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장대타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장대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꼭대기의 십자형 나무 위에서 몸을 뒤집고 매달리는 등 여러 가지 재주를 연출하는데, 이 장대타기를 하는 자를 ‘대광대’라고도 한다. 고려 말엽의 학자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권33)에 “긴 장대로 공중에 오르기를 평지같이 하며(長竿倚漢如平地)……”와...이칭별칭솟대타기
- 곡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전통적인 것으로 줄타기‧장대타기‧죽방울받기‧공놀리기‧접시돌리기‧마상재(馬上才)‧불토하기‧굴레엮기‧굴레빼내기‧무동(舞童) 등이 있고, 현대의 공중그네와 동물곡예 등이 있다. 우리 나라는 일찍이 백제‧신라 시대부터 곡예가 있었다. 중국 당나라 때의 학자 이연수(李延...
- 금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양반이 나와 탈놀이를 시작하였다. 이 놀이는 중국산악(中國散樂)의 탄도(呑刀:칼을 삼키기)‧토화(吐火:불을 토하기)‧농환(弄丸:공을 여러 개 던지기)‧환검(丸劍:칼쓰기)‧도비환(跳匕丸:비수 여러 개 던지기)‧주색(走索:줄타기)‧심장(尋橦:장대타기) 등 잡희(雜戱...
- 백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남사당의 죽방울돌리기‧대접돌리기(버나)‧장대타기‧땅재주(살판)‧줄타기(어름)‧탈놀이(덧뵈기)‧꼭두각시놀음(덜미) 등과 같은 종목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韓國의 假面劇(李杜鉉, 一志社, 1979)
- 무륜(舞輪)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어떤 인형들은 백희를 연출했는데, 칼 던져받기[跳劍]․수레바퀴 놀리기[舞輪]․장대타기[升竿]․줄던지기[擲繩] 등이 모두 사람이 하는 것과 다를 바 없었다”와 같이 인형들이 연출한 무륜의 연행 장면이 나타난다. 무륜의 연행 장면이 묘사된 장면은 내몽골 후허하오터 허린거얼...대분류곡예‧묘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주제어사전(1)
-
장대타기 / [생활/민속]
연출하는데, 이 장대타기를 하는 자를 ‘대광대’라고도 한다. 고려 말엽의 학자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권33)에 “긴 장대로 공중에 오르기를 평지같이 하며(長竿倚漢如平地)……”와 조선 성종 때 학자 성현(成俔)의 『허백당집(虛白堂集)』(권7) 관나시(觀儺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