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장군방” 에 대한 검색결과 2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4)

사전(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정4품 무반직인 장군의 회의기관. 고려의 군제에서는 이군육위에 병사 1,000명으로 구성되는 영(領)이 예속되어 있었는데, 그 최고지휘관이 장군이고 이들의 회의기관이 이다. 이 밖에도 정6품직인 낭장(郎將)의 회의기관인 낭장방, 정8품직...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에 장군 이상이 모여 군사에 관한 일을 의논하던 곳.
    정의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에 장군 이상이 모여 군사에 관한 일을 의논하던 곳.[한국고전용어사전] | 문광부표기Janggunbang | MR표기Changgun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량(李良)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을 쌓았다. 이로 인해 해로(海路)가 차단되어 선박이 통과할 수 없게 되었다. 썰물 때에는 그 흔적이 드러난다. 이 수중성을 ‘장군성(將軍城)’, 혹은 ‘이량왜축제(李良倭築堤)’라고 부르고, 섬은 ‘장군도(將軍島)’라고 불렀다. 장군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중앙...
    유형분류인물
  • 방왜축제(防倭築堤)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이량왜축제비(李良倭築堤碑)’가 세워졌다. 『신증문헌비고』에는 1494년에 이량이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호좌수영지(湖左水營誌)』에는 1497년에 쌓았다고 하였다. 『연산군일기』의 1497년 3월 2일 기사에, 이량을 전라좌도수군 절도사에 제수한 것으로 보...
    유형분류유적
  • 호군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오위(五衛)의 상호군(上護軍)‧대호군(大護軍)‧호군(護軍) 등이 모여 군사(軍事)를 의논하던 기관. [내용] 고려 중방(重房)의 후신으로 1406년(태종 6) ()을 개칭한 이름이다. 호군청(護軍廳)이라고도 한다.

고서·고문서(209)

  • 1891년 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겸오위장(折衝驤衛副護軍兼五衛將) 공명첩(空名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공명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공명첩 | 현소장처영암 장암 남평문씨
  • 5 第五統統首文富仁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6년_미상 1726년 미상 第七無屯里 5 第五統統首文富仁 第一戶 業武文富仁年柒拾壹丙申本南平父禦侮驤衛副司果厚上祖折衝驤衛副司果 福曾祖宣略驤衛副司果守外祖嘉善大夫中樞府事安太秀本順興妻李召史年柒拾貳乙未 本慶州父正兵小叱金祖正兵班伊曾祖禦侮將軍...
    연도_면이름1726년_미상 | 면이름미상 | 마을이름第七無屯里
  • 8 第八統統首林時漢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辛卯戶准 第五戶 武學李枝和年肆拾參壬子本安東父出身前權管重培祖通仕郞標柱曾祖 禦侮驤衛副司果碩文外祖禦侮驤衛副司果崔忠立本完山妻郭 召史年肆拾參壬子本玄風父禦侮驤衛副司果以蕃祖通政大夫前行結城 縣監雷曾祖成均生員大守外祖正兵鄭碩本東萊等辛卯戶准
    연도_면이름1714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二佛堂里
  • 李埈公實錄資料 2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宣略驤衛副司果가 되었다는 내용으로 『王公履歷書』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5. 01. 06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38431 B038431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仁祖 12年 11月 20日_019 ○兵批, 李顯英爲資憲大夫同知中樞府事, 閔馨男爲兼五衛都摠府副摠管, 李久澄爲兼五衛將, 許詳爲龍驤衛副護軍, 鄭世矩爲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 成汝寬爲龍驤衛副司直, 卞時益爲定略驤衛...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2)

  • 강도근 흥보가 현장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30:41 A면 1) 단가 홍문연가(00:19~07:45) (중모리)천하가 태평하면 언무숭문하려니와~흔들흔들 흔들거리고서 노는구나 2) 송판 흥보가 중 초앞~흥보마누라가 흥보 만류하는 대목 (07:47~30:05) (자진모리)대 벌목허고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도근
  • 강도근 흥보가 현장녹음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30:41 A면 1) 단가 홍문연가(00:19~07:45) (중모리)천하가 태평하면 언무숭문하려니와~흔들흔들 흔들거리고서 노는구나 2) 송판 흥보가 중 초앞~흥보마누라가 흥보 만류하는 대목 (07:47~30:05) (자진모리)대 벌목허고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득수

기타자료(5)

  • 穆宗授靑州道渤海等諸衛還蕃制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중국-일본에서 발해에 보낸 외교문서 중국 외교문서 당→발해 穆宗授靑州道渤海等諸衛還蕃制 【개요】 본문서는 앞의 穆宗授靑州道渤海授金吾將軍等放還蕃...
    대표표제어穆宗授靑州道渤海等諸衛將軍放還蕃制 | 주제분류외교문서
  • 乾封初 高麗大將泉男生率衆內附 高宗遣同善·高侃等迎接之 男生弟男建率國人逆擊同善等 詔仁貴統兵爲後援 同善等至新城 夜爲賊所襲 仁貴領驍勇赴救 斬首數百級 同善等又進至金山 爲賊所敗 高麗乘勝而進 仁貴橫擊之 賊衆大敗 斬首五萬餘級 遂拔其南蘇·木底·蒼巖等三城 始與男生相會 高宗手敕勞之曰...
    대표표제어남생이 당군에 합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6년(丙寅/신라 문무왕 6/고구려 보장왕 25/唐 麟德3, 乾封 1/倭 天智 5)
  • 北魏 孝文帝가 고구려 문자왕[高雲]에게 내린 조서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였다. 得黃龍表 知卿愆悖朝旨 遣從叔隨使 夫儀乾統運 必以德信爲先 準列作藩 亦資敬順爲本 若君信一虧 何以臨御萬國 臣敬蹔替 豈能奉職宸居 故霆震作威 以明天罰 五刑垂憲 以肅不恭 斯乃人神之常道 幽顯之通規 往以明堂肇制 皇化維新 勅諸藩侯 修展時見 至於言 勸說荒服 每以句麗虔誠 唯厲...
    대표표제어北魏 孝文帝가 고구려 문자왕[高雲]에게 내린 조서 | 주제분류외교문서
  • 북위 황제가 고구려왕에게 조서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勸說荒服 每以句麗虔誠 唯厲要戎 今西南諸國 莫不祗奉大命 星馳象魏 或名王入謁 或藩貳恭覲 觀光駿奔 欣仰朝祀 皇皇之美 於斯爲盛 而卿獨乖宿款 用威嚴勅 前辭身痾 後託子幼 妄遣枝親 仍留同氣 此而可忍 孰不可恕也 若卿父子 審如所許者 應遣親弟 以赴虔貢 如弟復沈瘵(채) 應以卿袒析體代...
    대표표제어북위 황제가 고구려왕에게 조서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92년(壬申/신라 소지마립간 14/고구려 문자명왕 1/백제 동성왕 14/齊 永明 10/倭 仁賢 5)
  • 연개소문 사후 남생이 아들 헌성을 당나라에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離支蓋蘇文死 其子男生繼其父位/ 爲其弟男建所逐 使其子獻誠詣闕請降 詔左驍衛大將軍契苾何力率兵以應接之 (󰡔舊唐書󰡕 5 本紀 5 高宗 下) 【원문】 六月 壬寅 高麗 泉男生請內附 右驍衞大將軍契苾何力爲遼東安撫大使 率兵援之 左金吾衞同善 營州都督高偘爲遼東道行軍總管 左武衞將軍薛...
    대표표제어연개소문 사후 남생이 아들 헌성을 당나라에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6년(丙寅/신라 문무왕 6/고구려 보장왕 25/唐 麟德3, 乾封 1/倭 天智 5)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정4품 무반직인 장군의 회의기관. 고려의 군제에서는 이군육위에 병사 1,000명으로 구성되는 영(領)이 예속되어 있었는데, 그 최고지휘관이 장군이고 이들의 회의기관이 이다.

  • 호군방 / 護軍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상호군·대호군·호군 등이 모여 군사를 의논하던 기관. 고려 중방의 후신으로 1406년(태종 6) 을 개칭한 이름이다. 고려시대 중앙군인 이군육위에 45영(領)을 두고 1영이 1,000인씩의 군사로 구성되었는데, 그때의 지휘관을 상장군·대장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