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선징” 에 대한 검색결과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14(광해군 6)∼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정지(淨之), 호는 두곡(杜谷). 목천현령 일(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운익(雲翼)이고, 아버지는 대제학(大提學) 유(維)이며,...
    이칭별칭 정지(淨之)| 두곡(杜谷)| 정장(正莊)
  • 인선왕후언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안부지만, 무대가 궁중과 사대부가의 사연인 만큼 궁중 풍속, 정치 사건 등도 포함되어 흥미롭다. 기타 1건은 『효종대왕재심양신한첩(孝宗大王在瀋陽宸翰帖)』에 전하는 것으로 친정 오빠 ()에게 쓴 것이다. 시기는 청나라에서 귀환한 뒤이다. 인선왕후는 많은...
  • 세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흉년. 姪仲春大病之餘 元氣未復 値此歲殺 飢民日來號.者 千百爲群 悶苦奈何, (), 21(義)-42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피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만나서 터놓고 속마음을 이야기함. 卽回撥便 伏承.札 拜慰之至 不翅披睹, () 21(義)-42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발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파발편. 파발(擺撥)을 통한 편지 전달을 가리킴. 卽因撥便 伏承.札 拜慰之至 不翅披睹, (), 21(義)-425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38)

  • 48378 B048378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8年 4月 29日_1_011 ○傳于曰, 全羅監司處分付, 大靜縣監安塾到任日子, 使之馳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447 B048447 대정현감 大靜縣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8年 4月 29日_1_011 ○傳于曰, 全羅監司處分付, 大靜縣監安塾到任日子, 使之馳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6894 B076894 동래 東萊 정치행정 顯宗改修實錄 五年(1664) 五月 현종개수실록_10505019_002 ○以李弘淵、南九萬爲承旨, 尹文擧爲大司諫, 爲掌令, 安縝爲東萊府使, 宋時喆爲司諫。
    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乃指請復其科事也, , 旣請復科, 則其後亦必往見, 故以此爲言矣。 上曰, 此果先朝事, 而, 果請復科矣。 積曰, 此則不可復論, 而今番之不見大臣, 極爲不當矣。 上曰, 東萊府使朴千榮, 本職改差, 其代, 速爲差出, 催促發送, 可也。 吳始壽曰, 朴千榮, 旣遞本職...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6310 B036310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7年 8月 11日_003 ○有政。 吏批, 以柳淰爲兵曹參判, 呂台齊爲戶曹正郞, 高啓元爲南海縣令, 呂聖齊爲司諫。 李浣爲判義禁, 李光迪爲掌令, 爲承旨, 卞爾輔爲譯官。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1614(광해군 6)∼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목천현령 일(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운익(雲翼)이고, 아버지는 대제학(大提學) 유(維)이며, 어머니는 김상용(金尙容)의 딸이다. 효종 비 인선왕후 (仁宣王后)의 오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