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잡과” 에 대한 검색결과 3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3)

사전(24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392년 조선의 건국과 더불어 제정된 입관보리법(入官補吏法)에 의하면 문음(門蔭)과 문무과 이외에 로서 이과(吏科)‧역과(譯科)‧의과(醫科)‧음양과(陰陽科) 등 4과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과 이외에 이문과(吏文科)도 잠시 실시된 적이 있었으나, 『경국...
    이칭별칭잡업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전문기술관을 뽑는 과거시험의 하나.
    정의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전문기술관을 뽑는 과거시험의 하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japgwa | MR표기chapk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거(科擧) 역과(譯科), 의과(醫科), 음양과(陰陽科), 율과(律科) 기술관(技術官), 잡학(雜學)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조선 조선 이남희 [정의] 조선시대에 전문 기술관...
    상위어과거(科擧) | 하위어역과(譯科), 의과(醫科), 음양과(陰陽科), 율과(律科) | 관련어기술관(技術官), 잡학(雜學)
  • 방방(放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방방 방방 放榜 과거(科擧) (), 방방(放榜), 백패(白牌), 방방의(放榜儀) 정치인사/선발 의식 행사 조선 조선 이남희 [정의] 조선시대에 합격자...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잡과(雜科), 방방(放榜), 백패(白牌), 방방의(放榜儀)
  • 수정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정과에 각 계절마다 제철의 과일을 넣어 화채로 만든 것.
    정의수정과에 각 계절마다 제철의 과일을 넣어 화채로 만든 것.[두산백과] | 문광부표기japgwa sujeonggwa | MR표기chapkwa sujŏnggw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8)

  • 1330년 이자수(李子脩) 홍패(紅牌)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330년 11월 이자수가 인 명서업에 급제하여 발급받은 문서이다. 이자수는 진성이씨의 시조인 이석의 아들이다. 이석의 집안은 원래 대대로 진보현의 아전을 지냈는데, 고려후기에 이르러 이석이 생원시에 합격하고, 아들인 이자수가 명서업에 급제함으로써 향리의 역을
    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今者刑曹參判, 進去, 不爲入參, 事甚未安矣。 上曰, 秋判所陳, 是矣。 雖退行, 而刑官則當爲備員矣。 思永進啓曰, 請還收罪人尹邃減死島配之命, 仍令鞫廳, 嚴刑得情。 上曰, 勿煩。 仍命此下啓辭, 只擧結語, 可也。 請還收罪人南泰績島配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주소 박 여자 경상남도 양산시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통화현(通化县) 일품공사 11 1 주소, 중...
    대표표제어주소 | 성씨
  • 9336 B009336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9年 12月 2日_007 ○禮曹啓曰, 覆試, 今月初三日, 當爲開場, 而本曹判書臣尹趾完, 以實錄考出事, 方在江都, 還來遲速, 有難豫知。 莫重科試, 以次官設行, 事體未安, 待判書還來後, 改擇日設行, 何如? 傳...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萬物門1_棗糕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棗糕 “棗糕”者, 《藝苑雌黃》: “寒食, 以麪爲蒸餠樣, 團棗附之也.” 今東俗亦呼爲蒸餠, 豆屑爲饀, 外附棗肉者, 謂之“糕銘”. 意者, 其初以棗肉煎作文字於糕上, 故稱之爲銘. 今非字, 而糕銘之稱猶存也. 又有小團, 而細切棗, 用蜂蜜亂粘者, 謂之“餠”.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四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초학문(4)

  • 조선후기 () 교육의 변화와 특성: 잡학 생도와 교재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남희, 게재일 : 2014
    51748 이남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4 조선후기 () 교육의 변화와 특성: 잡학 생도와 교재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조선후기 의 위상과 특성 - 변화 속의 지속과 응집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남희, 게재일 : 2012
    39736 이남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조선후기 의 위상과 특성 - 변화 속의 지속과 응집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트래픽 혼 양면시장하에 있는 경쟁적 인터넷망사업자의 접속료 규제효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충영, 게재일 : 2017
    15740 정충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통신학회 2017 트래픽 혼 양면시장하에 있는 경쟁적 인터넷망사업자의 접속료 규제효과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Zoning in cities with traffic congestion and agglomeration economies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혁주, 게재일 : 2014
    ://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38115&local_id=10055012 교통혼 집적의 경제가 공존하는 도시에서 용도지역제와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2)

  • 又設商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라유셕씨가 각방곡에 고시기를 샹민도 농공샹에 한 업이라 샹업것은 각국에통하규례인고로 본국에도 오년 로 샹업의규모를 일준시하더니 근에 임원등이 협 탐학하 쟈가만어 우ㅣ로 국가의 보호하 혜을 보답지안이하고 아로 민의 쇠잔하폐를 보지이...
    게재일1904년 11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과거 다시 뵈는 소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진못는 법이업셔 젼혀 졍과 협로 위쥬 실로조 잇는 션의피를 토일이오 셜령 이 협 이협가 업슬지라도 과거보히는법이 지금시셰에 맛지아니야 션가 다만 심쟝젹귀는 글와 글귀나 공부이오 혹 옛젹 즁원긔나 묵은나 외여너을 이오 과거 보는글이...
    게재일1903년 3월 24일 | 기사분류논설
  • 特 許 苐 壹 貳 壹 參 号 東京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器와갓치三角術等高等數學을不要 本器測量同時에製圖을卽得으로他測器과갓치第一實地測定고第二測量簿에記入고苐三測量簿依야計筭고第四計筭에依야製圖等의繁時間不要외라測量과製圖間에起난錯誤가不生 本器全般測量에適合者인故로本器購買에外他測量器와갓치使用...
    게재일1907년 5월 7일 | 기사분류광고
  • 지금 우리 나라에 형편이 이치 말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란류가 겨 공졍 일이 세상에 지 못 것도 나 나 문이오 권세와 디위를 다토어 졍부 안에 어지러온 일이 종종 일러 나 것도 나 나 문이오 관장이 되어 셩을 탐학야 을 살슈 업시 만들다가 심지어 민요도 맛나고 즁벌도 당거시  나 나...
    게재일1898년 8월 24일 | 기사분류논설
  • 내에까지 반동분자들이 잠이하여 그들의 협 흉계와 모략은 더욱 농민들의 불안을 일으킨다.』
    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724_03 | 책임주필김윤복

주제어사전(15)

  • / [정치·법제]

    고려·조선 시대 전문기술관을 뽑는 과거시험의 하나. 고려시대에는 잡업이라 하여 명법업·명산업·명서업·의업·주금업·복업·지리업·하론업·삼례업·삼전업·정요업 등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문무과 이외에 로서 이과·역과·의과·음양과 등 4과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과 이외

  • 복시 / 覆試 [역사/조선시대사]

    문과·무과 및 의 제2차 시험. 예조에서 주관하는 문과·생원진사시와 병조·훈련원에서 주관하는 무과 및 각 기술아문에서 주관하는 의 제2차 시험을 말한다. 복시는 서울과 지방의 초시에서 뽑혀 올라온 제1차 시험의 합격자들을 재시험, 최종 합격자를 정하는 중요한

  • 의과 / 醫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전의감·내의원·혜민서 소속의 의관을 뽑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시험. 다른 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설행되었고 초시와 복시만 실시되었다. 초시는 상식년 가을에 전의감에서 실시하였고, 복시는 전의감이 예조와 함께 설행하였는데, 그 시취액수는 초시에

  • 율과 / 律科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형조 소속의 율관을 뽑기 위하여 시행한 시험. 율과는 국초에는 없었다가 뒤에 생겨나서 ≪경국대전≫에 역·의·음양과 더불어 의 4과의 하나가 되었다. 율과는 다른 와 마찬가지로 식년시와 증광시에만 설행되었고 초시와 복시만 실시되었다. 초시는 상식년

  • 교회 / 敎誨 [정치·법제/외교]

    조선시대 사역원 소속의 부경 수행 역관. 정원은 한학교회 23명, 왜학교회 10명이며, 이들 중 3명이 사행에 참가할 수 있었다. 이들은 일찍이 총민을 지내고 에 합격한 자를 권점하여 임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