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금사” 에 대한 검색결과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7)

사전(2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감옥과 범죄수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 형조 소속의 부서. [내용] 1405년(태종 5)에 왕권강화책의 일환으로 육조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관제를 개혁할 때 형조 안에 ‧장례사(掌隷司)‧고율사(考律司)의 3부서를 두었으며...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감옥과 범죄수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 형조 소속의 부서.
    정의조선시대 감옥과 범죄수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 형조 소속의 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anggeumsa | MR표기Changgŭm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장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노예부적(奴隷簿籍)과 포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 형조 소속의 관서. [내용] 1405년(태종 5) 왕권강화책의 일환으로 육조의 기능강화를 위한 관제개혁 때 형조 안에 ()‧장례사‧고율사(考律司)의 3관서를 두었으며,
  • 고율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육조의 속아문제도(屬衙門制度)와 함께 각 조에도 그 사무를 분장하는 3개의 사(司)를 두었다. 형조에는 ()‧장례사(掌隷司)‧고율사의 삼사를 두었다. 그 가운데 고율사는 그 죄에 상당하는 법률의 타당한 적용여부와 형옥이 제대로 판결되었는가를 살피는...
  • 구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특히 후기에 형조 안에서 형조의 소관업무를 관장하던 9개의 실무부서. [내용] 형조의 업무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의 복주(覆奏)를 관장하는 상복사(詳覆司), 율령의 조사연구를 관장하는 고율사(考律司), 형옥금령을 관장하는 ...

고서·고문서(41)

  • 17703 B017703 개운포 開雲浦 군사교통 東萊府啓錄 권3 1862년 6월 25일 ... 佐善眼同領曳巳時交付機張境是如爲有旀卽到同縣監鄭泰源馳通內同船二隻使舟師大默領曳前進午時交替東萊境是如爲有旀追到哨探將包伊浦萬戶馳報內同船領曳酉時五六島前洋護送將開雲浦萬戶申在倫處交付是...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247 B032247 기장 機張 정치행정 東萊府啓錄 권4 1863년 7월 8일 本月初五日亥時到付釜山僉使李南輯馳通內因干飛烏烽軍進告卽到左水營關內當日申時朝倭未辨船二隻漂向機張境是如問情譯官起送亦爲有旀追到機張縣監鄭泰源馳通內辭緣一樣而探知次使舟師代默領小船出海是如爲有等以同船...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249 B032249 기장 機張 정치행정 東萊府啓錄 권4 1863년 7월 8일 本月初五日亥時到付釜山僉使李南輯馳通內因干飛烏烽軍進告卽到左水營關內當日申時朝倭未辨船二隻漂向機張境是如問情譯官起送亦爲有旀追到機張縣監鄭泰源馳通內辭緣一樣而探知次使舟師代默領小船出海是如爲有等以同船...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2048 B042048 대선 大船 경제산업 東萊府啓錄 권3 1863년 1월 11일 ... 向機張境是如問情譯官起送亦爲有旀追到機張縣監鄭泰源馳通內辭緣一樣而哨探次使舟師代默領小船出海是如爲有等以同船止泊處馳往問情之意別差處傳令申飭緣由馳通云云是白齊. 初四日子時到付同僉使馳通內卽...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曳巳時交付機張境是如爲有旀卽到同縣監鄭泰源馳通內同船二隻使舟師大默領曳前進午時交替東萊境是如爲有旀追到哨探將包伊浦萬戶馳報內同船領曳酉時五六島前洋護送將開雲浦 ...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任農商工府協辦 宮內府協辦리容善以上九月卄六日 慶基殿參奉鄭在鵬 崇德殿參奉朴文益 依願免本官 任慶基殿參奉崔寬식 任崇德殿參奉朴勝夏 任警務使 警察局默 任警察局長漢城府少尹朴承祖以上九月卄八日 免本官法部主事沈亨澤九月卄九日
    게재일1905년 10월 4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6)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감옥과 범죄수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 형조 소속의 부서. 1405년(태종 5)에 왕권강화책의 일환으로 육조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관제를 개혁할 때 형조 안에 ·장례사(掌隷司)·고율사(考律司)의 3부서를 두었으며, 이를 ≪경국대전≫에 법제화하였다.

  • 구방 / 九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특히 후기에 형조 안에서 형조의 소관업무를 관장하던 9개의 실무부서. 형조의 업무는 사형에 해당하는 죄의 복주를 관장하는 상복사(詳覆司), 율령의 조사연구를 관장하는 고율사(考律司), 형옥금령을 관장하는 (), 노비와 포로를 관장하는 장례사(掌

  • 상복사 / 詳覆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죄자에 대한 복심을 담당한 형조 소속의 관서. 원래 1405년(태종 5) 육조의 기능 강화를 위한 관제개혁 때 형조 안에는 ()·장례사(掌隷司)·고율사(考律司)의 3부서를 두었으나, 성종 초에 반포된 ≪경국대전≫에는 상복사가 추가되어 있다.

  • 고율사 / 考律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율령의 조사와 형옥의 사찰에 관한 사무를 맡은 형조 소속의 관서. 1405년(태종 5)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육조의 직계제를 마련, 형조에는 ·장례사·고율사의 삼사를 두었다. 고율사는 그 죄에 상당하는 법률의 타당한 적용여부와 형옥이 제대로 판결되었는가

  • 방장 / 房掌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형조의 업무를 분장하는 방을 책임지는 관직. 4개의 사에 각각 두개의 방을 갖추었는데, 이들 방을 책임지는 담당관을 일컫던 칭호이다. 형조의 분사는 상복사·고율사··장례사로 이들 각 사의 해당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사마다 두개의 방을 분설하여 모두 8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