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장석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2)
- 북간도국민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독립운동의 기반을 삼아 독립사상과 애국 정신을 드높이는 데 주력하였다. 교장은 국민회장이 겸임했다. 당시 국민회의 부서는 다음과 같다. 회장은 구춘선, 부회장은 강구우(姜九禹)였고, 평의원으로 방우룡(方雨龍)‧유예균(劉禮均)‧조권식(曺權植)‧장석함(張錫咸...
- 영신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대 교장에는 박걸(朴傑)이 각각 취임하였으며, 그 밖에 교사로는 강봉우(姜鳳羽)‧장석함(張錫咸)‧윤명희 등이 있었다. 당시의 교과목은 대부분의 교사가 기독교인이고 학교 운영방식도 기독교적임에 따라 신학이 주류를 형성하여, 신약전서‧채플‧찬송 그밖에 영어‧역사‧지리‧한...
고서·고문서(4)
- 덕종 하_002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에 제사를 올려 풍년을 기원하도록 청하니, 이를 따랐다. 中和節(2월 1일)은 덕종 정원 5년(789)에 창설된 새로운 節日로, 上巳節(3월 3일)ㆍ重陽節(9월 9일)과 함께 당 후기 삼절의 하나이다. 중화절의 풍속에 대해서는 張澤咸, 隋唐五代社會生活史, 618쪽 ;...권수구당서 권13 | 편명본기13 | 대표표제어덕종 하_002
- 덕종 하_001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단, 정월 그믐날은 정원 5년 중화절로 대체된다). 자세한 사항은 張澤咸, 隋唐五代社會生活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8, 621~622쪽 및 625~627쪽 ; 中村裕一, 中國古代の年中行事 1, 汲古書院, 2009, 273~282쪽 및 635~682쪽 ; 中村裕一,...권수구당서 권13 | 편명본기13 | 대표표제어덕종 하_001
- 숙종_011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節爲天長節, 制曰, ‘可’”(631쪽)라고 한다. 아울러 천추절을 비롯한 당대 황제의 생일 절일에 관해서는 張澤咸, 隋唐五代社會生活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8, 613~615쪽 ; 中村裕一, 中國古代の年中行事 3, 汲古書院, 2010, 309~348쪽 등 참조.이...권수구당서 권10 | 편명본기10 | 대표표제어숙종_011
- 유풍악기(遊楓嶽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斗源爲方伯時, 刻石二片記其事, 骨初藏石凾, 遊客輒發視. 沈君仲良之爲府使, 惡其褻, 始立浮屠, 居僧云. 還寺, 則主倅又送人供食. 自泉田至此凡二十里. 出洞路逢李察訪仲培. 方入山, 乃緣江以行, 午食沙田村. 自淸平至此凡四十里. 過修仁阪, 阪路絶險, 甚於超然. 踰時羅嶺, 楊口界...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김유(金楺)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1)
-
장석함 / 張錫咸 [역사/근대사]
1889년(고종 26) 3월 15일∼1951년 4월 5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출신지는 함경남도 함흥(咸興)이다. 1908년(융희 2) 국권회복을 위한 단지동맹회(斷指同盟會), 신민회(新民會) 등에서 활동 하였다. 중국 용정(龍井) 신촌(新村)에 영신학교(永新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