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석영” 에 대한 검색결과 1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5)

사전(83)

  • 요좌기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만주와 시베리아지방을 답사한 내용을 수록한 책. [내용] 1면 200자 내외, 총 110면의 모필한장본(毛筆漢裝本). 한말 민족운동가들은 1905년 을사조약과 1910년 국권상실을 전후해서 만주 및 시베리아지방으로 대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독립운동사』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고등경찰요사(高等警察要史)』(경상북도경찰부, 1934) (1851-1929) 1851(철종 2)∼1929. 독립운동가, 유학자...
    이칭별칭 회당(晦堂)|석교(碩敎)
  • 손후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게 처음으로 수학하였다. 이병호(李炳鎬)에게 『효경(孝經)』을 배웠으며 이만규(李晩煃)에게 『시경』을 배웠다. 1914년에 다시 ()의 문인이 되어 운도재(雲陶齋)에서 수업하였다. 이 밖에 이중업(李中業)ㆍ곽종석(郭鍾錫) 등 우국지사를 찾아 가르침을...
    이칭별칭 문암(文巖)
  • 송준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 곽종석(郭鍾錫)‧() 등과 더불어 활동함으로써 의리정신과 민족의식을 발휘하였다. 만년에는 김천에서 살았다. [학문세계와 저서] 그의 성리설은 주로 이황(李滉)의 심합이기설(心合理氣說)을 따른 장복추의 영향 속에 형성되었다. 그는 성리설의 학...
    이칭별칭 순좌(舜佐)| 공산(恭山)
  • 장복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논의를 나누었던 학자로는 이진상(李震相)을 비롯하여 그 문도(門徒)들인 허유(許愈)‧곽종석(郭鍾錫)‧김진호(金鎭祜)‧이승희(李承熙)‧이정모(李正模)‧() 등이 있다. 그는 이들과의 친분에도 불구하고 그들 학파가 주창했던 학설의 접근 방식과 해석에 다른 입장을...
    이칭별칭 경하(景遐)| 사미헌(四未軒)

고서·고문서(17)

  • 1907년 유학(幼學) () 청원서(請願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청원서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청원서
  • 1908년 유학(幼學) ()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청원서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회당선생문집(晦堂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경술일기(庚戌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술일기(庚戌日記)』는 1910년 2월부터 12월까지 구한말 유학자이자 일제시대 독립운동가였던 회당(晦堂) (, 1851~1929)의 집안사를 기록한 생활 일기다. 작자는 미상이나 회당의 손자 가운데 한 명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
    내용분류개인-생활-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기포천 전무안 상후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畿抱川 全務安 上候書 崔生員宅 侍座 入納 雷逢電別於焉五六年未得 往拜門下感歎不已謹 未審丁秋 侍中氣候萬相而棣中亦得 平迪倂溸區區不任之至 記下侍事粗寧而東亂之餘 僅僅資生是所幸也就白 往者壬辰春間慕 齋記貴中永慕齋韻已爲 懸板而中間消息聞于朴雅 淇舜便東亂斷髮之時何以 堪過乎餘在...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6)

기타자료(9)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0673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26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21) 제20회-(2) 38명(1924년 3월 졸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4423 북한 평남 평양의학전문학교 평양의학전문학교일람 1933 73면 1. 30. 생도;1) 씨명 (50음순);(2) 제3학년 ; 평남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8082 북한 평남 평양의학전문학교 평양의학전문학교일람 1935 112면 1. 제11 졸업자;1) 3. 졸업생 명부;(3) 제3회 졸업생 ; 진주도립의원;평안남도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702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26면 1. 회원명부;1) 보통회원(갑종);(21) 제20회-(2) 38명(1924년 3월 졸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194 미국 미상 학교(집합) 우라키 제3호 1928―04―07 137면 ;
    학교소재지역미상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1)

  • / [역사/근대사]

    1851-1929. 독립운동가·유학자. 본관은 인동(仁同). 일명 석교(碩敎). 호는 회당(晦堂). 경상북도 칠곡 출신. 1905년 일제가 무력으로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통분하여 일제침략을 규탄하고 을사조약의 파기와 을사오적의 처형을 요청

  • 국담문집 / 菊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주재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8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08년 저자의 6대손 시협(時悏)과 시민(時敏)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시협의 발문이 있다.권1에 시 27수, 서(書) 3편, 서(序) 1편

  • 이기윤 / 李基允 [종교·철학/유학]

    1891년(고종 28)∼1971년.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가·서예가. 부친은 이익희이다. 문하에서 수학, 16세에 성균관 박사가 되어 경사와 제자백가서를 탐독하였다. 또 서법에도 조예가 깊어 명성이 있었는데, 청천서당·회연서당의 편액을 직접 썼으며, 당호·누정

  • 일수헌집 / 一樹軒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정장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1년에 간행한 시문집. 1897년 정장의 5대손 정광표(鄭光杓)가 정서하였고, 1921년 정장의 8대손 정태희(鄭泰希)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인섭(金麟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하겸진(河謙鎭)

  • 관헌집 / 管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도한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6년에간행한 시문집. 본래 46권 20여 책이었으나 1926년 ()이 19권으로 산정하여 간행하였으며, 권말에 도한기의 아들 도학모(都學模)의 발문이 있다. 19권 7책. 신연활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