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삼” 에 대한 검색결과 2,3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37)

사전(46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승려의 웃옷. [내용] 검은 베로 길이가 길고 소매가 넓게 만든다. 은 원래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는 착용하지 않았던 것인데, 불교가 중국으로 전하여지면서 기후와 의습(衣習)에 따르는 영향으로 편삼(褊衫)을 가사와 함께 착용하였는...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노의(露衣) 다음으로 귀하게 여긴 포형태의 여자 예복. 흉배겹(胸背裌), 겹(裌), 홑[單], 세수(洗手)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아청색, 흑색, 홍색, 황색 등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었다. 국혼정례國婚定例에 기록된 은 대홍색겹으로...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명나라의 절도사이다. 황제의 탄일에 북 흉노가 반란을 일으키자, 황제의 명을 받아 북해 초토사가 되어 경막, 유성희와 함께 북로를 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반란군의 군사이다. 난리 중 부모를 잃고 붙잡힌 어린 해룡을동료들이 헤치려는 것을 막고, 데려다가 양아들로 삼아 기른다. 부인 변씨와의 사이에서 소룡을 낳으나, 해룡을 애지중지하며 귀애한다. 그러나 시기심과 질투가 많은 부인 변씨의 성품을 알고 해룡을 지켜내나, 죽을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724)

  • 庭草(옹정초)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庭草, 咫尺之間, 莖葉各不同. 斷之, 汴出, 或黃或白或靑. 汴不同, 則味不同; 味不同, 則性不同. 性不同, 故或能益人, 或能殺人, 善惡之相去, 遠矣. 翁嘆曰: “地旣同, 雨露均, 又非有種子移根之別. 是何同養而異品, 若是其相懸乎? 天地之力, 不能合以一之, 況於人乎...
    서명관물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主要部隊謀一覧表 昭和20年3月[주요 부대장‧참모 일람표 쇼와 20년 3월]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302502 主要部隊謀一覧表 昭和20年3月[주요 부대장‧참모 일람표 쇼와 20년 3월] 陸大(陸軍大学校) 육대(육군대학교) 방위성 방위연구소 中央-軍事行政職員表-9 0147 문서 1945.03.99 ...
    소장처방위성 방위연구소 | 조사일2018. 02.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內需司 文績類_제6책 115. 道光二十四年-甲辰-正月初五日善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4098 奎 19312 內需司 文績類 제6책 06-115 115. 道光二十四年-甲辰-正月初五日善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7.9x33.8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7.9x33.8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조선시대 역학서:1677_박통사언해(上)_으로 여 가 敎坊司의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박통사언해 376 1677_박통사언해(上) 으로 여 가 敎坊司의 1677박통사언해上5b.jpg 으로 여 가 敎坊司의 여라믄 樂工과 院本에 여러가지 雜技니 블러 오라
    편명1677_박통사언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郡縣敎民之法,視京都略焉,亦百家爲一聚,九聚爲一坊,每一坊立敎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180 經世遺表 卷十三 ITKC_MP_0597A_1180_020_0180 郡縣敎民之法,視京都略焉,亦百家爲一聚,九聚爲一坊,每一坊立敎人。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
    권차명經世遺表 卷十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5)

  • 의 일월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가 웃으면서 ?들은 이얘기? 하나 하겠다고 나섰다. 청중(박동준)도 나서며 ?요 다음에 내 좋은 이얘기 하나 하지? 하고, 다음 번에는 자기가 이야기하겠다는 것을 미리 밝혔다. 이제 이야기판은 무르익어서 새삼스럽게 조사자가 나서서 이야기를 유도할 필요가 없었...
    조사일시1979-04-05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외동면 입실2리 | 제보자이석기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개관-무복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춤과 굿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영암 삼우씻김굿에서 정화점 무녀는 굿이 시작할 때 백색치마․백색저고리를 착용하다가 굿을 진행하는 도중 굿거리에서 백색 도포형 과 백색고깔을 착용하고 거리가 끝나자 고깔과 도포형 을 벗었다.
    분야무복 | 지역전라도
  • 07_030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종헤소리 종헤소리 장원질 소리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텃골 1988.4.21 素88-4-21A 이석우, 차, 유종옥 이석우(1921년생.남.토민), 차(1932년생.남), 유종옥(1933년생.남) 이소라
    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텃골 | 녹음날짜1988.4.21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07_012 전북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북도 고창군_얼싸 절싸나 헹게로다 얼싸 절싸나 헹게로다 얼싸절싸 헹게로다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텃골 1988.4.21 素88-4-21A (메): 이석우 (받): 윤종옥, 차 이석우(1921년생.남.토민), 윤종옥(
    녹음지역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텃골 | 녹음날짜1988.4.21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신선식 퉁소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노래B면 애원성 입장곡 사당곡 사자 초장-중장-말장 넋두리 연풍대 곡명 미상 이곡연주자 동태선, 동성영, 전중식, 신선식, 전광석 pdf I-143.jpg jpg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동태선

기초학문(2)

  • 가나자와 쇼자부로(金澤郞)의 ?朝鮮語發音篇?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진호, 게재일 : 2012
    52871 이진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가나자와 쇼자부로(金澤郞)의 ?朝鮮語發音篇?에 대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삼론 초장(三論初章)의 이제 상즉의(二諦相卽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찬국, 게재일 : 2014
    &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42522&local_id=10057839 삼론 초論初章의 이제상즉의二諦相卽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19)

  • 一局書記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 셔긔관 됴졔환씨 부 회계국쟝을 피임고 김유증 권보샹 죠셩구 씨 모다 부셔긔관을 피임얏더라
    게재일1907년 6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一課技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뎐원 뎐무과장 리규영씨 경리원기로 젼임고 그에 졍삼품 셔상션씨가 피임고 륙품에 강진슈 심의쳘 량씨 뎐무과기를 피임얏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書任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법부리 국장 김각현씨 외임에 외부참셔관 유진찬씨가 피임고 그에 젼군슈 김규슈씨가 피임 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7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堀郞(-) 해주 堀郞 - 秋花面 鰲川里 - - 연초,잡화판매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堀長三郞(-)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연초,잡화판매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光雄(-) 청진 光雄 - 彌生町 - - 도자기상 - - 철물 겸업 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長森光雄(-) | 지역청진 | 품목- | 영업종목도자기상 | 자료출처淸津商工人名錄, 1932년

기타자료(17)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56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8면 식;植 제9회 1938년 9월 2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봉;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5992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74면 24. 제24회 졸업생(70명) 소화13년 3월 6일 식;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497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91면 조;祚 경북 달성군 달서면 비산동 667 제22회 4267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7382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38면 전;全 전북 전주군 전주면 本町3정목 60 제9회(41명) 1932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6)

  • / [종교·철학/불교]

    승려가 입는 의복 가운데 하나. 중국에서 입었던 직철이 우리나라에 도입되면서 장심이라고 불렸다. 이 은 웃옷인 편삼과 아래옷인 군자를 함께 꿰맨 옷을 말한다. 이것은 주로 회색과 갈색으로 되어 있으며 면직물을 재료로 하여 만든다. 현재 경상남도 밀양군 표충사에 소

  • 사명대사의금란가사와 / 泗溟大師─錦襴袈裟─ [생활/의생활]

    조선 중기의 고승 사명대사(四溟大師: 1544∼1610)가 입었던 가사와 . . 가사와 은 승려가 착용하는 법복으로 이 유물은 사명대사가 입었던 25조가사와 면포이다. 현재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다.

  • 가사호접 / 袈裟胡蝶 [예술·체육/무용]

    승무복식인 흰색 바지저고리와 흰색 , 고깔을 쓰고, 홍색 띠 가사를 착용한다. 북놀음 장면이 없으며, 뿌리기 등에도 북채 없이 맨손으로 춤춘다.

  • 가사 / 袈裟 [생활/의생활]

    승려가 입는 법의. 본래는 색의 호칭으로서 부정잡색을 의미하며, 탁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흑과 붉은 가사가 전래된 이후 전통적인 바지 저고리 위에 착용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갈색, 황색, 적색의 가사가 주류를 이루어 정착해 왔다

  • 남사대 / 藍紗帶 [정치·법제]

    비모ㆍ상궁ㆍ시녀ㆍ나인이 띠는 남색의 사로 만든 허리띠. <가례도감의궤>에 보면, 남사가 반폭씩 7자가 들어가며 남진사는 2푼이 사용되었다. 을 입은 기행나인의 복식에는 남사대가 들어 있지만, 보행 나인이나 본댁 나인에게는 남사대가 없는 것으로 보아 저고리나 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