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잡직서”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부감의 관부명칭이 채용된 고려 초기에 등장하였을 것이나, 직제상 확립을 본 것은 문종 때였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일시 와 도염서를 직염국(織染局)으로 통합시켰으나, 곧 회복되어 명칭과 기능이 조선으로 계승되었다.
  • 도염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관제개혁을 하면서 ()와 병합하여 명칭을 직염국(織染局)으로 하고 선공시(繕工寺)의 속사로 하였다. 관원으로는 사 2인을 두었는데, 그 중 1인은 겸관하도록 하였으며, 부사‧직장(直長) 각 1인을 두었다...
  • TD_E2_D_0265 都染署 관직 織染, 色染, , 內謁 麗初 忠宣王 百官志 D_12_07_16 대동운부군옥 12권 7장 1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7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왕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중기의 문신. [내용] 1135년(인종 13) 령(令)으로 내시지후(內侍祗候) 정습명(鄭襲明) 등과 함께 전선을 이끌고 순화현(順化縣) 남강(南江)에서 묘청(妙淸)의 반란군을 막았다. 1147년...
  • 허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풍주방어사(豊州防禦使)로 좌천되자 아울러 전주방어판관으로 쫓겨났다. 1135년(인종 13) 묘청(妙淸)의 난이 일어나자 제위보부사(濟危寶副使)로 내시지후(內侍祗候) 정습명(鄭襲明), 영(令) 왕식(王軾)과 더불어 서경의 서남해도(西南海島)에 가서 수군...

고서·고문서(2)

  • 城爲戰卒其餘逃竄山谷富軾以爲若不招撫勢必嘯聚爲賊耳目分遣軍吏勞來慰諭逃竄者悉出或負糧餉願助軍費者絡繹不絶皆給衣食使得安居西人沿江築城自宣耀門至多景樓凡一千七百三十四*閒置六門以拒之⁄先是王遣內侍祗候鄭襲明濟危寶副使許純令王軾往西京西南海島會弓手水手四千六百餘人以戰艦百四十艘入順化縣南江禦賊船至...
    출처전거高麗史 98卷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以幼沖卽政 素無知人之明 偏聽近習之說 致有西都之亂 俯仰深思 不勝痛悔 惟爾臺省侍從之臣 朝野有志之士 論列平西之策 及時政之失 朕躬之愆 無有所諱 遂命內侍祗候鄭襲明 濟危寶副使許純 令王軾 往西京西南海島 發水軍四千六百餘人 戰艦一百四十艘 入順化縣南江 以禦賊船 富軾 使軍吏盧仁諧 招...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직제상 확립을 본 것은 문종 때였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일시 와 도염서를 직염국(織染局)으로 통합시켰으나, 곧 회복되어 명칭과 기능이 조선으로 계승되었다.

  • 도염서 / 都染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는 염료 제조와 염색을 맡아보던 관청. 고려 문종 때 직제상 확립을 보았다. 관원은 영 1인, 승 2인, 이속으로 사 4인, 기관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관제개혁을 하면서 와 병합하여 명칭을 직염국으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