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말손” 에 대한 검색결과 3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0)

사전(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世祖實錄 成宗實錄 國朝榜目 海東雜錄 초상 조선시대의 문신 (1431-1486)을 그린 초상화. 107cmx171㎝, 비단에 채색. 보물 제502호. 오사모에 단령을...
    이칭별칭 경윤(景胤)| 안양(安襄)
  • TD_L14_D_0710 인물 景胤, 敵愾功, 延福君, 禮曹參判, 安襄 我光廟 仁同 李施愛 D_04_03_52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5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5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의 문신인 을 그린 초상화. [내용] 조선시대의 문신인 을 그린 초상화. 축(軸). 세로 171㎝, 가로 107㎝. 비단 바탕에 채색. 보물 제502호.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북기리 장덕필(張悳必) 소장. 상의
    연계항목장말손영정(張末孫影幀)
  • 유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화기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의 유품. [내용] 보물 제881호. ‘敵愾功臣會盟錄(적개공신회맹록)’ 족자와 패도(佩刀, 전체길이 13.8㎝)가 일괄 지정된 것이다. 세조 때
    연계항목장말손유품(狀末孫遺品)
  • 인동장씨선세홍백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知貢擧)의 직함과 성명이 표시되어 있다. 1453년(단종 1)의 것은 ()에게 내려준 백패로서, 진사시에 2등 7인으로 합격한 증서이다. 1459년(세조 5)의 것은 에게 내려준 홍패로서, 문과에 병과 제3인으로 급제한 증서이다. 이 중 130...
    연계항목인동장씨선세홍백패(仁同張氏先世紅白牌)

고서·고문서(346)

  • 1453년 () 백패(白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3년(단종 1) 2월 12일에 성균관의 유생이었던 이 2등 70인으로 진사시에 합격하였음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67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웠다. 본 문서는 인동 장씨 집안에 전해 내려오는 과거급제합격증서 중 하나...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백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백패 | 현소장처영주 화기 인동장씨 장말손 종택
  • 1459년 ()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59년(세조 5) 이 문과에서 병과 3등으로 급제하여 세조가 내려준 홍패인데, 홍패는 문과시험 합격자에게 내려준 합격증서이다. 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67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웠다. 본 문서는 인동 장씨 종중에 전...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영주 화기 인동장씨 장말손 종택
  • 1467년 () 적개공신교서(敵愾功臣敎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467년(세조 13) 11월에 을 정충출기적개공신으로 책록하면서 그 공을 치하하기 위하여 발급한 문서이다. 은 함경도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허종 등 44인과 함께 적개공신으로 책록되었고, 2등 공신으로서의 특전과 함께 땅 100결, 노비 1...
    내용분류국왕‧왕실-교령-공신교서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교서 | 현소장처영주 화기 인동장씨 장말손 종택
  • 1514 0810_02 松雪軒遺稿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일상생활, 종가유래, 문집, 문집, 송설헌유고 한자 전적 SJ203-1.JPG 종가 장덕필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1515 0810_03 松雪軒遺稿 03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종가, 일상생활, 종가유래, 문집, 문집, 송설헌유고 한자 전적 SJ203-2.JPG 종가 장덕필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431(세종 13)∼1486(성종 17). 조선 전기의 문신. 순효의 증손, 할아버지는 경원, 아버지는 안량, 어머니는 고승안의 딸이다. 1459년(세조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1463년 승문원박사를 거쳐 한성참군·사헌부감찰·함길도평사를 역임하였다. 1467

  • 장만걸 / 張萬杰 [종교·철학/유학]

    1654년(효종 5)∼1717년(숙종 43). 조선 후기 유학자. 의 후손, 부친은 장윤병이다. 장신, 장진에게 가학으로 배웠으며, 자라서는 나은 이동표·나암 이유장을 사사하였다. 주로 예학에 몰두하여《가례익해》·《의례문답》·《비요집람》를 저술하였다. 문집으로

  • 장용 / 張瑢 [종교·철학/유학]

    1650~1726. 의 6대손, 장여화의 손자. 계유(1693)년 생원시 합격, 갑술년 유림소 논의가 있을 때 소수로 추천된 바 있다. 병오(1726)년 향년 칠십칠 세를 일기로 생을 마쳤다. 오직 학문을 강토하면서 임천에 유유자적하는 삶을 영위하였다.

  • 조광익 / 曺光益 [종교·철학/유학]

    1537(중종 32)∼1580(선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윤신, 어머니는 의 손녀이다. 이황의 문인,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156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1569년(선조 2) 형조좌랑에 이어 감찰을 지내고 1576년 중시에 장원급

  • 적개공신 / 敵愾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정충포의적개공신으로 김국광·허유례·이운로·이덕량·배맹달·이형손·이종로·이서장·김순명·김관·구겸·박식·김백겸·어세공·오유치·정숭로··손소·오순손·심응·윤말손·김면·맹석흠 등 23명. 3등은 정충적개공신으로 영순군 보·율원부윤 종·한계미·선형·민발·오자경·최유림·우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