúl Peña]
    저자 : 김장식 ... | 출판사 : 곰비북스 | 출판일 : 20210531
    이 책은 한국어를 공부하고 한국 문화를 알고 싶어 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책으로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연구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어느 나라의 언어와 문화를 가장 직접적이고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은 그 나라에서 살아 보는 것이다. 하지만 시간적 물리적으로 그러지 못하는...
  • (조선시대 궁중회화 2) 조선 궁궐의 그림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5.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1. 궁중 화의 세계 (1) 궁궐 실내의 그림 전통 (2) 장엄과 위의 (3) 길상과 장생 (4) 태평과 복락 (5) 동궁과 교육
  • (조선시대 궁중회화 1) 왕과 국가의 회화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5.9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도감의궤와 의궤도 (5) 재현과 기념 - 궁중행사도 (6) 감계와 교육 - 감계화 (7) 취미와 감상 - 왕과 왕족의 그림 (8) 의례와 - 궁중화, 벽화

논문(2)

  • 고조선 복식양식의 형성과 기법의 고유성 [고조선 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연구 | 상명대학교]
    저자 : 박선희 | 게재정보 : 백산학보 84호, 게재일 : 2009.08
    분야정치‧법제 | 유형논문
  • 동양의 음악과 보석 예술에서의 주의 [언어문화적 측면에서 본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와 한국어 교수 | Republican research Centre for development of innovative methods in teaching foreign languages under the Uzbekistan State world Languages University]
    저자 : Shim L.V. | 게재정보 : V International Scientific Forum ""Network Oriental Studies: the world of the East and the East in the world"". Republic of Kalmykia, Elista the Russian Federation 

고서·고문서(1,374)

구술자료(22)

  • 상인의 신 에비스와 똑똑한 신 다이코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식당 , 학생, 시험, 인천시, 부평구 그게 시치후쿠진(しちふくじん, 七福神)이죠. 복을 예, 갖다 주는. 근데 일곱 명 다 각자 다른, 그러니까 재능이라고 해야 될까? (웃음) [조사자1: 담당하는 게 다 달라요?] 아, 담당하는 게 달라서 에비스(えびす)라는
    국가일본 | 제보자노마치 유카 [일본,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가는 거라 해야 되나 시집간다. 여우가 결혼한다. 그래서 인제 무지개 피잖아요. 비가 오는 날이 빛이 나는 날이, 그래서 여우 결혼식에 이렇게 예쁘게 피어나는, [조사자1: 여우 결혼식에 처럼.] 이고 어떻게 표현해야될지 모르는데. 그런 이야기가 있어요. [조사
    국가네팔 | 제보자스레스탄졸티 [네팔, 여, 1987년생, 결혼이주 11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복고양이 마네키네코 유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승업 〈상인의 신 에비스와 머리를 좋게 만드는 다이코쿠〉 이야기를 듣다가, 조사자는 문득 일본식 음식점의 또 다른 대표 물인 고양이에 대해 연원을 물어보았다. 이에 제보자는 그 유래에 대한 이야기를 구연하였다. 옛날에 한 무사가 길을 가고 있었는데, 고양이 한
    국가일본 | 제보자노마치 유카 [일본,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싼 거는 으로 비싼 것도 있고요. 또 으로 하는 것도 있고. 그리고 전래놀이. 아, 윷놀이처럼. 스고로쿠(すごろく). (제보자가 잠시 전화를 받은 후에 이어서) ‘스고로쿠’라는 놀이가 있어요. 윷놀이처럼, 그 윷 말고 주사위로. 그래서 이렇게 말을 이렇게 [조
    국가일본 | 제보자코마츠 미호 [일본, 여, 1969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부모의 싸움을 멈추게 한 죽은 딸의 그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되었다. 지금도 그 절 인근에서는 매년 한 번씩 딸의 그림을 하며 축제를 연다. 마츠다 타마미, 일본, 전설, 시모노세키, 어물전, 부부, 딸, 불화, 심화, 죽음, 원한, 원령, 귀신, 청원, 절, 스님, 그림, 화해, 미녀도, 대구시, 중구 지역에서 듣는 이
    국가일본 | 제보자마츠다 타마미 [일본, 여, 1976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1)

  • ()의 心論 硏究: 호상학과 주자학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연재흠, 게재일 : 2013
    51011 연재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학회 2013 ()의 心論 硏究: 호상학과 주자학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한국과 중국 궁궐 외부의 상징성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선우, 게재일 : 2011
    46078 임선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한국과 중국 궁궐 외부의 상징성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중국 문양의 구성요소에 따른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성림, 게재일 : 2011
    44117 고성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디자인학회 2011 중국 문양의 구성요소에 따른 디자인 특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唐宋詞에 나타난 女人의 生活文化 - 化粧, 衣服,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태업, 게재일 : 2010
    27419 정태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唐宋詞에 나타난 女人의 生活文化 - 化粧, 衣服,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중국 사합원의 외부 유형과 상징적 특성 분석 -북경과 산서성 사합원을 사례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임선우, 게재일 : 2011
    43869 임선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디자인학회 2011 중국 사합원의 외부 유형과 상징적 특성 분석 -북경과 산서성 사합원을 사례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1,147)

  • 義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 졍홍씨 쟝지얏 졍씨 본 예슈교 신앙던터인고로 오젼 십일시에 발인야 뎡동 례당안에셔 오후 한시에 례식을 거되 쳐음에 찬미가 닑고 목 젼덕긔씨가 긔도후 윤치오씨가 졍씨의 력을 셜명고 셕진형 김동완 리동휘 졔씨가 졍씨의 쳐 긔졀과 ...
    게재일1907년 7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園藝模範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하오삼시에 슈원남문밧원예 모범장에셔 을 거다말은 젼호에 계얏거니와 당일오후 한시에 남대문 뎡거장에셔 특별상등차 타고슈원으로가 왕참인원은 각부대신 협판국장이 참여치 안은자업고 다만참졍대신만 병이 잇셔불참얏고 각부부원쳥 칙쥬임관이며 샤회상 지...
    게재일1907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正玉(東洋部) 서울 金正玉 東洋部 鍾路 3-62 기타 - 혼례 의상 및 용구 대부 15.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正玉(東洋裝飾部)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혼례 의상 및 용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穀物共進會 褒 1922년 4월6일 서울 서울 조선농회가 주최하는 수이출 곡물 공진회 포상수여식이 경성상업회의소에서...
    대표표제어穀物共進會 褒奬式 | 연월일1922년 4월6일 | 지역서울
  • 국회개원식 의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1) 대한민국 임시정부 정통성 국회개원식 의사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8년 5월 31일 우남실록편찬회 편(이승만) 『우남실록: 1945-1948』 (서울: 열화당, 1976)(pp.541-543) 담화/연설 3 이 글은 대...
    대표표제어국회개원식 의장식사 | 자료유형담화/연설 | 집필자우남실록편찬회 편(이승만) | 출처『우남실록: 1945-1948』 (서울: 열화당, 1976)(pp.541-543) | 키워드대한민국 국회, 국회 개원식, 이승만 국회의장, 헌법 제정, 정부 수립

멀티미디어(71)

기타자료(173)

  • ;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7494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38면 - 신;申 1933년 3월 31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06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8면 신;申 제13회 1946년 2월 1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566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100면 민;閔 충북 영동군 深川面 錦汀里 486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535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16면 장;張 함남 북청 1935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606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18면 장;張 함남 북청 1935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33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궁의 종9품의 궁관직. 1428년(세종 10) 동궁내관의 제도에 의하면 은 종8품이고 정원은 1인이다. 장의(掌醫)와 같이 직속상관인 사찬(司饌, 종6품)을 돕고 그의 감독과 지시를 받았다. 이들의 임무는 제반음식을 만드는 것을 맡고, 등불과 촛불,

  • 검시 / 檢屍 [과학기술/의약학]

    시체 사인에 대한 의원의 의견서. 종래 조선에서는 형정에서 법의학적인 지식을 요하는 인명치사사건에 대하여는 준엄하게 다루었다. 검시제도를 실시한 것은 문헌상으로는 조선 세종 때부터라고 추정되고 있다.

  • 칼자루끝 / 칼자루끝 [역사/선사시대사]

    우리나라와 만주에서 발견되는 만주형동검[琵琶形銅劍·遼寧式銅劍]과 한국형동검[細形銅劍]의 자루 끝에 을 붙이기 위하여 청동이나 돌로 만들어진 . 우리나라의 칼자루끝은 십자형의 조그마한 석제품과 동제품이 대부분이다. 일본에서는 베개모양[枕型], 그 베개모양 중

  • 금동 수정 촛대 / 金銅水晶燭臺 [예술·체육/공예]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한 쌍의 금동수정 촛대. 국보 제174호. 초를 꽂아 실내를 밝히는 조명기구의 하나로, 크기와 형태, 문양이 거의 같아 한 쌍으로 제작되어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각 부분을 따로 주조해 조립해 만든 금속공예품으로 촛대 각 부분을 반구형의 수

  • 도기 말머리 뿔잔 / 陶器馬頭飾角杯 [예술·체육/공예]

    가야시대의 뿔잔. 보물 제598호.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고분군(古墳群) 중 제7호분에서 출토되었다. 수혈식석곽분(竪穴式石槨墳)인 제7호분에서는 이 각배 한 쌍 외에도 여러 형태의 토기와 철제장검(鐵製長劍) 등의 무기류, 금제세환이식(金製細環耳飾), 은팔찌, 구슬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