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령” 에 대한 검색결과 7,1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054)

사전(2,2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내용] 조선건국 직후 태조신반관제에 의하면 사헌부에 정4품의 시사(侍史) 2인이 있었는데, 이 시사가 뒤에 으로 바뀌었다. 즉, 1401년(태종 1) 관제개혁 때 시사를 으로 고...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전 이부상서이다. 열다섯 살에 두 차례나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며그 후 삼년 동안 내직과 외직의 벼슬을 골고루 지내고 이부상서의 직위까지 이르나 밤낮을 가리지 않고 정사에 골몰하여 병을 얻는다. 몸이 점점 쇠약해지니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인 신성 백운동으로 내려간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
    정의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angnyeong | MR표기changn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사헌(大司憲),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집의(執義)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고려~조선시대 고려~조선시대 송웅섭 1308년(고려 충렬왕 34) 1894년(고...
    관련어대사헌(大司憲),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 집의(執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내용] 발해는 전국토를 5경 15부 62주로 나누었는데, 부는 15부 중의 하나이다. 고구려의 옛땅에 설치되었으며, 그 밑에는 하주(瑕州)와 하주(河州)의 2개주를 두어 다스리도록 하였다. 한편, ...

논문(2)

고서·고문서(4,720)

  • 『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卷之一百五十九 光緒九年 二月 三日 8번째기사 『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光緒九年 二月 三日(1883) 1883 子 荒山子 子 사회 吉林將軍銘安等奏·派丁憂刑部郎中彭光譽·前往會甯慶源等處會...
    출처전거『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卷之三百五十五 光緒二十年 十二月 七日 3번째기사 『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光緒二十年 十二月 七日(1894) 1894 子 通原堡 薛禮站 子 遼陽 牛莊 遼陽 大...
    출처전거『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卷之三百六十六 光緒二十一年 四月 十六日 7번째기사 『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光緒二十一年 四月 十六日(1895) 1895 子 遼 군사 又諭·電寄李鴻章·伍廷芳等電稱·任使送還照會三件....
    출처전거『淸實錄』 德宗景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淸實錄』 宣宗成皇帝實錄 卷之三百六十 道光二十一年 十月 二十五日 3번째기사 『淸實錄』 宣宗成皇帝實錄 道光二十一年 十月 二十五日(1841) 1841 子 奉天 金州 金州 柳樹屯 黃土岸 復州
    출처전거『淸實錄』 宣宗成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구술자료(2)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平), (), 청다리, 가오리, 금부(禁府) 나졸(邏卒), 좌우 순령수(巡令手), 고래, 준치, 해구, 모지리, 원참군( 參軍) 남생이, 별주부(鼈主簿) 자래, 모래모자(모래무지), 멸치, 준치, 갈치, 삼치, 미끈 배암장어, 좌수(座首) 자개사리, 가재, 깨고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平), (), 청다리, 가오리, 금부(禁府) 나졸(邏卒), 좌우 순령수(巡令手), 고래, 준치, 해구, 모지리, 원참군( 參軍) 남생이, 별주부(鼈主簿) 자래, 모래모자(모래무지), 멸치, 준치, 갈치, 삼치, 미끈 배암장어, 좌수(座首) 자개사리, 가재, 깨고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기초학문(1)

  • 张宁出使朝鲜与《庚辰皇华集》考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두후이웨, 게재일 : 2008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14843bb015177abf1961508 장녕() ;;봉사록(奉使錄);; 詩文 硏究 https://www.krm.or.k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94)

  • 斷髮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각부관인이 단발다난일은 작일관보에 발표얏난 광무구년십일월일일부터 편의로 차차시라 얏더라
    게재일1905년 10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강화부 면 리뎡환이가 서울사 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강화부 면 리뎡환이가 서울사 리셔산집 뎐토 두셤낙을 간셥다가 작년에 답쥬가 그을 방고로 칠쳔금에 졀가야 이쳔량은 즉시 보고 오쳔량은 밋쳐 갑지못얏는 뎡부지 현가가 리셔산집 편지라고 가지고와셔 오쳔량을 라며 속히 △지안다고 강화슈셔긔 김흥슈와...
    게재일1901년 5월 13일 | 기사분류잡보
  • 軍部提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군부에셔 위관과 쥰관이하 병졸의 뎨등규졔를신졔야 장반포다 그뎨등은 군장속과 공외에 용치못다더라
    게재일1907년 4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武官職名解任의詔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조칙을 나리샤 갈아샤 군졔를 임의 졍지라 무관즁 황죡외에 당장 보직이 업 인원의 위관직명을 모다 임라 셧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軍人陛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하오시에 이등통감이 이번인쳔항에도박 뎨이함 령장관이하 위관 이십여명을 동 폐현얏더라
    게재일1906년 4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0)

  • 동오십구호둔고성(東五十九號屯古城)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동오십구호둔고성(東五十九號屯古城) 중국 동오십구호둔고성(東五十九號屯古城) 관방유적 발해~요·금대 길림성(吉林省) 현(縣) 팔십팔향(八十八鄕) 동오십구호둔고성.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
    대표표제어동오십구호둔고성(東五十九號屯古城)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동오십구호둔고성(東五十九號屯古城)
  • 동래태수(東萊太守) 국연승(鞠延僧)이 공물을 바치러 오는 고구려 사신을 억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劫留高麗獻使 懷珍又遣寧朔將軍明慶符與廣之擊降延僧 遣高麗使詣京師 文秀聞諸城皆敗 乃遣使碩請降 懷珍乃還 (…) (『南齊書』 27 列傳 8 劉懷珍)
    대표표제어동래태수(東萊太守) 국연승(鞠延僧)이 공물을 바치러 오는 고구려 사신을 억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67년(丁未/신라 자비마립간 10/고구려 장수왕 55/백제 개로왕 13/宋 泰始 3/倭 雄略 11)
  • 【번역】 (2월) 을축(20일), 발해부사 정4위하 모창록이 죽었다. 사신을 보내어 조문하였다. 종3위로 추증하고, 부조는 영의 규정 부조는 영의 규정과 같다(賻物如令): 喪에 따르면, 3위에 대한 부물은 絁二十二疋, 布八十八二端, 鐵六連이다.과 같다. (『續日本紀...
    대표표제어발해부사 모창록이 죽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3년(癸丑/신라 혜공왕 9/발해 문왕 大興 37/唐 代宗 大曆 8/日本 光仁天皇 寶龜 4)
  • 익사한 발해사신들을 추증하고 부조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정과 같다(賻物如令): 喪에 의하면 정5위의 부물은 絁十一疋, 布四十四端, 鐵二連이다.. (『續日本紀』 34 光仁天皇 宝龜 8年 5月 庚申) 【원문】 (五月)庚申 先是 渤海判官高淑源及少錄事一人 比着我岸 船漂溺死 至是贈淑源正五位上 少錄事從五位下 竝賻物如令 (『續日本...
    대표표제어익사한 발해사신들을 추증하고 부조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7년(丁巳/신라 혜공왕 13/발해 문왕 大興 41/唐 代宗 大曆 12/日本 光仁天皇 寶龜 8)
  • 동래태수(東萊太守) 국연승(鞠延僧)이 공물을 바치러 오는 고구려 사신을 억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東萊太守鞠延僧數百人據城 劫留高麗獻使 懷珍又遣寧朔將軍明慶符與廣之擊降延僧 遣高麗使詣京師 文秀聞諸城皆敗 乃遣使碩請降 懷珍乃還 (…) (『南齊書』 27 列傳 8 劉懷珍)
    대표표제어동래태수(東萊太守) 국연승(鞠延僧)이 공물을 바치러 오는 고구려 사신을 억류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467년(丁未/신라 자비마립간 10/고구려 장수왕 55/백제 개로왕 13/劉宋 明帝 泰始 3/倭 雄略天皇 11)

주제어사전(13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 정원은 2인이다. 조선건국 직후 태조신반관제에 의하면 사헌부에 정4품의 시사(侍史) 2인이 있었는데, 이 시사가 뒤에 으로 바뀌었다. 즉, 1401년(태종 1) 관제개혁 때 시사를 으로 고쳐 이것이 그대로 ≪경국대전≫에 성문화

  • 동산 / 銅山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철산 지역의 옛 지명. 요나라 때함주(咸州)로 고쳤다가 고려 때 동산현이 되었으며, 현종 때 철주(鐵州)로 바뀌었다. 조선 태종 때 철산군이 된 뒤 오늘에 이른다. 동산은 ‘구리ㆍ굳은’의 의미를 가져 철산과 같은 뜻을 가진다.

  • 송병선행사헌부겸시강원진선고신 / 宋秉璿行司憲府兼侍講院進善告身 [정치·법제/법제·행정]

    1880년 2월에 송병선을 통훈대부행사헌부겸시강원진선으로 임명하는 고신. 통훈대부는 문관의 정3품 하계인 당하관이다. 통훈대부가 정3품의 품계인데 비해 정4품의 사헌부 의 낮은 관직에 임명하였기 때문에 관직명 앞에 품계가 높은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

  • 김영 / 金瑛 [종교·철학/유학]

    1475(성종 6)∼1528(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계권, 아버지는 영수, 어머니는 김박의 딸이다. 1506년(연산군 12) 별시문과에 정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수찬, 정언, 교리, , 경상도재상경차관, 김제군수,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

  • 신종옥 / 申從沃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관리. 조부는 신숙주, 부친은 신주이다. 관직은 파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헌납 경세창 또한 문제를 삼았지만 임금이 들어주지 않았다. 이후에도 유숭조‧유희철과 정언 서후가 관직을 주는 것이 합당하지 못하다고 재차 아뢰었으나, 모두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