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만” 에 대한 검색결과 2,2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96)

사전(70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遲川集 宋子大全 谿谷集 澤堂集 典故大方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선생 영정 및 공신록권 / 영정(...
    이칭별칭 호고(好古)| 낙서(洛西)| 충정(忠定)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장수로서, 호각이 죽은 뒤 호달을 단숨에 찔러 죽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도원수로, 안주 목사 정충신이 달려와서 이괄의 모반의 일을 고하자, 종사관을 시켜 안주는 중진이기에 성을 굳게 지키는 것이 중요하건만 이토록 가볍게 자리를 떠나 움직이는 것은 중죄라며 꾸짖는다. 정충신이 적병의 뜻이 급히 가는 데 있고 안주에 병력이 없어 지킬 수도 없...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인조가 반정에 성공한 후 도원수가 되어 평양을 지킨다. 이괄이 반란을 일으킨 것을 알고 조정에 알리는 한편 군졸을 단속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I9_S_0121 언어 禪法, 道, 日用, 不著, 不察, 凡事, 著意, 呼吸, 常時, 自覺, 留心, 嘿察, 調息, 功夫, , 不安, 目擊, 道存, 小說 東坡, 子, 孟子, 宋仁宗 書焦山綸長老壁, 坡註, 農巖集 S_29_01_33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9권 1장 3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009)

  • 顯隆園改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2050 顯隆園改詞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웅(雄)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구미 옥산 인동장씨 여헌 종택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05년_부내면(府內面) 1705년 부내면(府內面) 第十三路下里 5 第五統統首輔 @5 統第一戶 忠翊衛輔年參拾貳甲寅本仁同父忠翊衛振雄祖忠翊衛雲益 曾祖宣武原從功臣守門將慶龍外祖納粟通政大夫李逸本慶州率 母李召史年伍拾丙申妻池召史年參拾丙辰本忠州父忠翊衛潢祖...
    연도_면이름1705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三路下里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내상면(內廂面) 1774년 내상면(內廂面) 第一南門內里 4 第四統統首守 第四統一戶 禁衛軍守年陸拾貳癸巳本仁同父通政任善祖折衝儀立曾祖通政士用外祖朴之生本密陽妻朴召史年陸拾參壬辰本密 陽父通政進業祖先伊二祖不知率子太守年參拾參壬戌率女召史年拾參壬午辛...
    연도_면이름177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一南門內里
  • 1667년 기(紀)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구미 옥산 인동장씨 여헌 종택

구술자료(56)

  • 선조의 피난길을 안내했던 리와 동호마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의 이야기는 지명과 관련된 인물 이야기로 계속 이어졌다. 이 이야기 역시 동호 장만리의 호를 따서 이름이 붙여진 동호마을에 관한 것이 었다.
    조사일시2009.07.23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신관리 기동마을 | 제보자이태식(남,53세)
  • 임윤수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록』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중 대전풍류 임윤수 최윤 신은휴 거문고 졸록 연정국악원 풍류 1999 충청남도 공주시 06:08 00:0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풍류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임윤수
  • 남동환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장과정, 상경, 인쇄소 취업 결혼, 직장생활, 인쇄소 창업 직장생활, 시국 상황과 인쇄업 인쇄소 창업, 인쇄 기술 변화, 고향 이사, 집 , 동생 사업 실패 선거와 인쇄업, 신기술과 인쇄업 기술 발전과 국가 역할, 취미생활과 가족 1억이 생기면, 자신의 삶 평가
    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 박영준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장과정, 유년기의 꿈 군복무, 추레라 노동, 전화 공사 회사 취업 광주민주화운동, 선거, 박정희 평가, 장발단속 올림픽 때 기억, 신광전기 입사, IMF 사태, 콘테이너 노동 화물연대, 운수 노동, 취미생활 주량, 자녀 교육, 홀어머니 봉양, 미래 꿈 집 , 1
    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경기도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사자풀이-무의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는 심부름꾼을 의미하며, 민간에서는 저승사자를 잘 대접하면 좋은 곳으로 데려간다고 관념하여 제사상 외에 사자상을 따로 한다.
    분야무의 | 지역전라도

기초학문(6)

  • 1950년대 지식-번역의 장(場)과 문인번역자의 위상 : 영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59986 한국연구재단 한국근대문학 2014 1950년대 지식-번역의 장(場)과 문인번역자의 위상 : 영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사회교환이론에 입각한 직장-가정 문화와 직장-가정 갈등, 직장-가정 지원 및 직족의 구조적 모형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현정, 게재일 : 2013
    54268 최현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2013 사회교환이론에 입각한 직장-가정 문화와 직장-가정 갈등, 직장-가정 지원 및 직족의 구조적 모형 분석 https://www.krm.or.k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弔針文〉의 문학치료학적 접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만식, 게재일 : 2013
    09994 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弔針文〉의 문학치료학적 접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사물과의 대화록 쓰기’와 〈조침문〉 감상을 바탕으로 한 ‘애도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자기서사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만식, 게재일 : 2015
    64725 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사물과의 대화록 쓰기’와 〈조침문〉 감상을 바탕으로 한 ‘애도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자기서사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https://www.krm.or.k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일제강점기 신문 독자투고시의 계량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만호, 게재일 : 2018
    18575 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일제강점기 신문 독자투고시의 계량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379)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홍원군슈 최항용씨난 군에부임지가 겨오 다셧달인 탐학 장젼슈효난 일만팔쳔량이라 부에셔 함흥관찰의게 훈칙야 북쳥군슈 홍우원씨로 샤관을뎡야 죠죠이 샤치보케라 얏난 비단 홍원군슈라 십삼도각군슈를 통이계지면 탐학아니난 군수가 몃치못되리니부에셔 젼후로 ...
    게재일1906년 8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人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무쟝군슈 홍봉표씨는 치민에 션졍엿다고 셩들이 만인산을 가지고 상경얏더라
    게재일1903년 4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榮(-) 대구 榮 - 壽町 - - 잡화상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張萬榮(-)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잡화상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壽(壽製作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壽(壽製作所) 서울 壽製作所 岡崎町 89-4 기계기구 - 도르래 세공(細工) 제작 2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張萬壽(張萬壽製作所) | 지역서울 | 품목기계기구 | 영업종목도르래 세공(細工)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大太郞(-) 부산 大太郞 - 幸町1-8 - - 잡화 - 11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大場萬太郞(-)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잡화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기타자료(43)

  • 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300 일본 東京 학교(집합) 金剛杵 25호(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41―12―10 105면 2. 조선불교동경유학생 회원일람(1941년 9월 현재);2)舊 회원 룡;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2204 일본 東京 학교(집합) 金剛杵 23호(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39―01―15 95면 1. 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회원일람(무순) 룡;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855 일본 東京 학교(집합) 金剛杵 24호(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40―07―30 73면 1. 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회원일람(1940년 5월 현재, 가나다순) 룡;龍 板橋區 下石神井 2-1...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4726 일본 東京 학교(집합) 金剛杵 22호(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1937―01―30 77면 1. 조선불교동경유학생회 회원일람(無順, 丙子 12월 현재) 룡;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4970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72면 16. 제16회 졸업자 90명 1940년 3월 25일(5년제) 영;寧 함평
    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32)

  • / [종교·철학/유학]

    1566(명종 21)∼1629(인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철견의 증손, 할아버지는 계문, 아버지는 기정, 어머니는 조광침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생원·진사 합격, 1591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승문원의 벼슬을 거쳐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 걸 / [종교·철학/유학]

    1654년(효종 5)∼1717년(숙종 43). 조선 후기 유학자. 장말손의 후손, 부친은 장윤병이다. 장신, 장진에게 가학으로 배웠으며, 자라서는 나은 이동표·나암 이유장을 사사하였다. 주로 예학에 몰두하여《가례익해》·《의례문답》·《비요집람》를 저술하였다. 문집으로《

  • 내소주방 / 內燒廚房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왕과 왕비의 수라를 마련하는 곳. 방과 창으로 구성된 몸채가 있고, 이를 청, 방, 부엌, 곳간으로 구성된 행랑이 둘러싸고 있다. 주방 나인들이 왕과 왕비의 수라를 하는 곳으로 화재의 우려가 있어 왕의 침전과 떨어진 곳에 설치하였다. 일상식을

  • 소주방 / 燒廚房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소주방과 외소주방으로 나뉘는데 내소주방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하고 각종 찬품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소주방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이나 다

  • 공음만록 / 公陰謾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치의 시·제문·설·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1책(106장). 필사본. 저자의 생애에 관해서는 알 수 없고, 다만 그의 시 가운데 「갈암선생천(葛菴先生遷)」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가 영남학파 계통의 인물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서문·발문도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