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잡곡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5)
- 잡곡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는 하나 이것을 주식으로 할 수 있었던 것은 일부 귀족들뿐이었다. ≪해동역사 海東繹史≫ 곡류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상류층에 속하는 관리들조차 쌀‧보리‧조 등을 녹으로 받아 주식으로 삼았다고 한다. 잡곡밥은 이렇듯 우리 민족의 생활 깊숙히 뿌리를 내리고...
- 향토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면해 있는 중부와 남부 지방은 쌀 농사를 주로 하므로 북쪽 지방을 주식으로 잡곡밥을, 남쪽 지방은 쌀밥과 보리밥을 먹게 되었다. 찬품으로는 전국 어디에서나 좋은 반찬이라 하면 고기 반찬을 꼽으나 평상시의 찬은 대부분 채소류가 중심이고, 저장하여 두고 먹을 수...
- 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밥은 쌀이 기본이 된다. 그러나 매일 쌀밥을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쌀이 넉넉하게 생산되지 못하였기에 대부분의 서민은 다른 곡물을 넣고 밥을 하여 부족한 쌀의 양을 메웠다. 가장 대표적인 잡곡밥은 보리밥이었고, 이 밖에 완두콩밥‧조밥‧팥밥‧강낭콩밥‧수수밥‧기장밥 등 철따...
- 백유함(白惟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주저하지 않았다고 한다. 관직을 떠나서 20여 년 동안 귀양살이 하면서 몸소 농사를 짓거나 혹은 물고기를 잡아서 생계를 이어갔는데, 비록 거친 잡곡밥과 채소국을 먹고 살면서 보통 사람이 감당하지 못할 만큼 어려운 생활을 하였으나, 마음만은 항상 편안하고 여유로웠다고 한...
- 음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렁한 두부의 특징은 물론 영양가가 많다는 내용까지 담겨 있다. (1) 조 리 ① 다양화된 곡물음식 : 주식으로 쌀밥, 보리에다 피를 섞어 지은 잡곡밥, 팥죽‧칼국수‧메밀국수 등을 만들었다. 또한 별식으로 백설기떡‧감설기떡‧쑥떡‧흰떡‧꿀떡‧수단(水團) 등...
구술자료(2)
- 소지왕과 잡곡밥이 생긴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지왕의 재위 연대까지 정확하게 구연했는데, 이야기를 듣던 할머니 한 분이 자리를 뜨느라 잠시 중단했다가 계속했다. *조사일시1984-07-28 | 조사장소경상북도 선산군 선산읍 | 제보자김호준
- 임신과 출산 육아 과정에서의 상처와 가족 사랑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한국 음식 중에는 생선회를 공통적으로 먹지 않는다. 모국에서 먹어보지 못한 날음식에 대한 낯섦 때문인데 익숙한 젓갈은 모두 좋아한다. 세 제보자는 음식에 관한 삼인삼색의 경험이 있다. 호티홍녀 제보자는 콩밥과 잡곡밥을 싫어해서 시어머니가 생일날에국가베트남, 필리핀 | 제보자호티홍녀(한수아) [베트남, 여, 1986년생, 결혼이주 11년차] 엔티터번(이연아) [베트남, 여, 1984년생, 결혼이주 11년차] 메리안 [필리핀, 여, 1970년생, 결혼이주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1)
- 憂民粟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경남도 관찰 셔졍슌씨 년긔가 지금 륙십구셰인 관하 각군 셩이 쥬려쥭다 보고를 졉견이후에 민박을 이긔지 못야 잡곡밥으로 연명고 진휼 방침을 강구되 젼곡간에 예산이 젼무야 혜민원 쳐분만 고다더라게재일1903년 6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49. Translation No. 437 : 기록자료, 1946.06.03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서울 형무소 수용자들이 쌀밥 대신 잡곡밥이 배급된 데 대해 불만을 품고 단식 투쟁. 수용소 총무국장은 쌀 배급 부족으로 이런 일이 발생했다면서 곧 해결될 것으로 언급 Prisoners in Seoul, Seoul Prison, hunger strike...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수신자Headquarters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Korea, Office of the A.C. of S., G-2, Language and Document Section
주제어사전(1)
-
잡곡밥 / 雜穀飯 [생활/식생활]
재배되었고, 고려시대에는 귀리, 조선시대에는 완두·구맥(瞿麥) 등이 새롭게 증가되기에 이르렀다. 잡곡밥은 이렇듯 우리 민족의 생활 깊숙히 뿌리를 내리고 있었는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우리 고유의 명절음식으로 발전되기에 이르렀다. 음력 정월 보름날 오곡(五穀)으로 잡곡