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장석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5)
- 장석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3∼1935. 광주학생운동 주동자. [내용] 전라남도 완도 출신. 수원고등농림학교를 2년간 수료한 뒤 1926년 동경상과대학 예과에 입학하였으나 4개월 만에 퇴학당하였다. 1927년 3월부터 전라청년연...
- 학생전위동맹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혁명당(學生革命黨)의 후신으로 1929년 3월 하순에 개칭된 비밀결사이다. 학생전위동맹은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진상을 조사하기 위해, 1929년 11월 7일 부건(夫鍵)‧권유근(權遺根) 등을 광주로 파견하였다. 이들은 장석천(張錫天)‧강영석(姜永錫) 등과...
- 장재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퇴학을 당하고 귀국한 뒤에는 차재정(車載貞)이 책임비서로 있던 조선공산청년회에 가입했다. 조선공산청년회의 조선공산당 재건야체이까(곧 조선공산청년회 전라도간부기관)의 성원은 장재성 외에도 장석천(張錫天)(책임자)‧강석원(姜錫元)‧박오봉(朴五鳳)‧서재익(徐在益)‧나승규(羅...
- 광주학생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월 3일 사태 이후 광주 청년계에 영향력을 가졌던 장석천(張錫天)‧장재성‧강석원(姜錫元) 등은 시내 금동에 '학생투쟁지도본부'를 설치하고 광주 학생 투쟁을 항일 민족운동의 전국화라는 방향으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하여 각기 지도 업무를 분담하였다.
- 완도군(전라남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동 때 성진회(醒進會)의 회원이었던 문승수(文升洙)‧장석천(張錫天) 등이 있다. 1943년 10월 1일 완도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49년 4월 1일에 고금면 조약도가 분리되어 약산면이 설치되었다. 1980년 12월 1일노화면과 금일면...
고서·고문서(3)
- 대종_017 [동아시아 속의 한국고대사 <br>구당서 본기를 기본 텍스트로</br> | 동국대학교]폭우가 내려[暴澍雨] 평지에 물의 깊이가 1척 남짓이었고 溝渠이 범람하여 坊民 1천 200가를 무너뜨렸다. 경인일 전승사의 군대가 滑州로 침입하자 이면이 항전하였으나 패배하였다. [토번이 石門을 노략질하고 長澤川으로 쳐들어 왔다.] 자치통감 권225, 대력 11년 9월...권수구당서 권11 | 편명본기11 | 대표표제어대종_017
- 을유년(1885) 정월 17일에 유기수가 면암 최익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慕其道望有以拯溺於艱 險之地伏想憂 國之忠懇貫 日月透金石不容一日少可弛也 去旬前拜重庵丈席千里瘴 海不爲侵毒阻險涪州勝昔之 髭髮而這間立言文字無非繼 往開來之事業昨日還棲而 令從任累日苦待亦關侍下人事 難以挽留僅得一宿之舒懷悵 缺不可言便作胡草不備只伏 祝扶植世道以副詹仰之誠 乙酉正月十七日侍生柳...분야문학 | 유형문헌
- 박원혁 외 36인 판결문(경성복심법원)( 朴元赫 外 36人 判決文(大正9年刑控第563號, 京城覆審法院))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징역3년6월, 이규철(李揆哲), 송윤섭(宋玧燮) 징역3년, 최붕남(崔鵬南), 이영순(李永順) 징역2년6개월. 박두환(朴斗煥), 이동호(李東湖), 장석천(張天錫) 징역2년, 이치원(李致遠), 최창악(崔昌岳), 박대욱(朴大郁), 전용락(全龍洛), 정재호(鄭在浩) 징역1...제목 박원혁 외 36인 판결문(경성복심법원)( 朴元赫 外 36人 判決文(大正9年刑控第563號, 京城覆審法院)) | 사건유형대정8년(1919년) 제령 제7호 ‘정치에관한범죄처벌의건’ 위반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신문·잡지(1)
- 조선인민군_1950_0916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작했다. 나와 나의 동무 장석천은 좁은 골목을 달려 목포 부두가의 높은 집웅 꼭대기에 기여 올라가서 전투 광경을 보고 있었다. 도망하는 놈들에게 중기관총을 퍼붓던 중기사수가 별안간 쓰러졌다. 그러자 곁에 있던 다른 전투원도 부상을 당하여 중기를 손에 쥔 채 엎어졌...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916_03 | 책임주필정태성
기타자료(2)
- 장석천;張錫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310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수원학보 제44호 1924―04―10 10면 장석천;張錫天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장석천;張錫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3849 일본 東京 東京商科大學 東京商科大學一覽 1926년~1927년 1927―03―25 188면 장석천;張錫天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商科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장석천 / 張錫天 [역사/근대사]
1903-1935. 광주학생운동 주동자. 전라남도 완도 출신. 수원고등농림학교를 2년간 수료한 뒤 1926년 동경상과대학 예과에 입학하였으나 4개월 만에 퇴학당하였다. 1927년 3월부터 전라청년연맹 상임위원, 전남청년연맹 위원장 등을 지냈고, 강해석(姜海錫)·박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