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잡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2)
사전(137)
- 근대신어 : 잡초베기(下刈)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47636 잡초베기 자항 下刈 シタガリ 1. 밑 깎이(山林) 2. 돌려 깎이(理髮) 1. 밑 깎이(山林) 2. 돌려 깎이(理髮) 造林의順序와下刈除伐大要 펄프資源涵養은時局下 더욱 더욱緊要하다(東亞日報, 1939....출전우리말 도로찾기[문교부] | 계통분류 [정치경제] 농축산업 [사회생활] 치장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모색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잡초가 길을 막는다는 말로, 마음이 물욕에 가리움을 이름. 『맹자(孟子)』「진심하(盡心下)」에 “잡초가 그대의 마음을 꽉 막아버렸구나(茅塞子之心矣)”라는 구절이 있음. 大.隨時隨處勿忘本業 毋令心地茅塞爲善, 정경세(鄭經世), 45-39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김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주는 잡초를 없애는 일. [내용] 잡초에는 수많은 종류가 있으며, 자연야생상태에서도 잘 무성하고 번식력이 왕성하며 집단을 형성하고 근절하기 힘들다. 작물에는 큰 피해를 주며 때로는 동물이나 인간에게도 직접적인 피해...
- 土㙲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M1_D_0107 土㙲 농업 農家, 種黍粟, 苗長, 雜草, 鋤, 禾, 盛長 農事直說 D_13_02_17 대동운부군옥 13권 2장 1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2장 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늙은 쥐의 도둑질에 공범자로 연루된 억울함을 창고신 앞에서 하소연한다. 잡초로 덮인 못이나 개울가에 살며 흙탕 속에 몸을 묻고 조용히 있을 뿐 늙은 쥐와는 아무런 연관도 없다고 이야기한다. 도둑질에 관한 조사가 끝난 후 풀려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130)
- 1511년 이언적(李彦迪) 회재잡초(晦齋雜草)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民統線(민통선)넘어첫省墓(성묘) 20년만에 雜草(잡초)우거진 祖上墓(조상묘) 첫 참배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民統線(민통선)넘어첫省墓(성묘) 20년만에 雜草(잡초)우거진 祖上墓(조상묘) 첫 참배 대한민국(남한) 경향신문사(남한)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대표표제어民統線(민통선)넘어첫省墓(성묘) 20년만에 雜草(잡초)우거진 祖上墓(조상묘) 첫 참배 | 저작권자경향신문사(남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민통선, 비무장지대
- 現代朝鮮文藝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現代朝鮮文藝讀本 卷一 現代朝鮮文藝讀本_卷一 六, 雜草 정열모 1929 殊芳閣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강점기 사찬독본 한국어 조곰만 이저버리고 잇스면 어느덧 雜草가 짓는다. 바치나 마당을 구석구석이 원하게 하여 두자면 間斷업는 注意와 努力이 必要하다.서명現代朝鮮文藝讀本 | 자료명六, 雜草
- 初等小學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심으ᄂᆞ니라 然ᄒᆞ나 其中에 雜草가 有ᄒᆞ면 花草ᄂᆞᆫ 업셔지ᄂᆞ니 故로 園夫ᄂᆞᆫ 恒常 雜草ᄅᆞᆯ ᄲᅳᆸ고 花草ᄅᆞᆯ 培ᄒᆞᄂᆞ니라. 男子와 女子로 學校에셔 工夫케ᄒᆞᆷ은 花園에 花草ᄅᆞᆯ 養ᄒᆞᆷ과 如ᄒᆞ니라. 師가 敎ᄒᆞᄂᆞᆫ 것은 學徒의 心中에 됴흔 種子ᄅᆞᆯ...서명初等小學 | 자료명第八 花園
- 種稷【附 姜稷】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農事直說 農事直說 種稷【附 姜稷】 정초(鄭招) 등 nongsa_01_084_014.jpg 11 ○ 稷性宜下濕之地 二月中旬耕地 以木斫【所訖羅】 熟治 自三月上旬至四月上旬 皆可種 種法與種黍粟同 或撒擲種亦得 田若塉薄 用糞灰【熟糞與尿灰也 下倣此】 或先布雜草於...서명農事直說 | 저자정초(鄭招)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구술자료(3)
- 민병대를 조직하여 프랑스에 맞선 응우옌쭝적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해 모두가 생업을 포기하고 광장에 나와 응우옌쭝적의 죽음을 지켜보았다. 그때 응우옌쭝적이 앉고 머리가 땅에 떨어지지 않도록 광장에 나온 사람들이 만든 깔판에는 그의 핏자국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응우옌쭝적은 마지막으로 프랑스를 향해 잡초를 다 뽑을 수 없듯, 자신이 죽어국가베트남 | 제보자저우티탄융 [베트남, 여, 1985년생, 결혼이주 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의붓자매 떰과 깜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우는 집이 많아요. 물소 키우면은 물소가 사람 집에서 잘려고 갖고 올 때도 있고 물소 데리고 나가 논에서 나가서 잡초 먹는 것도 풀어 놓으면은 지킬 사람이 있잖아요. 그 언니는 안 하고 동생이 시켜요. 그 어느 날 새엄마가 소 두 마리 주고, “저 멀리에 논에서 소한국가베트남 | 제보자저우티탄융 [베트남, 여, 1985년생, 결혼이주 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욕 안 하는 사위 뽑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그 총각이 옆에서 불, 불 땠어요. 네, 잡초, 가시 있는 거 불 때는데 좀 종종 불 때는데 와서 엄청 뜨겁게 느끼게 하려고 그렇게 일부러 만들었어요. 그래서 불 때니까 연기나 뜨거운 거 느끼잖아요. 할아버지가 그래서 “어떻게 나 죽게 생겼다.” 근데 총각이 이렇게국가캄보디아 | 제보자텡쏙레앙(박주희) [캄보디아, 여, 1986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49)
- 평북로동신문_1948_032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69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뽕나무 밭에 잡초가 무성하면 비료양분을 잡초가 탈취할 뿐만 아니라 통풍이 좋치 못하게되며 따라서 뽕나무가 볕을 잘 보지 못하기 때문에 병충해의 발생을 조장케하는 것이므로 수시로 제초를 실시하여 뽕나무밭에 잡초가 절대성 하지...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5_03 | 책임주필김봉훈
- 민주조선_1947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雜草の如く 金達壽 30 편집후기 및 판권지 z파일에 포함해야함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47
- 農事改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사에 상업회의소에셔 대한농를 량로 회의야 공에게 뎨츌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그 쳥의 문젹을본즉 뎨일됴 파종에 종를 취여야 악미가 업실것이오 뎨이됴 김에 잡초를 졍실이베여야 품이죠흘것이오 뎨삼됴 타작에 마당에 망셕을펴셔 돌이...게재일1902년 2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개성신문_1952_051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덩이가 일광을 충분히 쪼이지 못하기 때문에 그만치 땅이 걸어지지 않으며 잡초도 많이 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전경을 하면 흙을 일률적으로 뒤집어엎을 수 있고 훨씬 더 깊이 갈 수 있다. 또 그것을 3회까지만 실시한다면 토양이 골고루 일광을 쪼이게 되는 결과 땅이 걸어지...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515_03 | 날짜1952년 5월 15일 | 책임주필김명호
- 조선신문_1947_0410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학리적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도 잘 몰을것이다. 우리는 대개 3회의 제초 회수로 만족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실은 5,6―번을 제초하여야 된다. 이는 작년에 직접 내가 체험한 바다. 무엇보다도 먼저 잡초가 작물의 성장에 저해하기 전에 우리는 이를 제거하여야 된다. 그 다음에...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410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멀티미디어(1)
- 1953년 7월 20일 남녀 학교 학생들에 의해 진행된 경복궁의 잡초제거와 청소활동을 소개하고 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53년 6월 23일 | 제작공보처
기타자료(42)
- (시) 잡초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시) 잡초 (시) 잡초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 잡지 김진태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진태 | 사료철명문교경북
- (지도자료) 잡초에 관한 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지도자료) 잡초에 관한 연구 (지도자료) 잡초에 관한 연구 (지도자료) 雜草에 관한 硏究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노헌식 | 사료철명문교경북
- 답전윤환재배시의 잡초의 발생 및 소장에 관한 연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답전윤환재배시의 잡초의 발생 및 소장에 관한 연구 답전윤환재배시의 잡초의 발생 및 소장에 관한 연구 畓田輪換栽培時의 雜草의 發生 및 消長에 관한 硏究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노헌식 | 사료철명문교경북
- 9. Collation report No. 535 : 보고서, 1953.03.07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배치, 군대 배치, 대공 현황이 나와있음. 북한군과 중공군의 위치, 인원, 무기 보유 현황이 드러나 있음. 중공군이 현재 12개의 총을 가지고 있으며 잡초와 그물망을 통해 위장해 있다는 정보가 접수되어 있음 CCRAK, collation report, a...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Headquarters Combined Command For Reconnaissance Activities Korea 8242ND Army Unit | 수신자A
- 개목사 전탑지, 傳 옥산사 탑지 발굴 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한 점은 전(傳)옥산사 전탑지도 동일하며 안동지방에서 유행하던 건탑에 있어서의 하나의 점지(占地)형식으로 보인다. 개목사 탑은 완전히 도괴되어 전재(塼材)만이 절의 뜰에 보관되었을 뿐 흔적도 남기지 않았고 기단도 완전히 없어져 탑지라고 지적한 지점에는 잡석 위에 잡초...발행연도1984 | 발굴기관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북도
주제어사전(7)
-
잡초 / 雜草 [생활]
총집류(總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4.3×16.3cm이다. 여러 제문(祭文) 등 잡문(雜文)을 초(抄)한 책이다.
-
농약 / 農藥 [경제·산업/산업]
농작물의 보호와 생장에 사용되는 약제. 「농약관리법」에 따르면 “농약이라 함은 농작물(수목 및 농림산물을 포함)을 해하는 균·곤충·응애·선충·바이러스·잡초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는 동·식물(이하 병충해라 한다)의 방제에 사용하는 살균제·살충제·제초제 기타 농림부령이 정
-
백일홍 / 百日紅 [과학/식물]
예품종에는 녹색 및 하늘색을 제외한 여러 가지 색의 것이 있다. 종자로 번식한다. 백일홍은 본래 보잘것없는 잡초였으나 독일사람 진(Zinn)이 발견한 이래 인도·프랑스·영국·미국의 화훼가들의 손을 거쳐 개량되었다.
-
신풍온천 / 新豊溫泉 [지리/인문지리]
도 푸른 잡초가 자란다.
-
쥐불놀이 / 鼠火戱 [생활/민속]
들이 자기네 마을 부근에 있는 밭두렁이나 논두렁에다 짚을 놓고 해가 지면 일제히 불을 놓아 잡초를 태운다. 불은 사방에서 일어나 장관을 이루는데, 이것을 쥐불놀이[鼠火戱]라 한다. 이 쥐불의 크고 작음에 따라 그해의 풍흉, 또는 그 마을의 길흉을 점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