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잡저” 에 대한 검색결과 11,0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338)

사전(2,8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문문체의 하나. 잡문(雜文)을 모은 책으로, 문장이 그 일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이름이 붙여지며 일정한 체재가 없는 것이 특색이다. [내용] 그러나 에서 필수불가결한 것은 그 주장이 반드시 의리(義理)에 합하여야지 잡되어서는 안되므...
  • TD_E2_D_0771 관직 都校署, 工作之事, 監作 高麗 文宗, 忠肅王 百官志 D_19_06_68 대동운부군옥 19권 6장 6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6장 6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O1_I_0003 요리 沈葅, 沈菜, 䔯(音 고)酢, 葅, 鰕醢煮汁, 蘿葍, 大蒜, 葱, 番椒, 芥菜, 菘菜, 螺,, 鰒, 石首魚, 磁瓮, 冬 我國 蒼頡解詁 I_01_19_17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19장 17절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9장 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동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박형진(朴瀅鎭)이 지은 연대미상의 의서. [내용] 1책. 필사본. 한독의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은 의약론‧조리론(調理論)‧신촬론(愼撮論)‧수양론‧이치론(異治論)‧부인귀(附人鬼)로 되어 각각에 대하여 자기의 생각하는 바를 적고...
  • 내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 때 소실되었다. 원래 『내외』에 수록되어 있던 주요내용은 현재 송광사 장판(藏板)인 『묵암집』 3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단행본(1)

  • 한국 실전 고문서 서발류 해제집 3 집부 [한국 고문헌의 지식계보학적 연구자원 구축 | 고려대학교]
    저자 : 심경호, 강순애, 윤재민, 정우봉... | 출판사 : 조은글터 | 출판일 : 2014.02.28
    분야생활 | 유형단행본
    總集類 別集類 尺牘類 小說類

고서·고문서(7,478)

  • 본관이 竹山 安大濟의 세계와 안대제의 妻 高靈申氏의 세계 등을 기술한 것이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각종 상례의 예론에 대한 사실을 기록해 놓은 것이다. 상례시 각종 사례별로 예론을 해설해 놓았다. 즉 大斂, 小殮, 服問三年之喪, 治葬條, 發靷條 등 상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종매 박씨의 제2자가 자신에게 와서 공부하였다는 내용 등으로 되어 있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고을의 사람들이 관찰사에게 올리는 청원의 일종이다. 巡相에게 자기 고을 수령의 치적을 설명하면서 중국의 한형주와 같다고 하였다. 그래서 우리들이 은택을 감격하여 만인의 입으로 송덕비를 세우려고 하고, 노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인 치적을 설명하면서 송덕비를...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반드시 사관은 지척의 근시지인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관을 拿鞠하라는 명령은 잘못된 것이라는 것이다. 초 7일에 금부에서 朴宗儒 李河述을 가둔 것은 승지 조병신등의 상소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다.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8)

  • 민세안재홍전집 : 年頭感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246 1927 1 15 1 1 안재홍 年頭感 잡지 별건곤 3호, 2권1호 47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年頭感 B19270115별건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金奉根(金奉根米穀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奉根(金奉根米穀商店) 서울 金奉根 金奉根米穀商店 鹽里町 86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15.6 쇠고기, 당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
    대표표제어金奉根(金奉根米穀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민세안재홍전집 : 言論‧思想界 內報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144 1938 10 15 1 1 機密室 (우리 社會의 諸內幕) 言論‧思想界 內報 잡지 삼천리 101호, 10권10호 13~23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機密室, 朝鮮日報, 中央日報, 咸鏡北道 B...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북우 계봉우 대인에게 답을 올림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북우 계봉우 대인에게 답을 올림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태극학보(太極學報) 태극학보(太極學報)_25호 奉答北愚桂奉瑀大人金壽哲 1908.08.24. 文藝 699 937~938 김수철(金壽哲) 대한제국     계...
    잡지명태극학보(太極學報) | 호수태극학보(太極學報)_25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中澤喜男 8 皇國臣民育成と儀式敎育勅語の取法竝施設一般 八重樫達郞 25 朝鮮に於ける國語敎育と國語の家設定に就いて 江原繁 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1

주제어사전(680)

  • /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잡문(雜文)을 모은 책으로, 문장이 그 일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이름이 붙여지며 일정한 체재가 없는 것이 특색이다. 그러나 에서 필수불가결한 것은 그 주장이 반드시 의리(義理)에 합하여야지 잡되어서는 안되므로 현대식 잡문과는 구별이 된다고 하겠다

  • 가송 / 歌頌 [종교·철학/불교]

    禪師), 충선왕은 양가도승통(兩街都僧統), 충숙왕은 왕사(王師)로 책봉하였다. 충숙왕 때 사호(賜號)는 오불심종해행원만감지왕사(悟佛心宗解行圓滿鑑知王師)이고, 시호(諡號)는 보감국사이다.보감국사비명에 실린 ‘가송이권(歌頌二卷)’이라는 기록이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

  • 나암 / 懶庵 [종교·철학/불교]

    조선전기 승려 보우의 법어와 잡문을 수록하여 1573년에 간행한 불교서. 법문집. 1권 1책 28장. 목판본. 1573년(선조 6)에 제자 태균(太均)이 편찬하고, 직지사 주지 유정(惟政)이 교정하였으며, 회암사 주지 천령(天岭)이 쓴 것이다. 그 전편의 내용은 시소

  • 내외 / 內外 [종교·철학/불교]

    화재 때 소실되었다. 원래 『내외』에 수록되어 있던 주요내용은 현재 송광사 장판(藏板)인 『묵암집』 3권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문고 / 文稿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저자 미상의 시·소·교서·전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불분권 6책. 필사본. 이 책에는 저자의 성명을 밝히는 부분에서 성은 이(李)라고만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문고』는 미간행 원고본으로 추정된다.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다. 제1·2책은 시 472수,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