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잡작국”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泥匠) 등의 전문기술인이 소속되어 있어 이미 목종 때 설치된 장작감(將作監)과 함께 당시 토목공사를 주관하였다. 그러나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충선왕은 도교서를 혁파하여 으로 고치고, 직제로는 사(使, 종5품)ㆍ부사(副使, 종6품)ㆍ직장(直長, 종7품...
  • 도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공작(工作)을 맡아보던 관청. [내용]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令) 2인, 승(丞) 4인, 이속으로 감작(監作) 4인, 서령사(書令史) 4인, 기관(記官)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
  • TD_E2_D_0513 都校 관직 麗制, 工作之事, 忠宣, 王國髦, 李資義, 王字之 並麗史 D_16_03_07 대동운부군옥 16권 3장 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3장 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직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 전의시(典儀寺)‧사복시(司僕寺)‧사의서(司醫署)‧사온서(司醞署)‧전악서(典樂署)‧영조국(營造局)‧()‧직염국(織染局)‧의영고(義盈庫)‧장흥고(長興庫)‧상만고(常滿庫)‧내알사(內謁司) 등에 새로 두었으며, 상식국과 상사국이 사선서(司膳署)와 사설서(司設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도 역시 5품직으로 설치되었다. 이 때 주로 창(倉)‧고(庫) 등의 관청에 새로 두어지면서 5품직으로 고정되었다. 다만 합문의 후신인 중문(中門)에서는 정3품 정원 2인, 인신사(印信司)‧응방(鷹坊)에서는 정원 2인의 종3품직으로 되어 있었다.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 그러나 1308년(충선왕 즉위년)에 충선왕은 도교서를 혁파하여 으로 고치고, 직제로는 사(종5품)·부사(종6품)·직장(종7품)을 두었다.

  • 도교서 / 都校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공작을 맡아보던 관청. 문종 때 직제상으로 확립되어 영 2인, 승 4인, 이속으로 감작 4인, 서령사 4인, 기관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에 의하여 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복구되었다. 이 때 관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